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vs동서대 이런 학생들도 있군요...

푸짐한 조팝나무2013.07.05 20:57조회 수 22132댓글 40

    • 글자 크기

출처: http://gall.dcinside.com/list.php?id=pknu&no=118600

 

우연히 인터넷 서핑하다가 본 글인데...

동서대생이 자기 학교에 모교애를 가지는 것은 좋지만...

굳이 부산대 기계과 버리고 동서대 에너지공학과 간 것을 저렇게 말을 했어야하는지...

노코멘트가 좋지 않았을지 싶습니다.

부산대가 우월하다 이런게 아니라 굳이 다른 학교를 버리고 갔다는 식으로 비추어질 수 있는 말을 했어야하는건지..

 

제목 없음1.png

viewimage.php?id=pknu&no=29bcc427b68477a

gall_bt.gif





“동서대에서 에너지생명공학 전문가 꿈 이루겠다” 

2월 23일 입학식 때 신입생 대표로 선서했던 김창우 학생을 만나 입학 동기, 앞으로 포부 등을 들어봤다. 부산 연제고 출신인 그는 동서 프론티어 전형으로 에너지생명공학부에 입학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동서대 입학을 결심한 계기는.

“1월 21일 정시모집 면접을 보고나서 동서대 입학을 결심했다. 당시 면접관으로 들어오셨던 장제국 제1부총장과 조만기 교수가 동서대의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었다. 또 외국 유학까지 갈수 있다고 했다.

동서대에 입학하면 외국 유학의 꿈을 이룰 수 있겠다는 확신이 섰다. 외국 유학은 어릴 때부터 나의 꿈이었다. 세계화 시대에선 국제 경험을 쌓아야 성장도 성공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동서대는 학생들에게 국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훌륭한 터전이 되어 줄 것으로 믿고 있다. 동서 프론티어 전형은 고교 국어 선생님이 소개해줬다.”

 

-2009학년도 입시에서 어디 어디 합격했나.

동서대 에너지생명공학부와 부산대 기계공학과에 동시에 합격했다. 아버지는 동서대, 어머니를 부산대 입학을 권했다. 친구들에게도 의견을 물어보니 거의 반반으로 나뉘어졌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내가 동서대를 선택하자 나중에는 모두 잘 선택했다고 격려해줬다.”

 

-고등학교 때는 어떤 과목을 잘했나.

“과학이 적성에 맞았다. 그 중에서도 물리와 생물을 좋아하고 성적도 좋았다. 그런데 수능시험 때는 성적이 제대로 안 나왔다. 
에너지생명공학부는 내 소질과 적성에 잘 맞는 분야인 것 같다.”

 

-대학 생활에 대한 계획은 섰나.

“우선 많은 친구들을 사귀어 약간 내성적인 내 성격도 바꾸고 나 스스로도 당당해지고 싶다. 1학년 때는 동서 글로벌 프로그램 과정에 소속돼 영어공부에 매진할 생각이다.
2학년 때부터 내게 맞는 전공을 찾아 석사·박사까지 갈 계획이다. 에너지생명공학 분야의 과학자로 성장해 나 자신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 그리고 동서대를 빛내는 사람이 되고 싶다.”

 

-짧은 시간이지만 동서대에서 느꼈던 인상은.

“시설이 특히 좋고 캠퍼스가 깔끔하다. 교수님과 선배, 동료들도 모두 마음에 든다.”

 

-고교 수험생과 교사들 사이에서 동서대 평가는 어떤가.

“한마디로 ‘뜨고 있는 대학’으로 얘기되고 있다. 성장 속도가 빠르고 비전이 큰 대학으로 평가된다. 이제 동서대는 당당하게 내세워도 되는 대학이라고 생각한다.”





    • 글자 크기
제가 쪼임이 부족한걸까요? (by 야릇한 산호수) 목짧은여자 헤어스타일이나 코디법 알려주세요ㅠㅜ (by 행복한 매발톱꽃)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348 학원 강사에 대한 글 (알아야 당하지 않는다)37 세련된 정영엉겅퀴 2019.01.17
347 부산대학교 내 식당 식대 올라가네요2 꾸준한 낭아초 2023.02.23
346 피누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여2 짜릿한 노각나무 2023.01.22
345 한전댕기는데 고졸채용이진짜답입니다.19 천재 단풍나무 2018.08.07
344 조회수는 그래도 제법 나오네6 푸짐한 반하 2023.06.17
343 또 하나의 기쁜 소식1 참혹한 오미자나무 2023.04.06
342 [펌]연세대를 뒤집었던 칸노트녀 사건...14 재미있는 도라지 2013.11.03
341 서울시립대로 편입 미친짓인가요?34 창백한 영산홍 2014.01.01
340 새내기 따먹으려고 동아리 나온다는 참 휼륭하신 선배님.110 특이한 수리취 2017.03.05
339 제가 쪼임이 부족한걸까요?26 야릇한 산호수 2014.06.22
부산대vs동서대 이런 학생들도 있군요...40 푸짐한 조팝나무 2013.07.05
337 목짧은여자 헤어스타일이나 코디법 알려주세요ㅠㅜ12 행복한 매발톱꽃 2018.01.23
336 10번 휴강한 교수, 정상인가요?67 과감한 리아트리스 2017.12.11
335 간헐적 단식을 하시는 분들 있나요2 푸짐한 으름 2023.07.26
334 원룸 심야전기난방비 5만원 말이되나요?17 명랑한 우산나물 2014.01.22
333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34 도도한 별꽃 2018.04.04
332 기상청에서 장마 끝났다더니 대신 땡볕이 내리쬐네요3 병걸린 흰털제비꽃 2023.07.28
331 류이치 사카모토가 죽었네요...1 겸손한 사마귀풀 2023.04.03
330 마이러버 기다리는 중2 뛰어난 생강나무 2023.07.24
329 한국남자들에겐 믿기힘든 외국의 데이트비용문화45 촉박한 고마리 2013.08.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