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공감하고 있나요?

부대신문*2012.09.05 18:24조회 수 1400댓글 0

    • 글자 크기
    
   
  동물이든 인간이든 서로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건 상대의 슬픔이나 고통에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80년대 짧은 꼬리 원숭이에서 거울신경세포가 발견된 이후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물도 공감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물론 동물보다는 인간의 공감능력이 더 뛰어날 것이라 믿고 있다.
  그래서 21세기 최고의 지식인 제러미 러프킨은 자신의 저서 <공감의 시대>에서 앞으로 공감의 시대가 올거라 주장한다. 경쟁과 적자생존의 가치가 아닌 공동체정신을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감은 흔히 알고 있는 동점심과 다르다. 어떤 불쌍한 걸인을 보았을 때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들면서 ‘쯧쯧..’하고 지나가는 것은 동정심이고 그의 아픔이나 창피함을 같이 느끼며 하나의 인간으로서 같은 정서를 갖는 것은 공감이다. 청년 실업자들을 보는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다. 최선을 다하지 않았기에 임시직이라도 해야 한다고 동정어린 취업을 권할 수도 있지만, 그들의 아픔을 같이 느끼고 일자리를 모색하려 한다면 이는 공감적 행동이다.
   최근 제주도 강정마을에서는 공감하지 못하는 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은 강정마을에서 헌정사상 최초로 정복을 입고 종교활동을 하는 수녀와 신부를 대규모로 연행하고 자신의 마을을 지키기 위해 1인 시위를 하던 평화활동가, 어린학생들까지 무차별 연행했다. 또한 구럼비 해안바위 폭파 중 해경이 무리하게 환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동영상도 있었다. 영상 속에서 해군 대원들은 민간인의 수영 장비를 빼앗고 물속에서 폭행하면서, 물 위로는 브이를 그리며 웃고 있었다. 또한 강정마을 주민들을 때리고 어린 학생을 잡아당기며 폭행했다. 이것은 탄압정도가 아니라 거의 살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우리는 ‘안보’라는 단어만 나오면 강정마을에서 일어난 인권유린쯤은 모두 입을 다물고 있어야 할 것처럼 말한다. 우리학교 정문 앞에서도 강정마을 주민들이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1인 시위를 한 적이 있었지만 학생들이 관심은 커녕 시끄럽다며 욕하는 것을 들었다. 우리 모두 타인의 슬픔과 고통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공감불능’이라는 병에 걸린 것이 아닐까. 내 일에만 급급해 하지만 말고 이제라도 주변을 둘러보며 텅 빈 가슴을 따뜻한 공감으로 채우기를. 어떤 이유든 간에, 내가 아닌 다른 존재의 슬픔과 고통을 안타까워하고 그것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야 말로 인간적인 것이 아닌가.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2136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앵무새 죽이기>가 말해주는 변화를 위한 작은 용기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세월호 참사 3주기에 부쳐 - 기억하고 분노하고 사유하라!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때 아닌 발전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걱정도 팔자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이주의 mypnu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효원알리미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사필귀정의 시대 교훈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부산 사람 넋두리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상처로 엉겨붙은 인연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청년문화의 미래, 청(淸)년들에게 직접 청(聽)하다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길어지는 가방끈만큼 늘어나는 학비 부담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암남공원 해녀촌, 끝나지 않은 해녀들과 서구청의 갈등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누구나 즐기는 문화의 장 여성은 웃을 수 없었다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뉴스브리핑]1540호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모두가 즐기기 위한 대중문화, 웃을 수 없었던 여성들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그들만의 ‘프라이드’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청년 시리즈]불안하기만 한 부산청년의 부산나기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감사 지적받은 전 총학생회, 회의비 30만 원 반환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대중매체, 여성혐오 표현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부대신문* 2017.04.27
부대신문 해녀촌-서구청 법정 공방에 들어서다 부대신문* 2017.04.27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