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한글

입결관련 논란을 보고 드는 생각.

안녕12012.03.14 00:12조회 수 3024추천 수 1댓글 13

    • 글자 크기

왜 학기초만 되면 중경외시건동홍이란 말이 튀어나오면서 입결관련 논란이 나오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학기초란 기간의 특수성으로 추측컨데, 막 입학한 새내기들이 이슈를 만들고 재학생이 거기에 동요하는 건가..라고 소설을 한번 써보지만


그냥 그러려니하고 보통 넘어가는데, 입결관련 글과 댓글들을 보고 저도 제 생각을 적어봅니다.


도대체 왜 입결을 그렇게 따지시는가요?


우리학교가 중대급이든 건대급이든 그게 그렇게 중요한가요?


1.


서울갈 수 있었는데, 싼맛에 오다니요. 


혹시 등록금 500만원 직접 벌어보시고 그런 말 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렇게 벌어봤다면 자신이 번 그 돈을 현금으로 창구에 직접 500만원을 내보셨는지도 궁금합니다.


저는 130만원되는 돈도 직접 내보려니까 창구앞에서 그게 그렇게 커보였습니다.


이게 무슨 유니클로팬티랑 캘빈팬티의 차이인줄 아십니까? 도란이랑 신발3포션의 차이인줄 아시나요. 햄토스트랑 참치토스트의 차이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어디 뽐뿌좀 하다오셨는지 모르겠는데 가성비라니요. 이게 무슨 뮤탈 짤짤이하는 소리입니까.


국립대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등록금을 싼맛이라니요. 


어디 천탁에서 만원의 행복시키는 소리를 하고 계십니까.(천탁사랑합니다)


저렴한 등록금에서 파생되는 효과들을 생각해보셔야지요.


만약 부모님께 부탁드리면 거기서 오는 미안함이며, 직접 벌어야 된다면 말할 것도 없겠지요.


학자금대출하면 나중에 취직하면 그거 갚고 살아야합니다. 500만원의 연이율 3.9%면 19.5만원입니다.

(이게 1년만 내는 게 아니라 갚을 때까지 내는 겁니다, 500만원만! 빌렸다고 했을 때)


우리학교 경우 학생과를 중심으로한 학생복지 프로그램과 장학금을 이용하면 상당히 저렴하게 학교를 다닐 수 있다는 걸 아실 겁니다.


돈 벌 그 시간에, 그 비용으로 자기가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면, 해외라도 한 번 더 나간다면 훨씬 이득이지 않을까요?


그렇다고 수도권에서 학교의 위상을 생각해 상대적으로 비싼 등록금 내고 다니는 사람은 뭐냐라고 혹시나 물으신다면


선택이란 단어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거기를 택한 사람은 자신의 시간과 비용을 생각해서 간 겁니다. 


자기 선택은 자기가 하는 거지요. 부산대를 택한 사람은 부산대를 다니는 거고, 수도권대학을 간 사람은 and vise versa..


성적 보고 왔든, 가까워서 왔든, 배우고 싶은 전공때문에 왔든,


내가 오고 싶어서 왔으면 다른 사람은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It's non of your business



2.

학교에 들어왔다. 그럼 그냥 자기할 일 하는 겁니다.


왜 그렇게 학교 입결을 따지는 지 모르겠습니다.


우리학교가 건대급이면 어떻고 하버드급이면 어떻습니까.


우리학교 입결이 낮아지면, "아 나는 열심히해서 들어왔는데, 입결낮아지면 억울행!" 라고 생각하시나요.


제 눈에는 아이들 유희왕 카드갖고, 내 카드가 공격력이 500이네 뭐네 하는 걸로 보입니다.


군대시절, "아~~ 요즘 이등병들 보면 참.. 내때는 말이야.."


지하철에서, "할아버지가 아~~ 요즘 것들 보면 말이야..근본이없어 내때는 말이야~"랑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물론, 저도 입결관련 글 보면 솔깃합니다. 내 입학할 때와 어떻게 달라졌는가.


그렇다고 거기에 뭐라!! 부대가 건동홍!!!!!!!????????? 이런 댓글 안답니다. 그냥 보고 지나칩니다.


저뿐만 아닙니다. 그냥 다들 그렇게 지나칩니다.


왜냐, 자기 할 거 하기 바쁘고, 소모적이란 논쟁이란 걸 알기 때문입니다.


주위에 열심히 하는 친구는 잘됩디다.


물론 학벌, 집안 중요하겠지요. 이런 것들이 인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부정할 순 없을 겁니다.


그렇다고 이런 것들'만으로' 인생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면.. 하... 네..그렇게생각하세요.


이런 류 대학학벌 논쟁을 일으키는 사람들을 훌리건이라고 하지요.


네. 이름 하나 잘 지었네요. 축구장에서 난동피우는 사람입니다. 휩쓸리지 않길 바랍니다.


어디가 높고 낮은 건 물론 흥하는 떡밥이지만, 입결 높고낮고는 '본인의!!!!'인생에 큰 관련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극단적으로 부대가 SKY급이냐..라고 여기지 마시고 


줄자 대고 도토리 키재지 말자는 겁니다.  


그리고 사범대, 법대 인풋이 부산대를 지켜주는 게 아닙니다. 


교수, 학생, 지원이 부산대의 구성원입니다. 대학의 3주체 모르십니깡? 트리니티?


잉...글이 왜케 길어졌징 ㅠㅠㅠㅠ


혹시나 내가 취업할 때 혹은 앞으로의 아웃풋(부산대란 학벌)이 떨어질까봐 학교 인풋이 떨어지는 걸 안타까워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주말에 일찍일어나 찬물에 세수하시고 금정산 정상에서 일출 한번 보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너무 길어졌네요.



2줄요약


1. 입결논란. 내가 가고싶은 곳 가는 거다. 선택은 본인의 몫.

2. 어디가 좀 높고낮으면 어떻냐, 지가 잘하는 게 더 중요하다.


p.s 혹시 이런 글 쓰려면 "자격요건 : 부산대 최상위학과 혹은 그에 준하는 입결성적"이 필요한가요?ㅋㅋㅋㅋ

      지금이 무슨 사농공상 조선시댄줄 아나 ㅋㅋㅋ


굿나잇!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904 진지한글 13 요기베라 2013.05.28
903 진지한글 제가 학고를 두번이나 받았는데요13 다음은쓰리고 2016.02.11
902 진지한글 [레알피누] 삭제13 dkdhodlTsi 2019.03.21
901 진지한글 ★학교에 대한 정보문의는 과사무실이나 행정실로(전화번호부)13 으어아으어 2017.07.17
900 진지한글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3 아노말로카리스 2019.03.09
899 진지한글 113 소주서너잔 2014.12.30
898 진지한글 인원 증원되면 2차수강신청때 하면되나요?13 매콤한쭈꾸미 2015.02.05
897 진지한글 강아지 잃어버리신분 계신가요?13 효닝 2016.04.07
896 진지한글 .13 KS서울날씨청 2018.11.21
895 진지한글 ㅂㄱㅎ 무슨일?13 난난난내 2012.12.07
894 진지한글 도서관 테이크아웃컵 문제 같이 해결합시다13 INBair 2015.04.11
893 진지한글 NC백화점 기둥 균열있는거 같은데13 죠죠기 2016.07.04
892 진지한글 군미필자는 평양으로!13 난말이에요 2012.11.26
891 진지한글 고양이 잃어버리신 분 ㅜㅜ13 김굴 2018.03.14
890 진지한글 총학이 드디어13 공고 2011.09.20
889 진지한글 .13 고장난선풍기날3개 2014.10.11
888 진지한글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3 qqqwwweeefff 2019.11.01
887 진지한글 졸업시 토익 점수13 ㅂㅈㄷㄱ 2019.01.06
886 진지한글 복학생인데,,, 동아리 다 놓쳤군여... 혹시 수시접수하는 곳이라도...13 싱싱청과물 2017.03.23
885 진지한글 [레알피누] 새벽벌도서관 청소 안하나요?....13 지훈 2018.07.1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