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한글

부산대 학생들은?

Mich2013.05.10 00:57조회 수 3393댓글 16

    • 글자 크기

다른 대학 학생들과 다른점이 있다면 무엇이있을까요?!??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듣고 싶네요... 

    • 글자 크기
. (by LABS) 에효 건축학과 새내기들 참 불쌍하네요 (by 딩가딩가딩)

댓글 달기

  • 시험기간만되면 공부는 안하면서 자리만 축내는 사람이 드글드글
  • 빚이 얼마나 무서운지 실감
  • @닉넴생각안나염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닉넴생각안나염
    ㅜㅜㅜㅜㅜㅜ
  • 캠퍼스의 경사가 ㅎㄷㄷ.... 운동장의 넓이 축소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학교 정문의 주차장화?
    정도가 인상깊어요 @.@
  • @미어캣
    학교경사는 동의대, 동서대 못이깁니다ㅋㅋㅋ
  • @아후로
    2013.5.10 08:52
    동감... 동서대 한번 가보고 동서대 친구 앞에서 학교 산타기 힘들다고 안징징거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개개인의 사연이 더 많은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 저는 좋은 점 하나 들게요
    기숙사 밥이 맛있습니다(웅비관 제외)ㅋㅋㅋㅋㅋㅋㅋ
  • 아니 왜.. 다른 학생들과 다른 점이라는데 '학교' 비교가 나오는건가요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013.5.10 10:31
    캠퍼스가 이뻐요. 나무도있고 물도있고 숲사이 공원에 있으면 가끔 청설모도 보고 참새도보고 개미도 보고
  • Mich글쓴이
    2013.5.10 11:02
    저는 울 부산대 학우분들은 넘 공부만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너무 바르다는 것과..
    또 편입생들이나 사연 많으신 분도 많은 것 같고 .. 음
    물론 저만 이렇게 생각할수 있어..ㅜㅜ
  • 저번에 바위 위에 뭐가 있길래 봤는데 청설모가 고양이만했음... 무서워요@_@
  • @삼색이
    2013.5.10 19:26
    청설모가 왜 무서워요 ㅠㅠ
  • @M.A.C
    청설모다람쥐잡아머거여ㅠㅠ
  • @나ㅓ랴더
    2013.5.11 20:33
    아니에요 ......
    네이버에 청설모 한번 검색해보세요 ......
    그건 괴담ㅠㅠ
    청설모 미워하지마세요 ..
    청설모도 우리나라 토종 동물이에요 ㅠㅠ


    국제신문에서 퍼 왔습니다.
    부산환경교육센터와 함께 하는 환경 이야기 <6> 청설모가 다람쥐를 잡아먹어?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청설모.
    "부산 해운대 동백섬에 풀어놓았던 토끼가 어느날 사라지더니 청서만 보이더라. 청서가 토끼를 다 잡아먹은 것인가." 지난해 가을 어느 단체 강의를 갔다가 받은 질문이다. 과연 청서가 토끼를 잡아먹은 것일까.

    청서는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함께 살아온 살붙이 같은 동물이지만, 이러저러한 오해에 휩싸여 미움을 받고 있다. 이번 기회에 청서의 한(?)을 좀 풀어줄까 한다.

    일단 이름부터 살펴보자. 원래의 이름은 쥐목, 다람쥐과 청서속 동물로 '청서(靑鼠)'이다. 청설모(청서모·靑鼠毛)는 한자로 풀이하면 청서의 털이라는 뜻이 된다. 탐스러운 청서의 꼬리털이 고급 붓의 재료로 쓰여 유명세를 타다 보니 청설모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어렸을 적엔 청서보다 다람쥐를 더 많이 볼 수 있었는데, 요즘 숲은 청서 천국이다. 청서의 천적인 늑대 여우 구렁이 같은 동물들이 인간의 무분별한 숲 파괴로 사라지면서 전성기를 맞았고, 다람쥐와 비교해 생김새도 좋지 않게 평가되면서 청서가 다람쥐를 모두 잡아먹는다든가 우리 고유종이 아니고 일본에서 들어왔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청서는 벌레나 작은 새알을 먹기도 하지만 주로 나무열매를 먹고사는 동물로, 다람쥐를 잡아먹을 정도의 육식성은 없다. 다람쥐는 주로 땅 위, 청서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먹이 또한 다람쥐는 땅에 떨어진 도토리를, 청설모는 나무에 달린 잣이나 호두 등을 먹기 때문에 먹이 다툼도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인간들에 의해 이들이 마음놓고 살아갈 환경이 점점 좁아지면서 힘이 약한 다람쥐가 다른 곳으로 옮겨가 버려 우리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이다. 인적이 드문 한적한 숲길에서는 다람쥐를 자주 만날 수 있다.

    청서의 명칭은 'Korean squirrel' 즉, 한국다람쥐로 표기된다. 비록 쥐과로 천시되어 옛 문헌이나 민화에는 별로 등장하지 않지만 청서는 오히려 세계적으로 다람쥐보다도 인정받는 분명히 우리 토종 동물이다.

    청서는 소나무와 깊은 관계가 있다. 청서는 버려진 까치둥지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에 엉성하게 나뭇가지로 둥지를 만든다. 소나무 아래에서 위를 쳐다보면 가지 끝에 나뭇가지로 집을 만들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소나무가 많은 산에 가보면 솔방울이 다 뜯겨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청서가 날카로운 이빨로 솔방울을 잡아 뜯어 안쪽 깊숙이 박혀 있는 솔씨를 먹은 흔적이다. 아이들은 이를 닭다리라고 부른다.

    숲을 거닐다 부스럭부스럭 소리가 나면 나무 위를 한번 올려다보라. 열심히 솔방울을 뜯는 청서와 눈을 마주치면 그 까맣고 예쁜 눈과 인사하고 앞으로 사랑해 주겠노라 약속하면 어떨까. 사람들이 편한 쪽으로 자꾸만 변해가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느라 고단한 청서에게 말이다.

    정주혜·숲연구소 부산경남지부 지부장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9604 진지한글 아이폰4s 전면유리 아작났어요 ㅜㅜ 교체비용 아시나요>6 비쥬 2012.11.28
9603 진지한글 .11 LABS 2013.07.20
진지한글 부산대 학생들은?16 Mich 2013.05.10
9601 진지한글 에효 건축학과 새내기들 참 불쌍하네요14 딩가딩가딩 2012.04.08
9600 진지한글 .1 요로코롬이로코롬 2014.12.26
9599 진지한글 오늘 순뻐에서 머리 맞으신 여자 분게 사과드리겠습니다..3 성재와쪄염뿌우 2013.12.12
9598 진지한글 여성전용좌석;;2 스맛 2011.10.28
9597 진지한글 여러분의 작은관심이 필요합니다.6 쵸코파이 2015.04.19
9596 진지한글 저도 학교 전화해봤습니다15 크롱크롱쿠크 2016.10.05
9595 진지한글 경암에서 스쿼시 다니는데 강사님이 참...3 그린보이 2012.11.12
9594 진지한글 ★★커플대상 설문조사 실시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5 12351231 2015.09.14
9593 진지한글 열받음11 페쿠(온달) 2013.04.06
9592 진지한글 학생과 전화받는여자 싸가지없네요9 풍덩풍덕 2014.08.22
9591 진지한글 <칼럼>황장엽은 말했다 남한에 간첩이 5만명이라고8 비회원 2011.08.25
9590 진지한글 [레알피누] ROTC 한자시험 부정의 배경8 Oyster2000 2015.01.15
9589 진지한글 중도지진??3 뿌악뿌우악 2013.06.17
9588 진지한글 고양이 키우실 분8 우왕. 2016.10.28
9587 진지한글 왜 학교는 학생들의 노력을 짓밟는가?4 똑디 2017.07.01
9586 진지한글 .18 장삐쭈 2017.07.17
9585 진지한글 안타까워서..1 wertsdfg 2017.11.2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