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과 대학원중 수학,역학을 많이쓰는게 어떤걸 하는데인가요?

때리고싶은 박달나무2015.02.24 21:08조회 수 1042댓글 8

    • 글자 크기

몇일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했었는데,

 

답변해주신 내용들을 보고 여러가지 생각해봤습니다

 

그 결과,

 

 

 

수학 

역학(고체,열,유체,동,진동,열전달 등..)

 

 

 

저는 위 두가지를 좀 확실히 공부하고 싶어하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그걸 많이 필요로해서 많이 알아야하고

 

그부분 공부를 많이 하는 랩실로 가고싶습니다.

 

 

 

이런 사람은 뭘하는 랩실로 가야하나요?

 

예를 들어

 

다른데서 들은 것 중에 하나인데,

 

시뮬레이션을 하는 곳에가면 저런 지식들이 많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일단 범위를 좁혀놓고, 그것들을 주로하는 곳에 구경다니고 싶습니다 ㅠㅠ

 

추천 부탁드려요 ㅠㅠ

 

 

 

 

    • 글자 크기
기계과 대학원을 석사까지만 할생각입니다.. 이런경우.. (by 흔한 호랑버들) 기계과 대학원중에 제어분야는 비교적 적게 가는거 같은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by 재미있는 기린초)

댓글 달기

  • 역학,수학계산은 프로그램이다알아서 해줍니다. 필요한것은 창의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만
  • 제어쪽?? 근데 공부해보고싶은분야가없나요?? 달랑 역학이라하면?? 자동차나 뭐 로봇 등등 고르고 역학을 고르는게??
  • @끌려다니는 개별꽃
    글쓴이글쓴이
    2015.2.24 23:50
    결과로서 재미있어보이는거는

    자동차, 비행기, 로켓, 미사일... 등등 더있는거 같은데 당장은 잘안떠오르네요

    저안에서도 껍질, 항력에따라 형상설계, 제어 등등..

    그냥 다 재미있습니다.

    그래서 그부분들에 대해서는 사실 어느 것이라도

    저한테는 크게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거같습니다




    다만, 그냥 개인적인 느낌으로

    열역학쪽이라고할까요 그냥 구체적이지 않게 보는거는 별로 재미없는거같습니다




    설명이 좀 이상한거같아서 제트엔진이나 자동차같은 것들의 예를들어보자면,

    1. 축이회전할때 축중심가까운데서 축의 미소요소가 움직이는 속도와 바깥쪽의 움직이는 속도가 다르니 각위치에서 걸리는 구심력을 각각 구하는 거
    2. 엔진내부에서 열이발생해서 거기 접촉면에서 바깥쪽으로 생기는 각위치에따른 온도를 구하는것과 그로인해 전달되는 heat rate를구한다던지
    3. 터빈 압축기에서 압축을 하는데, 들어오는 유체로인해 터빈 블레이드 각각의 위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구한다던지(무슨 방식으로 하는지 잘은 모르겠는데, 아마 일반적인 운동방정식을 조건에 따라 조정해서 유한요소법같은 방식, 유체에서는 CFD인가요? 아무튼 아마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을 이용해서 각각의 미소위치마다 가해지는 힘을 구한다던지)
    4. 축회전으로 생기는 진동? modal analysis 였던가요?(이건 사실 뭔지 잘모르겠네요;; 아직안들어서;;) 이것도 구간구간 잘라서 진동형태? 같은걸 여러가지구해보고 지배적인걸 결정한다.. 그리고 그 지배적인 경우에 여러위치에서 다른진동을 잡는 도구를 설치하는데 그것들의 사양을 결정(흡진기..?라고 들은듯;;) 라고들었는데, 이부분은 사실 위에말해왔던거랑 비슷한개념인지 잘모르겠습니다;;
    5. 자동차가 어떤 커브길을 돌때 자동차 위치별로 다른속도를 구해내고 그걸 고체역학적 해석하는데 자료를 준다던지

    ㄴ이런것들은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마 코드짜는것도 필수항목일거같네요(코드 짜는것도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재미없게 느껴지는걸 적어보자면

    1. 유체역학할때 7장이후인가요, 상사법칙나오고 레이놀즈수 프루드수 같은거 나오면서 뭔가 기본원리를 가지고 이론적으로라도 정확히 어떤 결과를 내는게 아니라 레이놀즈수 0~4000은 라미나 플로우고, 10000이상(?) 6000이상(?)은 난류고 그사이는 천이 영역이다.. 이런거나
    2. 시스템이 있고, 들어온에너지는 얼마다. 나간건 얼마다. 생성된건 얼마다.

    ㄴ요런건 별로 재미를 못느끼겠습니다..
  • 기계과는 역학이 전부니깐 너무 광범위하네요..............이제 4학년이신가요?
  • @찬란한 파인애플민트
    글쓴이글쓴이
    2015.2.24 23:51
    네 ㅠㅠ 이제 올라갑니다 ㅠㅠ
  • @찬란한 파인애플민트
    글쓴이글쓴이
    2015.2.24 23:52
    위에분 글에 댓글에

    제가 결과품으로서 흥미를 가지는거랑

    좋아할만한 일이랑

    별로 재미없어하는 일에대해서 예를 좀 적어뒀는데

    범위를 좁힐수 있을거같아요..
  • 왠지 열쪽보단 기계시스템쪽으로 랩실사이트가서 교수님 연구분야를보시는게 좀 더빠를듯보이네요. 지도교수님 좋으신분으로 갔을거같은데 상담하는게더빠를듯보이네요.
  • 열 유체 열전달 /// 동, 진동, 고체
    이정도로 나누고
    위 두파트 중 뭘 더 좋아하고 하고싶은지 다시 생각해 보셔야될듯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13949 기계과 대학원 많이 힘드나여??6 생생한 미모사 2014.03.29
113948 기계과 대학원 서카포질문점여7 발냄새나는 뚝새풀 2014.07.07
113947 기계과 대학원 수업6 운좋은 쇠고비 2017.08.28
113946 기계과 대학원 수업 신선한 쇠별꽃 2017.08.08
113945 기계과 대학원 수업관련 질문합니다.4 추운 별꽃 2017.08.31
113944 기계과 대학원 어디??4 날씬한 으름 2014.11.04
113943 기계과 대학원 진학4 냉정한 회화나무 2019.02.01
113942 기계과 대학원 질문이요3 침울한 들메나무 2014.09.24
113941 기계과 대학원 플로리다 주립대 이거 뭔가요?6 무거운 사마귀풀 2015.04.18
113940 기계과 대학원 학생회 있나요?? 똑똑한 은백양 2015.05.08
113939 기계과 대학원 학점에 관해서 질문..3 발냄새나는 등나무 2014.01.03
113938 기계과 대학원생활 어떠신가요?.5 피로한 가지복수초 2014.03.24
113937 기계과 대학원선택에 관해서 질문하나 부탁드립니다3 허약한 뽕나무 2015.02.23
113936 기계과 대학원에서 주로 무슨프로그램쓰나요?16 우아한 송악 2015.04.25
113935 기계과 대학원에서 프로젝트 시키면 뭐해요?9 미운 동부 2015.04.26
113934 기계과 대학원을 석사까지만 할생각입니다.. 이런경우..2 흔한 호랑버들 2013.03.25
기계과 대학원중 수학,역학을 많이쓰는게 어떤걸 하는데인가요?8 때리고싶은 박달나무 2015.02.24
113932 기계과 대학원중에 제어분야는 비교적 적게 가는거 같은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3 재미있는 기린초 2013.03.24
113931 기계과 대학혁신지원사업단10 똑똑한 박달나무 2019.11.28
113930 기계과 도서관 개방시간좀 여쭤볼게여 납작한 협죽도 2013.03.1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