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은 집주인에게 어떤용도로 사용되나요??

납작한 부처손2017.11.23 12:53조회 수 1598댓글 8

    • 글자 크기

이런쪽에 지식이 없어서그런데 ㅠ

월세는 제가 매달 내는돈으로 집주인이 이득이 있잖아요?

 

그런데 전세는 제가 예를들어 5천만원정도 내고 월세안내고 지내는거맞죠??

그럼 집주인은 어차피  계약기간후에 그 5천만원을 저에게 줘야하잖아요..

그럼 무슨 집주인에겐 어떤 이득이 있는거죠???

 

그리고 전세랑 집을 아예 구매하는거랑은 뭐가다른거죵...

    • 글자 크기
부동산 무단침입 신고 가능한가요? (by 뛰어난 광대싸리) 교내에 지금 왜 계속 음악이 나오는 건가요..? (by 적나라한 꼬리풀)

댓글 달기

  • 예금만 해도 이자가 나오죠
  • 보통 건물 살때 자기 돈으로 100프로 못사니까 대출끼고 전세금껴서 사더라구요 다른 건물 사던가 여튼 자금이있어야 하니까 일부는 전세로 돌리고 일부는 월세로 하는걸로 알아요
  • 집주인이 자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1. 개인적인 재테크로 이익을 불림.(주식, 펀드 등..)
    2. 신축일 경우, 원래 혼자 돈으로 다 못 짓는데, 은행에 대출을 몇 억씩 받아서 짓게됨
    이때 대출이자가 상당히 발생함. (예를 들어 5억 대출에 연이자 3퍼만 해도 1년에 이자만 산술적으로 계산해도 1500만원입니다.)

    만약 전세금으로 목돈이 들어오면 은행에 원금을 갚음.
    그러면 원금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대출이자도 감소함. 그래서 신축의 경우 전체를 전세 주는 게 아니라
    일부 세대는 전세로, 나머지는 월세로 돌림. 전세금의 경우 다른 세입자가 들어오면 그 사람의 전세금을
    받아서 나가는 세입자에게 돌려줌.

    전세금으로 은행대출을 갚아서 대출이자를 줄이게 되면, 사실상 월세 받아서 은행에 더 많은 대출이자를 갚는 것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또이또이 한거죠.

    혹은 전세금으로 목돈을 마련해서 또 다른 건물을 산다던가.. 그걸 갭투자라고 하던가요.

    저도 이리저리 주워들은 거니까 그냥 참고만 하세요.

  • @깜찍한 달뿌리풀

    아 그런 사정이 있었네요~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됐어요!

  • @깜찍한 달뿌리풀
    이해가 확 되네여ㅎㅎㅎㅎ
  • 현금은 가지고 있으면 유용하죠. 최소한 예금이자도 있구요.
  • 20세대 들어선 오피스텔이나 원룸에서 전세 5천씩 받으면 건물 하나 더 지어짐. 세입자 나갈 때 전세금은 다음 세입자한테 받는 전세금으로 돌려주는 식으로 돈 불리는 겁니다.
  • 위에 설명 잘 해주셔서 별로 필요는 없겠지만 좀 덧붙이자면...
    전세보증금의 예금금리만큼 임대료를 지불하시는 거라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5천에 은행 이자가 1%면 집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 연 50만원씩 집주인에게 지불하고 있는 거죠. 집을 위해 임차인이 그 돈을 다른 곳이 투자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을 포기한 거니까요. 그리고 집에 세입자가 입힌 손해를 복구하기 위해 보증금을 담보로 들고 있다고 볼 수 있구요.
    전세와 구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처분권의 유무입니다. 전세는 집에 대한 사용권만을 가져요. 구매는 사용권과 처분권을 같이 가지죠. 예를 들어 내가 살고 있는 집 옆에 지하철이 들어왔어요. 그럼 역세권이 될 텐데, 전세의 경우 지하철 개통으로 인한 편의는 누릴 수 있지만 지가 상승으로 인한 이익은 볼 수 없죠. 구매의 경우는 편의 상승과 더불어 자산가치 상승에 대한 부분까지 모두 얻게 되는 거구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29269 [레알피누] .1 애매한 쇠고비 2018.04.18
129268 부동산 무단침입 신고 가능한가요?11 뛰어난 광대싸리 2018.01.25
전세금은 집주인에게 어떤용도로 사용되나요??8 납작한 부처손 2017.11.23
129266 교내에 지금 왜 계속 음악이 나오는 건가요..?10 적나라한 꼬리풀 2017.09.30
129265 전 세계 어디를 가도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5 부지런한 노랑어리연꽃 2017.08.28
129264 평점 3.7~3.8으로 화학공학과 복수전공이 가능할까요?6 냉철한 감자 2017.08.13
129263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3 멍청한 뱀고사리 2017.04.20
129262 부산대 앞에 한창컴퓨터 학원1 겸연쩍은 마디풀 2017.04.08
129261 커뮤니티 사이트를 한다는것에 대해서(디씨,일베,오유,메갈 등등)41 흐뭇한 뱀고사리 2016.05.23
129260 지금 기숙사에서 뭐 하나요? 너무 시끄러워요3 치밀한 애기봄맞이 2016.05.11
129259 현장실습 금감원 부산지부12 방구쟁이 메타세쿼이아 2015.12.03
129258 중도 1열람 우에에엥에ㅔㄱ 케에에에엥엑6 착잡한 서양민들레 2015.10.13
129257 gsp 어때용?7 푸짐한 깽깽이풀 2015.09.06
129256 비만관리 원어랑 영화로 읽는 스포츠 이슈6 한심한 깨꽃 2015.08.17
129255 노트북열람실 인터넷 원래 잘안되나요??14 참혹한 무스카리 2015.06.27
129254 성적 관련해서 질문요!8 겸손한 지리오리방풀 2015.06.26
129253 노어노문 부전공7 정겨운 접시꽃 2015.06.01
129252 신축원룸은 전세5000에구할수있나요??5 활동적인 옥수수 2015.05.24
129251 질문있습니다. 하시시박5 키큰 큰앵초 2015.05.11
129250 장박사님..영문판사야할듯요..21 멋쟁이 고들빼기 2015.04.2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