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한글

어이 없는 신문 기사

비회원2011.08.04 20:13조회 수 2570추천 수 1댓글 3

    • 글자 크기


대부분 학자금 생활비 모자라 이용…금융기관 무분별 대출-수수방관 당국도 문제

[CBS 임형섭 선임기자] #1. 서 울에 사는 대학생 이모양은 야간대학을 다니면서 아르바이트를 해서 대학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월 90만원을 버는 아르바이트로 등록금을 내고 생활비를 쓰기에는 빠듯했다. 결국 대부업체에 3천만원의 빚을 지게돼 전전긍긍하던 중 어머니가 이를 알고 2천만원을 상환할 수 있었다.

#2. 최모씨는 집에서 멀리 떨어져 대학을 다니는 아들이 고민이 많은 듯 해서 캐물어 보니 2년전부터 대부업체로부터 대출을 받아온 사실을 알게됐다. 최군은 대부업체로부터 돈을 빌려 용돈으로 사용한 것 같다는 것이 아버지의 말. 최군은 용돈으로 이자만 갚아오다가 결국 아버지에게 털어놓게 됐다.

#3. 어머니 김모씨는 대학에 다니는 아들이 학자금 대출 명목으로 두 곳의 대부업체로부터 4백만원을 대출받은 사실을 알게 됐다. 아들이 대출을 받은 돈으로 게임비와 아이폰 구입비 등으로 사용한 것 같다는 것이 어머니 김씨의 말. 김씨가 대위변제를 해줬으나 현재 아들은 가출한 상태.

금융감독원이 대부업체의 대학생 대출 취급현황을 조사한 결과, 4만 8천명의 대학생이 대부업체로부터 794억 6천만원의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대출건수는 57%이상 대출잔액은 40%이상 증가한 것이다.

문제는 이들 대학생들이 대부업체로부터 돈을 빌린 다음 돈을 갚지 못하는 연체율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연체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11.8%에서 3.1%포인트 증가한 14.9%나 된다. 결국 이들은 돈을 갚지 못할 경우 사회에 진출하기도 전에 금융채무불이행자 즉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대부분 대학생들, 학자금 생활비 모자라 대부업체 이용

금감원이 대학생들이 대부업체로부터 빚을 지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학자금이 전체 42.4%로336억 8천만원에 이르고 다음으로 생활비로 24.8%(196억 8천만원) 그리고 용돈 등 기타가 23.5%(186억 3천만원)이다.

대학생이 빚을 지는 가장 큰 이유는 사례 1에서 보듯이 학자금과 생활비 마련 목적인 것으로 파악돼 비싼 등록금과 취업난이 대학생에게 빚을 지도록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실제로 대학생 신용불량자는 지난 2007년 3천 785명에서 2008년 1만 250명, 2009년 2만 2천 142명, 2010년 2만 6천명으로 증가했다.

◈빚지기 너무 쉽다. 왜?

그러나 더욱 큰 문제는 이들 대부업체들이 대학생들의 신분증과 등초본 등 간단한 서류만 받고 바로 대출을 해주는 것.

사례 2,3에서 보듯이 아직 사회 물정을 모르는 대학생들은 손쉽게 돈을 얻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쉽게 유혹에 넘어가는 것이다.

대부업체로서는 손해보지 않는 장사인 셈. 아들 딸을 신용불량자로 만들지 않으려는 부모들이 대위변제를 해줄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매년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는 등록금과 함께 소비사회는 젊은 대학생들을 빚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대부업체뿐만 아니라 저축은행도 똑같은 영업행태

문 제는 대부업체만이 아니다. 부동산 경기 하락 등으로 여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축은행들도 최근 대학생들에게 신분증과 등초본 등 간단한 서류만 받고 바로 대출을 해주고 빚을 못갚으면 부모에게 독촉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분당에 사는 백모씨는 올 3월 대학생인 아들이 5백만원의 빚을 안갚는다는 모저축은행으로부터 독촉을 받았다. 백씨가 알아보니 아들이 용돈으로 사용한 것. 그런데 문제는 이 저축은행이 신용대출형태로 대학생인 아들에게 간단한 서류만 받고 대출을 해줬다는 것이다.

백씨는 결국 저축은행이 부모의 소득만을 보고 대학생에게 대출해준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이같은 제2금융권의 대출행태를 금융당국에서 수수방관하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금융기관의 무분별한 대출, 빚권하는 사회 그리고 수수방관하는 당국, 이 세박자가 청년들을 신용불량자로 내몰고 있다는 비판이다.


-------------------------------------------------------------------------------------------------------------------

이거 너무 한거 아냐, 하다하다 안되니까 대출 끌어서 반 값하고 연결하려고 했는데

예시가 전부 어이 상실임.

전부 갚을 능력 되는 집인데 결국 학생이 놀라고 그런거잖아. 당황스럽다. ㅋㅋㅋㅋ

이런거 나오면 오히려 반감만 생기는거 같은데

신문기자도 배운 사람인데 이게 머지 ㅋㅋ

    • 글자 크기
어이가 없어서 제가 우리 선본 운동원한테 받은 카톡도 올립니다 (by lottegiants@pusan.ac.kr) 어버이날을 맞아서 카네이션을 사려합니다 (by Raccuun)

댓글 달기

  • 솔직히 지금 등록금 너무 비싼거 같긴한데,. (수도권 사립대,.;;)


    시험기간에 부산대 도서관 자리 잡기 너무 힘들어서 그냥 집앞에 있는


    Y대학교 도서관가는데,. 진심 자리 1/3이상 찬걸 본적이 없다,.


    작년에 재수할때도 주말마다 다녔지만,. 진짜,.


    내가 낸 세금으로 저놈들이 놀고 먹는 꼴은 못보겠다 -_-

  • 음 오늘 뉴스에 대학생 5만명 정도가 대부업체에 빚을지고있다는데 학자금관련이 40%였나...

    나머지 60%는 무슨이유로 돈을빌린걸까요...아마 멋도 모르고 카드만들엇는데 결제일와서 빌렷거나 명품삿거나 이런게 대부분아닐까요 나머지들은....

  • 비회원 (비회원)
    2011.8.5 10:37

    레알 어이없다 ㅡㅡ;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6828 진지한글 어제 새벽 편의점에서 껌사시고 가신분 보세요7 순환버스 2018.12.02
6827 진지한글 어제 새벽 4시반까지 빡공햇는데3 부산대꿀벌 2019.12.12
6826 진지한글 어제 상대 312강의실에 핸드폰밧데리1 닉네임뭘로해야돼 2013.11.07
6825 진지한글 어제 부산대신문사에 전화했는데..3 달퐁이 2011.10.05
6824 진지한글 어제 밤 부산대 정문에서 겪은 일33 탱굴탱굴 2018.10.29
6823 진지한글 어제 무한도전에서 환경미화업에 종업하시는분들 쀼뿌꺄까 2017.04.02
6822 진지한글 어제 메가 오락실에서 제 지갑을 찾긴 찾았는데10 아이러브스쿨 2015.03.17
6821 진지한글 어제 국제관 강의실에 놔두고간 핸드폰 효닝 2016.03.04
6820 진지한글 어제 국제경영학(유승훈 교수님) 수업 들어가신 분~~ 초쿄숭이 2013.03.05
6819 진지한글 어제 국제경영학(유승훈 교수님) 들어가신분 없나요 ㅜㅜ6 초쿄숭이 2013.03.05
6818 진지한글 어제 jtbc 9시 뉴스 조선과 백점기 교수님인터뷰..8 로켓맨 2014.04.17
6817 진지한글 어제 9시 40분경에 학장동으로 가는 77번에서 학생증 흘리신 화학과 12학번1 jingyuV 2013.07.19
6816 진지한글 어제 6시 40분경 기숙사에서 내려가시던 체크남방+살색바지입은 남자분 ♥7 반짝반짝...☆ 2012.05.23
6815 진지한글 어이없는 일을 당했습니다 ㅋㅋㅋㅋㅋ11 =8= 2012.05.08
6814 진지한글 어이없는 사람있네요?ㅡㅡ1 장난치나 2011.09.21
6813 진지한글 어이가없네1 Foca 2018.09.08
6812 진지한글 어이가 없어서 제가 우리 선본 운동원한테 받은 카톡도 올립니다14 lottegiants@pusan.ac.kr 2012.11.26
진지한글 어이 없는 신문 기사3 비회원 2011.08.04
6810 진지한글 어버이날을 맞아서 카네이션을 사려합니다2 Raccuun 2016.05.03
6809 진지한글 어미가 도로 한복판에 버린 새끼고양이 데리고 가실분 구합니다3 hhhhhhhhhhha 2020.04.2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