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이자율과 인플레이션

그런거업쪙2015.04.19 22:10조회 수 3044댓글 9

    • 글자 크기
1. 채권 수요 공급에서 말하는 이자율은 실질이자율인가요??? 보통 경제에서 말하는 이자율은 실질아자율인가요??

2.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관계는 채권 수요공급으로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름면 이자율이 상승한다는데 왜 그런가요?(여기서 이자율도 실질이자율인가요?)

아시는 분 답 좀 부탁드립니다ㅜㅜ
    • 글자 크기
아오 혹시 간호학과 분 계시나요? 간호학과 분들 좀 봐주세요 (by 좀그렇네) 순대아저씨 (by Domi)

댓글 달기

  • 1. 명목이자율 :  일반적으로 명목현금흐름에서의 이자율은 명목이자율, 실질현금흐름을 고려할 때의 이자율은 실질이자율입니다

    채권같은경우 현금흐름이 딱딱 정해져있으니 명목이자율로 보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2. 상식적으로 채권수익률(이자율)이 5%인데 물가상승률이 7%면 채권에 투자하지 않겠죠?

  • @길가던상대생
    그런거업쪙글쓴이
    2015.4.19 22:16
    명쾌한 답변 감사합니다ㅜㅠ 시험 잘치세요^^
  • @그런거업쪙
    근데 무슨과목 / 무슨교재예요? 채권공부 엄청열심히하시는거같네요
  • @길가던상대생
    그런거업쪙글쓴이
    2015.4.19 22:41
    화폐금융론 전공과목이에욬ㅋㅋ저번에 올렷던건 재무회계엿어요~~
  • 1.실질이자율입니다. 채권 수요의 증가는 대부자금 공급의 증가로 실질이자율을 떨어트립니다.
    2.피셔방정식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 @부대일사
    질문을 잘못읽었네요 제가 ㅜㅜ
    채권의 수익률 이자율이 아니고 수요에 관한 이자율이면 실질이 맞는거 같네요
  • @길가던상대생
    그런거업쪙글쓴이
    2015.4.20 22:32
    죄송한데요 만기가 증가할수록 이자율이 상승하는 이유가 만기가 길어질수록 유동성이 떨어져서 채권수욕가 감소해서 그런거 맞나요?ㅠ
  • 1. 채권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이자율은 명목이자율입니다. 실질이자율 이라는 것은 이 세상에 어디에도 명시적으로 나와 있지도 않은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실질이라는 말을 붙이지 않는 이상 보통 경제에서 말하는 이자율은 명목이자율입니다.
    그리고 유명한 피셔효과라는 것에 의해서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인플레이션율' 로 나타내질 수 있습니다.

    2. 위의 피셔방정식에 따라서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르면 명목이자율은 변하지 않는다면 실질이자율은 떨어집니다. 즉, 채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이표채의 경우 자신이 받는 이표액의 가치가 떨어진 것으로 느낄 수 있죠. 그렇게 되면 채권수요가 감소한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 곧 이자율 상승 ) , 다른방식으로는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책의 설명을 빌리자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른다는 것은 채권을 제외한 실물자산의 가격 상승을 기대하게 되므로 실물자산의 기대수익률이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르고 따라서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즉, 채권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댓글에 있는 질문에 대해 답을 드리자면 , 만기가 길어질 수록 이자율이 상승하는 건 기본적으로 투자자들은 위험이 적은 단기 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장기채권의 경우에는 특정한 유인이 필요합니다. 그게 유동성 프리미엄이라는 개념이고 , 만기가 길어질 수록 유동성 프리미엄은 증가합니다.
    추가적으로 수익률 곡선에 대해 공부하시고 계실거 같은데, 우상향하는 수익률 곡선을 보시고 왜 만기가 길수록 이자율이 증가하느냐에 대한 질문이시면 금방 했던 답과 더불어서, 단기 채권의 이자율이 앞으로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장기 채권의 경우에도 만기가 길어질 수록 더 높은 이자율을 보이게 될 것입니다.
  • @잠충이
    그런거업쪙글쓴이
    2015.4.21 10:57
    감사합니다~~ 시험잘치세요ㅎㅎ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2990 질문 부산에서는 교통카드 뭐쓰나요??9 익명 2016.02.15
2989 질문 이 시간에 피씨방 말고 프린트 할 수 있는 곳 아시나여?ㅜㅜ9 합리적아싸 2017.04.18
2988 질문 심야챗방 재밋나여?9 북문자취녀 2011.08.20
2987 질문 아오 혹시 간호학과 분 계시나요? 간호학과 분들 좀 봐주세요9 좀그렇네 2012.02.02
질문 이자율과 인플레이션9 그런거업쪙 2015.04.19
2985 질문 순대아저씨9 Domi 2018.05.21
2984 질문 이사 용달 불러보신분 ㅎㅎ9 쮸바 2018.01.19
2983 질문 [레알피누] 건도9 미쓰홍당무 2015.05.05
2982 질문 부산대주변에 피아노9 TGIC 2016.04.30
2981 질문 부산대앞 혼자먹기 좋은 우동집 있나요?9 뀨잉잉 2016.07.12
2980 질문 11학점 이수처리로 국장 못 받게 되었는데9 nni 2014.07.07
2979 질문 다들 과외 어떻게 구해요?9 14도이제헌내기 2015.09.28
2978 질문 베트남어9 보꾸보꾸 2015.02.16
2977 질문 세법개론 소득세 2문제만 봐주실 분 계실까요? ㅠㅠ9 붓산대 2020.06.21
2976 질문 .9 뀨릉이 2017.12.05
2975 질문 기초프랑스어 수업9 aasdfghjkl) 2017.03.06
2974 질문 조립용 피씨에 능통하신분 도와주세욥!9 았뜨꺼호빵 2014.09.14
2973 질문 엽떡 부산대점 괜찮나요??9 돌돌돌돌돌이다 2018.09.01
2972 질문 현수막에 개강총회 시간 장소가 적혀있지 않던데요9 johnas 2015.03.05
2971 질문 산공 전과요9 부부부부산 2020.03.1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