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죽은 시인의 사회

부대신문*2011.12.07 17:02조회 수 1087댓글 0

    • 글자 크기
       영화 <시>의 주인공 미자는 좋은 시를 쓰기위해 무심히 지나쳤던 일상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삶의 아름다움과 슬픔을 발견한다. 영화 내용처럼 시는 삶의 아름다움과 슬픔을 녹인 결정체며 삶 그 자체다. 그러나 현실에서 진짜 ‘시’는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인터넷서점 알라딘 마케팅팀 조선아 씨는 “최근 10년 내 종합베스트셀러 순위에 시집은 단 하나도 없다”고 밝혔다. 북스리브로 부산대점 정선호 점장도 “소수의 마니아층만이 시집을 찾아 판매량이 굉장히 적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학교에서도 시 관련 수업은 인기는 낮다. 이번 학기 교양선택 과목 중 시 과목은 현대시론 등 4개에 불과하고 수강인원도 적다.
  전문가들은 시가 찬밥신세가 된 것은 ‘속도’와 ‘경쟁’등 현대사회의 성격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 다른 장르보다 스스로 생각하고 연상해야 하는 과정이 많아 현대적 감각과 거리가 있다는 것. 또한 잘못된 인터넷 문화도 악영향을 끼쳤다. 대한문인협회 김락호 회장은 “시는 길이가 짧아 인터넷을 통해 쉽게 유포될 수 있는데 이때 다른 장르에 비해 법적보호를 거의 받지 못해 문제”라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시가 죽게 내버려둬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시의 역할과 시만이 가지는 의미가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우리학교에서 시 수업을 진행했던 홍옥숙(한국해양대 영어영문) 교수는 “수업 때마다 해주는 말이 ‘시는 평생 힘이 되는 친구’라는 말”이라며 “당장 취업을 위한 도구가 되지 않더라도 시를 통해 힘을 얻고 가르침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봉준 문학평론가 역시 “이성이 최고의 가치로 평가받는 사회지만 인간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감성적인 것도 필요하다”며 “고정화된 인식이나 감각을 의심하게 해 새로운 생각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시”라고 덧붙였다.
  한편 뉴미디어 시대에 시가 살아남기 위해선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박재우(노어노문 1) 씨는 “스마트폰에 시를 검색하면 해석도 함께 볼 수 있는 어플이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변화를 위한 움직임도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멀티포엠’이나 ‘디카시’ 등이다. 멀티포엠은 문자뿐 아니라 영상, 음악, 이미지, 설치물 등 가능한 모든 표현 방법과 매체를 활용해 창작하고 전달되는 시문학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멀티포엠아티스트 장경기 시인은 “멀티포엠아트는 그 표현과 감상의 다양성으로 스마트폰과 인터넷 등 여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복합적인 시”라며 “시 문학이 첨단 과학 기술과 함께 호흡하고 이를 적극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로 DVD 시집을 발표하기도 하기도 했다. 또 홍옥숙 교수는 “최근에는 사진을 찍어 그걸 이용해 시를 쓰는 ‘디카시’ 시인들도 존재한다”며 “시의 개념도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변화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876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정문 공연 둘러싼 갈등 계속돼 부대신문* 2013.09.16
부대신문 [통계로 본 부산대학교 2014] 분야별 통계 분석 부대신문* 2014.03.09
부대신문 사과의 계절에 영화와 친구하기 부대신문* 2013.09.30
부대신문 우리에게 필요한 제도와 윤리는? 부대신문* 2014.06.04
부대신문 총장직선제, 시행 23년 만에 전면 폐지되나 부대신문* 2014.04.02
부대신문 [뉴스 브리핑] 1510호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법이 만든 사각지대 장애인 최저임금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최우원 전 교수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패소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클럽 안 당신의 눈과 귀를 보호하라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밀양캠퍼스 통학버스 시간표 확인하세요 부대신문* 2012.05.03
부대신문 [종합] 학생회비 납부자 명단이 공개된다?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1431호 취업알리미 부대신문* 2011.12.05
부대신문 금십자가 찾기와 축구 부대신문* 2011.12.08
부대신문 책의 향기는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어 부대신문* 2011.12.08
부대신문 "그 끌려간 여자들도 원래 다 끼가 있으니까 따라다닌 거야" 부대신문* 2017.10.04
부대신문 교수회 정기총회서 교수회장 선출 예정 박홍원 교수 단독으로 입후보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통계로 본 부산대학교 2014] 이런 통계가 궁금해요! 부대신문* 2014.03.09
부대신문 터무늬 가득한 땅에 고독한 무늬를 덧대다 부대신문* 2014.06.04
부대신문 교내 우체국 사라진다 부대신문* 2014.04.02
부대신문 [대학] 우리학교 예산을 분석하다 부대신문* 2015.11.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