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패자부활전'이 없는 사회

부대신문*2012.05.03 19:21조회 수 891댓글 0

    • 글자 크기
    
   

  1985년 스티브 잡스는 독단적인 경영을 이유로 자신이 설립한 회사에서 퇴출당한다. 그러나 컴퓨터 개발사 넥스트와 컴퓨터 그래픽 영화사 픽사를 설립해 재기에 성공한다. 이를 발판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던 애플로 복귀해 애플을 세계 최대 IT 업체로 성장시킨다. 실패로 ‘집’에서 쫓겨난 잡스가 ‘길바닥’으로 내몰리지 않고 재기를 노릴 수 있었던 사회적 기반은 무엇이었을까. 우리 사회에서도 이런 ‘패자 부활’이 가능할까.

  지난달 13일 발표된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동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
면 우리 사회에 대해 ‘한번 실패하면 재기하기 어렵다’고 응답한 2040세대의 비율이 64.4%에
달했다. 특히 40대 응답자의 78.1%는 우리 사회를 ‘패자부활전이 없는 사회’라고 답해 연령대
가 높아질수록 이런 인식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패자부활전 없는 사회’의 원인으로 △고착되는 양극화 △좁은 시장 △허술
한 개인회생 장치 △중소기업 재창업 지원 미비 등을 지적했다. 한국빈곤문제연구소 류정순 소장
은 “과중 채무자들은 금융시장에서 배제당할 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마저 배제돼 재기가 어렵
다”며 “반면 선진국들은 금융시장 퇴출 상태에 있는 과중 채무자에게 파산·면책을 통한 패자부활
전 통로를 크게 열어 놓고 있다”고 전했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개인의 재기를 도와 ‘자활’에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체가 있다. 사단
법인 한국지역자활센터(이하 지역자활센터)가 그 사례다. 실업, 기술·자금부족 등의 이유로 일할
기회를 찾기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안정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주로 병간호, 청소, 집수리 등의 업종에서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전국 247개소, 부산지
역에서는 16개 구․군에 18개 지역자활센터가 지정돼 저소득층의 자활자립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
다. 부산지역자활센터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자활성공자는 224명에 이른다. 자활센터와 자
활대상자들의 꾸준한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이다.
  그러나 정작 이를 뒷받침해야 할 정책은 여전히 문제를 안고 있다. 부산지역자활센터협회 관
계자는 “현 정부의 시작과 함께 모든 자활사업의 방향들은 일자리 창출과 연관된 형태로만 강요
당해 빈곤층의 자립과 자활은 목표가 아닌 수단이 되어가고 있다”며 “탈수급과 탈빈곤에서마저도
효율성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은 자활사업의 목적을 변질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앞으
로도 지속적인 자활사업 수행과 활성화를 통해 주민의 자활의지를 증진하고 향상된 자활 인프라
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2062
    • 글자 크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by 부대신문*) 1478호 미리내 징검다리 (by 부대신문*)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세월호와 함께 침몰한 언론,‘언론’이기를 포기하다 부대신문* 2014.06.04
부대신문 음모론은 바로 우리 옆에 있다 부대신문* 2015.04.01
부대신문 헬조선이 낳은 괴물의 초상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캘리그라피는 '쉼표'다 부대신문* 2013.11.12
부대신문 제로 페스티벌, 대학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다 부대신문* 2013.09.17
부대신문 프레젠테이션 없이는 잡스도 없었다 부대신문* 2012.05.03
부대신문 "법의관은 빛나지 않는 별이오 ” 부대신문* 2014.03.21
부대신문 건전한 의혹제기, 혹은 편집증적 망상 부대신문* 2015.04.01
부대신문 [색의 힘으로 세상을 칠하다] 색, 보이는 그대로가 전부는 아니다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불가리아 전통의상과 현대유행 부대신문* 2011.12.08
부대신문 과거 명성을 뒤로 하고 지금은 변화가 필요한 시점 부대신문* 2011.11.07
부대신문 한국과 다른 몽골의 음식 문화 부대신문* 2011.10.13
부대신문 세월호와 언론, 우리는 모두 피해자였다 부대신문* 2014.06.04
부대신문 시대에 흐름에 따라 빛바래온 ‘학문의 전당’ 부대신문* 2015.04.01
부대신문 제48대 총학생회 선거 위한 시행세칙 확정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아름다운 캠퍼스를 위한 굵은 땀 방울 부대신문* 2013.09.07
부대신문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패자부활전'이 없는 사회 부대신문* 2012.05.03
부대신문 1478호 미리내 징검다리 부대신문* 2014.03.21
부대신문 대학의 경계(境界)를 생각하며 부대신문* 2013.09.3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