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비인간적인 동물은 인간이다

고상한 풍접초2014.01.29 13:58조회 수 1915추천 수 2댓글 26

    • 글자 크기

sbs에서 방송한 who am I 방송 보았는데 조정래 소설가 할부지 나왔어요


게걸스럽게 식탐을 보이며 무언가를 처먹을때, 개나 돼지처럼 먹는다고 했는데

연구를 위해 돼지 배를 갈라보니, 위장의 7~80% 밖엔 안 차있더랍니다.


그런데, 배가 터지도록 처먹는 인간은 얼마나 동물보다 못해질 수 있는가 생각해보게 되네요..  물론 그 인간이 접니다 -_-


인간적이다라는 것의 의미가 사랑과 배려, 자비, 존중 등등의 긍정적인 속성들을 의미한다는 전제하에,

인간의 탐욕이라는 것은 오히려 인간을 가장 비인간적으로 만드는 모순적이고 비윤리적이고 순리를 거스르는

인간의 부정적인 속성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돈이라는 것의 속성은, 인간을 인간적으로 만드는 걸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 의문에 대하여 굉장히 혼란스럽습니다.


물론 제 힘에 의한 것이 아닌 가족의 영향이 컸지만, 제 삶에서 돈이 아주 많았던 적도 있고 아주 없었던 적도 있습니다.

돈이 많을때는 선택의 홍수 속에 절제를 하지 못해 불행했죠.

돈이 없을 때는 사랑니 염증이 생겨 잇몸이 부어 신경이 끊어질 듯 아파도

염증치료비 3만원이 아까워 치료를 하지 못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내 삶과 주변 환경과 나 자신을 뒤돌아 보면,

돈이 많을 땐 무절제와 인간적인 가치를 발견하지 못했던 저의 무지가  저 자신을 쾌락에 물들게 했고,

가난할 땐 무엇도 제 능력으로 할 수 없는 무력한 상황이 저를 힘들게 하더군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적이기 위해선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꿈을 위해 배고픈 소크라테스, 안락함을 추구하는 배부른 돼지..

물론 개인마다 다를 겁니다. 안락함을 추구하면서 남의 일에 신경쓰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느껴질 수도,

아무리 힘들고 몸이 아프고 고단하더라도 꿈이라는 가치를 포기할 수 없는 사람도 있겠죠..

그러나 양 극단이 아닌 그 어정쩡한 중간에 있는 사람들, 적당히 편안해지고 싶고 꿈이나 적성을 놓치고 싶진 않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옳고 그름의 판단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중심을 가질 수 있는 길이 있을까요?

각자 생각들은 어떠신지요?


이정토에 글을 쓰려다 정치관련이슈만 적는 것 같아 여기다 물어봅니다.

    • 글자 크기
가장 야한 입김은? (by 활동적인 짚신나물) 가장 나쁘지않은 거절방법 (by 활달한 으름)

댓글 달기

  • 어우 중2 냄새
  • @착실한 병꽃나무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04
    당신같은 사람도 있군요.. 아니 당신같은 사람이 지금 대한민국의 대부분이겠죠.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한.. 그래도 공감능력과 배려라는 인간성을 버리지 맙시다 우리
  • @글쓴이
    진지한 생각을 싫어하는 저딴사람 무시하세요
  • 돈많으면장땡
  • @깨끗한 뽕나무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21
    장땡도 37땡잡이나 사구에 잡히지 않습니까.. 38광땡 잡는 사람 거의 없죠
    우리 너무 장땡만 바라보고 살아가다 보니까 더불어 살 가치를 점점 잃어가는 게 아닐까요
    타인이 경쟁자이고 적이 되다 보니, 우리 서로 힘들어지면 도움을 구할 데가 적어지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 @글쓴이
    천재이신듯 감동받음
  • 배가 터지도록 쳐먹어서 위장이 가득 찼나요? 늘어나면서 공간이 또 생길텐데요. 비교를 하시려면 두 가지 다 말씀하셔야죠.
  • @안일한 반송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24
    어떤 두 가지를 말씀하는건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논지는 우리가 흔히 일컫는 짐승만도 못한 인간이라는 것이 결국 인간적이지 못한 가치를 행하면서 인간으로부터 출발한 문제를 말한 겁니다. 그 중심에 자본주의의 무한경쟁이라는 속성에 대해 말하려고 했던거고 그 속에서 개개인은 어떤 중심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각자에게 물어본 거에요
  • @글쓴이
    돼지랑 사람이요. 인간이 짐승만 못하다는거에 동의할 수 없네요.
  • @안일한 반송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36
    흠.. 우리 일반적으로 인간적이다라는 말 속에 사랑, 배려, 존중, 봉사, 헌신 등의 긍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지 않나요? 그럼에도 비인간적인 일들이 부지기수죠. 강간과 폭력, 살인, 사기, 배신, 증오, 무시, 이기심 등.. 짐승은 이렇게 고차원적으로 비인간적일 수 없지 않습니까? 차라리 동물만도 못하죠 그럴땐..
    돈 때문에 부모를 살해하기도 하고, 약하다고 성폭행하기도, 이상하다고 무시하거나 따돌리고, 장애가 있다고 이상하게 쳐다보고... 인간 자체가 짐승만 못하단게 아니라 비인간적인 사람들이 짐승만 못한데, 뭔가 사회가 점점 비인간적인게 넘쳐나는 듯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듯한 기분이 듭니다.
  •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40
    그리고 다른 분들에게 묻는 것은, 이런 환경에서 각자 어떻게 나름의 중심가치를 지니고, 또는 삶의 의미를 가지고 살아가는지 물어보는 겁니다. 혼자 고민하면 외로워서요. 공감해보고 싶고 생각을 나누고 확장하려는 정답없는 물음입니다.
  • @글쓴이
    동성애도 동물에게서 나타나는 판인데 예를 드신 고차원적으로 비인간적인 부분이 짐승들에게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볼 순 없죠. 인간적이란 말은 신 중심의 사고 또는 기계적인 사고의 반대 개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래서 긍정적인 내용만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 @안일한 반송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56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이해했습니다. 단어가 내포하는 의미를 다르게 생각하신다는 걸 인정하겠습니다.
    님도 저의 '인간적이다'의 의미를 이해해주시면 우리 서로 의미를 공유하게 됩니다. 그러면 논의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겠죠?
  • @글쓴이
    네. 주인이 죽고 그 자리를 떠나지 않는 동물들 이야기나 주인 지킨다고 몸을 던지는 동물들 보면서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을 해봤으니까요.
  • 신은 없고 그래서 신의 권위역시 없는데 돈이 어떻게 신의 권위에 도전하죠?
  • @짜릿한 달맞이꽃
    순환논증의오류인가요
  • @짜릿한 달맞이꽃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26
    신이 있고 없고는 개인적인 믿음이지만, 신의 권위라는 것은 무소불위의 가치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표현이라는 융통성을 조금만 발휘해주시면 굳이 중심논의에서 벗어날 필요는 없죠
  • 발터벤야민은 자본주의를 교리없는 종교라 말했었죠. 자본주의는 우리에게 돈이 많으면 행복해질수 있고 구원 받을수 있다는 환상을 보여주지요 대중매체는 그런 환상을 신화하고 벤야민은 예술을통해 이런 신화에서 탈출할거라 봤지만 정작 지금 현실은 예술조차도 자본에 종속되는 거로 보이네요...
    거대한 시스템 속에서 사물이 되어선 않될 사람마저 사람이 되는 시절에 이런 외침이 공허하게 들리는 가치가 실종된 사회에 살지만 그래도 희망을 포기해선 안된다 봅니다. 누군가가 현실속에서 그것을 실현하려 할때 그것은 살아 있는 이데올로기가 된다 말한거 처럼, 너무 주변 시선을 생각하지 마시길ㅋ 모바일이라 길게 쓰지 못하네요
  • @잉여 고들빼기
    글쓴이글쓴이
    2014.1.29 14:48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ㅎㅎ
    님은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서 어떤 중심가치를 가지고 살아가는지요? 타인의 시선을 극복하는 것만큼이나 타인을 의식해야 발전하는 게 개인이라는 생각에, 확고한 자기주관이나 자기자신에게 믿음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묻고싶네요. 개인적으로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실천이 흔들릴때가 많은데, 그럴때의 극복방식에 대해 고민입니다.
  • @글쓴이
    항상 현실을 바라보면서도 이상을 꿈꾸는게 이상적인게 아닐까요ㅎ 우리가 가지고 있는 현실을 부정하는 것만큼이나 어리석은 것도 없으며 감각적으로 확인가능한것 만을 긍정하는 것또한 어리석은 행위니까요 질문이 2가지라 두개로 나눠 대답을 해야것네요ㅎ
    그리고 남의 시선을 극단적으로 의식하지 않겠다 함은 극단적인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또다른 행위라 봅니다. 신경쓰는듯 안쓰는듯 늘 내가 속고있는게 아닌지 의심하고 자신과의 진심어린 대화를 통해 내가 원하는게 무엇인지에 솔직해 지는것이 가장 좋은거라 봅니다. 극복하고 안하고가 문제가 아니라 자신감, 솔직함의 문제라는거죠 이육사의 시구절이 떠오르네요 나홀로 매화꽃 향기 가득하다고 말한ㅋ
  • 누군가에게는 암흑같고 희망도 없는 시절이될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희망의 시대일수 있죠, 분노 복수 와 같은 단어들은 대상을 파멸시키는것이 아닌 그 자신을 파멸시키는 행위죠ㅎ 아 이야기가 샜지만 여튼 진정한 극복은 아에 신경 안쓰는것도 아니고 신경 쓰는것도 아닌 흑과백 그 둘을 벚어나는 것임을 ㅋ
  • @잉여 고들빼기
    글쓴이글쓴이
    2014.1.29 15:05
    답변을 읽고 어리석은 질문이었다는 걸 깨닫네요. 믿음을 가지는 것은 결국 믿으면 되는 일인데 굳이 믿는 방법을 물어보려 했네요 제가 ㅎ
  • @글쓴이
    논리가 이세상에서 으뜸가는 가치가 되고 있어야 될것에 대한 논의가 없는 세상 속에선 올바른 믿음이 정말 중요하게 나타나죠 항상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모든 대상에서 한걸음 물러나 비판적으로 바라보시길ㅎㅎ 세상은 논리가 아닌 믿음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ㅎㅎ 올바른 믿음을 가지시길...ㅡ 뭔가 사이비종교 같지만 ㅋㅋㅋ
  • 돈이 많든 적든, 꿈이 크든 작든 절제라는 덕목이 우리를 보다 인간적이게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하지 않을까요. 아시겠지만 욘족(yawn)이라 불리는 젊은 기업가들을 보면 엄청난 부를 쌓았지만 수수한 옷차림에 평범한 취미를 즐기고 자선단체에 자주 기부합니다(스스로 재단을 만든 경우들도 있죠). 평범하게 사는 보통 사람들도 그러한 마음가짐을 본받을 필요가 있다고 보네요.
    돈은 필요할 때 꼭 사용해야 하지만 기타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유흥거리들에 낭비하는 건 지양해야겠지요. 그리고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이 체제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돈에 관해 인간적이란 건, 스스로에 대해선 절제를 지키는 것, 사회에 대해선 약자나 공익을 위해 내 돈을 기꺼이 쓸 수 있는 일종의 아량과 베품일 것 같네요.
  • 저도 이거 봤습니다
    왜 많은 분들이 조정래소설가를 존경하는지 일깨워주는 강의였습니다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 님의 글 잘 읽었습니다. 쾌락을 탐닉하는 길에 빠져든다면 고상한 인간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행복할 수도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자본주의란 것을 폐기처분할 수도 없다고 봅니다. 도덕은 형이상학이고 자본주의는 형이하학이 아니겠습니까? 형이하학이 제대로 사용된다면 순기능을 발휘할 것입니다. 가령 재화를 바른 방법으로 얻고 좋은 곳에 사용한다면 재화는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문제는 형이상학(도덕)과 형이하학(자본주의)이 모순되지 않고 하나가 되게 하는 데 있다고 봅니다. 양자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이상적인 경지일 것입니다.
    도덕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쾌락에 빠져버려서는 안 되겠지만 또한 속세를 떠나 힘들게 살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세상 속에서 성실하게 살아가면서 선행을 하고 악행을 경계한다면 도덕에 가까워지지 않겠습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33168 가장 위험한 공간은 헬스장 아닌가요?4 돈많은 줄딸기 2020.02.23
33167 가장 열심히 매달리던사람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61 깨끗한 골풀 2020.08.19
33166 가장 어려운게 인간관계...4 아픈 하늘나리 2019.05.26
33165 가장 야한 입김은?11 활동적인 짚신나물 2018.10.26
가장 비인간적인 동물은 인간이다26 고상한 풍접초 2014.01.29
33163 가장 나쁘지않은 거절방법7 활달한 으름 2012.10.24
33162 가장 ㅇㅇ한 ㅁㅁ 중 하나이다. 라는 말이 맞는 말인가요?9 괴로운 참회나무 2018.02.19
33161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8 일등 채송화 2015.08.22
33160 가임기 질외사정과 사후피임약..26 냉정한 옥잠화 2012.10.31
33159 가인학생 지금도 넉터에 상주중이시나요?4 해박한 맑은대쑥 2019.06.17
33158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 부지런한 부겐빌레아 2017.11.10
33157 가인고시텔 거주해시분들 어떤가요?1 촉촉한 해당 2013.08.08
33156 가인 학생 새 브이로그 나왓어요!31 코피나는 목련 2019.04.17
33155 가을타는 건가 외롭네요3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1.10.14
33154 가을졸업생2 예쁜 영산홍 2015.04.12
33153 가을인가1 질긴 브룬펠시아 2018.09.02
33152 가을이짧아영ㅠ3 안일한 불두화 2013.10.19
33151 가을이라그런가1 억울한 대추나무 2013.10.06
33150 가을이 왔나봐요3 배고픈 영산홍 2017.09.13
33149 가을이 오네요..1 털많은 궁궁이 2016.09.3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