혹시 세금 관련해서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지입차량관련)

고상한 삼잎국화2015.02.11 18:35조회 수 1118댓글 5

    • 글자 크기

저는 이과생이고 법, 경제 쪽 문외한이라 질문합니다.ㅠㅠ


이런걸 어디에 물어보고 알아봐야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세무사에게 물어보면 될까요? 세무사 사무실 같은 곳을 가야햐나...수임료 같은건 대략 얼마정도 할까요ㅠㅠ



혹시 아버지께서 지입차주이신분 저말고도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정확히는 잘 모르겠지만.. 저희 아버지께서는 레미콘 지입차주 이십니다. 

이 경우 개인 사업자로 등록을 하고 일을 한다고 하시더라구요.

개인사업자이지만 레미콘 회사와 계약을 맺고, 쉽게 말하자면 회사에서 일감을 얻어주고 소속된 근로자가 그 일을 하고 건당 수익을 얼마씩 계산하여 매달 '일을 한 횟수*건당비용'을 받는 일입니다.


이때문에 매달 수입이 일정하지가 않습니다.


제가 알기로 일이 많을때는 최고 월 500만원까지도 버셨지만 일이 없는 겨울의 경우 ...말씀은 안하셨지만 100만원도 채 되지 않는 것 같아요. 최근에 계속 돈이 안된다고 말씀하시더라구요.


이처럼 수입이 고정적이지가 않은데, 레미콘 차량이 보통 1억원 가량이고 아버지가 차주로 사업자 등록이 되어있어서 그런지 세금을 일년에 두세번(? ..정확히 모르겠네요ㅠ) 200-300만원씩 내야하고, 보험료도 20만원 가까이 내야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이게....많이 버실때도 최고 500만원이라고 하긴했지만 차가 소모품이다 보니 매달 수십만원의 수리비용이 들고, 한번씩 크게 고장나서 두세달에 한번은 수백...(ㅠㅠ 2~300만원)의 수리 비용이 듭니다..


이렇게 이것저것 다떼고 나면 솔직히 버는 돈은 진짜 얼마 안되는것같아요..


그런데도 세금을 수백만원씩 내고 보험료를 매달 수십만원 내야하는건 좀 이상한것같지 않나요..ㅠㅠ


수리비용드는것까지 나라에서 신경써서 세금매기진않겠죠..ㅋㅋ그렇지만 세금과 보험료를 매기는 기준이 수입, 재산이라면 일정하지 않은 수입을 얻는 사람에 대해서 세금 매기는 기준이 뭔가요..?


세금을 제대로 매겨서 우리집에 내라고 하는게 맞는지...ㅠㅠ 빨리 취업해서 돈벌고싶네요....


    • 글자 크기
학교 앞에서 싸게 영화보는법 가르쳐주세요 (by 발냄새나는 올리브) 고시텔 구하고 있는데요! (by 빠른 귀룽나무)

댓글 달기

  • 저희아버지도 5톤 지입차주신데 도움이 될련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느끼는 답답함과 비슷할것 같아 조금이나마 끄적여 봅니다.... 사실 별수없는것 같습니다. 작년부로 과세 기준도 바뀌고 소득세 신고도 전산으로만 가능해져서 아무것도 모르는 부모님 세대는 그냥 당하기 일수 더군요.... 서론이 길어졌네요... 요지를 말씀드리자면 일단 세무사 찾아가시는게 정답인거같습니다 보험은 사업자 등록증 한장과 영업용차량 자가용 2대 있다는 이유만으로 현 기준으로 방도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소득세 경우에는 본인신고 세율과 세무사 거쳐서 신고세율이 다르더군요 세무사 찾아가는게 훨씬 싸게먹혔습니다 제경험상 한 반정도?? 그때 저도 처음으로 세무사 찾아가봤는데 일반인은 전문가를 이기지 못한다는걸 깨달았습니다
  • @억울한 흰꿀풀
    글쓴이글쓴이
    2015.2.11 21:44
    와, 감사합니다. 아버지하고 함께 가셨나요? 어떤 서류를 챙겨서 세무사 사무소를 찾아가면 될까요..?
    집 가까운 곳에 있는 세무소에 전화해서 문의하고 상담예약? 같은걸 하면 되나요?
    상담료? 같은게 비싸지는 않은지요..ㅠㅠ
    저희 부모님도 이쪽으로 전혀 잘 모르셔서...저도 그렇고ㅜㅜ 집안에 이런거 아는사람이 전혀 없네요..
    ㅠㅠ이것저것 손해보시는게 많은것 같아요..
  • @글쓴이
    제가갔던곳은 상담료는 안받고 세무 처리 해주시는데 의뢰비 명목으로 받았던거 같아요.. 아버지 일 특성상 어머니가 그런 잡다한일 담당하시는데 작년에 전산업무로 바뀌면서 뭐가뭔지 모르겠다고 하셔서 따라가 드렸어요 세무서 갔더니 공무원이 그냥 세무소 가라고 하셨구요
  • 괜찮은 세무회계 사무소 소개 받아서 가는게 좋습니다. 그냥 세금관련 상담같은거는 공짜로 해주는 곳도 많을거에요... 그리고 살아가면서 세무사 한명 정도는 친하게 지내는게 좋습니다. 살아가면서 더 많이 찾게 될겁니다. 건강 안좋을 때 지식인한테 물어봤자 답 안나오는 것처럼, 그냥 한번 찾아가보는게 나을듯 하네요
  • @발냄새나는 지칭개
    글쓴이글쓴이
    2015.2.11 21:45
    그러게요.....저도 20대 중반이 다되어가니 이제야 좀 이런데에 관심도 갖게 되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44299 운동하시는분들! 질문좀할게요5 짜릿한 비목나무 2015.02.11
44298 2차수강신청은3 유능한 산박하 2015.02.11
44297 3학년 상대 동아리1 재수없는 송악 2015.02.11
44296 중도 시끄러운 아줌마 있나요? 오늘1 납작한 종지나물 2015.02.11
44295 전과로 두개학과생각중17 엄격한 댑싸리 2015.02.11
44294 최근 연극이나 뮤지컬 보신분 추천해주세요!3 행복한 산박하 2015.02.11
44293 전소?4 센스있는 붉나무 2015.02.11
44292 소개팅으로 만날 장소11 섹시한 우단동자꽃 2015.02.11
44291 제본 잘아시는분~6 청결한 쇠고비 2015.02.11
44290 학교 앞에서 싸게 영화보는법 가르쳐주세요7 발냄새나는 올리브 2015.02.11
혹시 세금 관련해서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지입차량관련)5 고상한 삼잎국화 2015.02.11
44288 고시텔 구하고 있는데요!10 빠른 귀룽나무 2015.02.11
44287 2차수강신청은희망과목담기없나요?1 슬픈 튤립나무 2015.02.11
44286 부산대 입결하락?13 더러운 가지복수초 2015.02.11
44285 복싱다닐려하는데7 참혹한 갈퀴나물 2015.02.11
44284 부산대 행시 스터디는 어디서 구하나요???2 납작한 고란초 2015.02.11
44283 [레알피누] 수료자 일 경우?4 이상한 뽀리뱅이 2015.02.11
44282 기계과 현장실습 정보 어디있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2 청결한 배나무 2015.02.11
44281 기장멘토링 발표!!2 살벌한 물봉선 2015.02.11
44280 교내근로 질문이요ㅠㅠ2 초연한 부용 2015.02.1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