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학 질문이용!!

글쓴이2015.12.12 14:27조회 수 1107댓글 20

    • 글자 크기
긴축통화정책을 실시로 케인즈의 모형인 총수요-총공급모형에서 생산량 감소, 물가하락 세가지가 변화했는데 이것이 노동수요의 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화폐착각이 있다면 노동공급 불변, 물가하락에 따른 실질임금 상승-노동수요 감소 - 균형노동량 감소- 총생산량감소
  • 경기적 실업발생이라 하겠네유
  • @자상한 족제비싸리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26
    화폐임금과 물가수준은 신축적이에용
  • 긴축통화정책의 시행 결과 LM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할거고 그에 따라 이자율이 상승하여 이자율의 함수인 투자가 위축되어 총수요가 줄어들겠네요. 그 결과 국민소득과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노동수요를 실질임금(=노동의 한계생산물)의 함수로 생각한다면, 실질임금은 W/p이므로 물가가 하락하면 실질임금이 상승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겠네요. 그러면 노동수요는 증가하여 실질임금이 상승하고 고용량이 증가되겠고, 고용량의 증가는 생산물 시장에서 총 생산물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겠고 그로 인해 AS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겠네요. 이게 장기화되면 AS곡선은 수직선화될거구요.
  • 아 중간에 잘못적었네요 ㅠ; 물가의 하락은 실질임금의 상승이므로 노동수요는 감소하게 됩니다. 그 이후는 그냥 반대로 이해하세용
  • @재수없는 꼬리조팝나무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28
    고전파가아니랑...케인즈꺼로ㅠㅠ 설명하라는뎅.. As곡선이 움직이나요?..
  • @글쓴이
    케인즈의 AD-AS모형에서는, AD곡선은 IS-LM모형의 영향을 받아서 움직이구요.. AS곡선은 생산물시장과 노동시장에 영향을 받아 움직입니당~
  • @재수없는 꼬리조팝나무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35
    그럼 AD랑 AS둘다 변동이 있으니까 Y는 결국 안변하겠네요??
  • @글쓴이
    Y는 안변한다는 것은 불분명합니다. 어느 것의 규모가 더 큰지는 알 수 없으니까요.
  • 아 그리고 가격변수가 완전히 신축적이라면 노동시장이 영향을 안 받기 때문에 (물가의 변화는 곧바로 명목임금의 변화에 반영되기 때문에) 국민소득이 변화한다고 보긴 좀 어렵겠네요. 고전학파에서 총공급 곡선을 수직선으로 보는 이유가 가격변수의 신축성으로 인한 실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분리, 즉 이분법이니까요.
  • @글쓴이
    케인즈학파도 고전학파도 총공급곡선은 노동시장에서 도출합니다. 그리고 외생적 충격이 발생한 경우 단기에서 AS곡선이 움직여요. 합리적 기대나 그런걸 가정한 게 아니므로 정책효과가 총공급곡선에 미칠 수 있는 것은 노동시장밖에 없겠구요.
  • @자상한 족제비싸리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52
    감사합니다 :) 이해가 잘됬어요 ㅎㅎ
  • 근데 화폐임금과 물가수준은 완전 신축적이라고 한다면 노동시장은 변화가 없어요. 기대에 대한 이야기가 없으므로 케인즈학파에 국한한다면, 케인즈학파는 명목임금의 경직성을 주장합니다. 그리고 명목임금이 경직적이기 때문에 노동시장의 변화가 생기고 총공급곡선이 우상햔한다고 주장하죠. 그런데 만일 물가수준이 신축적이고 노동시장에서 명목임금이 신축적이라면 물가변화가 바로 반영되어 실질임금 변화와 동일함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AS곡선은 수직이라 볼 수 있겠네요.

    이렇게 보면 LM곡선이 변화하여 이자율이 상승하고, AD곡선이 변화하여 물가가 하락. 총수요가 변하더라도 Y는 불변인 것이 맞겠습니다.
  • 임금과 물가가 신축적이므로 AD가 변화해서 물가가 하락해도 노동시장에서는 노동공급과 노동수요가 모두 즉각적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즉 노동수요는 실질임금 상승에 따라 감소하고, 노동공급은 증가하게 되겠죠. 완전 신축적이므로 물가가 변화하는 수준만큼 노동공급과 수요가 동일하게 변화해 노동공급량은 불변일테고, 명목임금 수준만 하락하게 되겠네요.
  • @자상한 족제비싸리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51
    감사합니다 ^^
  •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51
    이해가 훨씬 잘되네용!!!
  • @자상한 족제비싸리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5:58
    IS LM곡선이 그럼 Y가불변이면 다시 이자율도 변화가 있나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 @글쓴이
    그 부분이 찜찜한데 AD-AS 모형으로는 설명이 어려워서 언급을 안하시는 것이 나을 것 같네요
    왜냐면 화폐발행을 줄였다 해도 문제에서는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이나, 화폐수요의 소득탄력성 등에 대한 언급 자체가 없기 때문에 IS-LM으로 설명을 하면 무리가 옵니다. 예를 들어 IS-LM에서 통화량 감소로 LM이 변화해 이자율이 상승했다고 해도, 이자율 상승에 따른 IS곡선 변화도 있을 것인데 각 곡선의 기울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얘기하기가 어렵네요. IS-LM은 단기적으로 물가가 불변이라고 가정하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AD-AS 분석에 따르면 종국적으로 총생산량이 불변인 상황이기에, 이자율이 상승해도 IS곡선이 변화하여 다시 이자율이 하락한다고 정도만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런데 어디까지가 물가가 신축적인 상황에서 IS-LM을 이용한 분석은 가정상 무리가 있어요.
  • @자상한 족제비싸리
    글쓴이글쓴이
    2015.12.12 16:10
    맞죠?...하..참 꽤나어렵네요 생각의 흐름을 따라가다보면 막히는부분이 생겨서 이걸 언급해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을 하는데 언급을 안하게되면 제가 설명한 것이 논리적 오류가 생겨버리니..ㅠㅠ 고맙습니다 그래두 ㅠㅠ
  • @글쓴이
    힘내세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7903 저희 학교 경제학과 대학원 다니시는 분 혹시 계실까요? 유능한 귀룽나무 2023.07.24
167902 오늘 리트 보신분 계신가요?1 과감한 백일홍 2023.07.23
167901 외모가 확실히 주관적이라고 느끼는게6 건방진 벌노랑이 2023.07.22
167900 마이러버 다음꺼 아직 멀었지?4 밝은 겹황매화 2023.07.21
167899 자극적이지 않은 담백한 음식에는 뭐가 있을까요2 침울한 감국 2023.07.20
167898 윗지방에 물난리 크게 났는데 여러분들은 다들 무사하신가요2 민망한 겹황매화 2023.07.16
167897 우리나라에 훈수충들 너무 많은거 같지 않나요?2 못생긴 파 2023.07.15
167896 보통 친구들이랑 얼마 주기로 만나시나요4 창백한 수리취 2023.07.15
167895 요새는 언제든 우산을 들고 다니는 게 맞네요2 답답한 주걱비비추 2023.07.14
167894 .2 흔한 바위솔 2023.07.14
167893 이게 정상적인 상황인지 조언 부탁드립니다7 보통의 당단풍 2023.07.14
167892 취업하신 분들은 연애 할 때1 촉촉한 먹넌출 2023.07.13
167891 근데 공대가 아닌데도 학점이 높으면3 조용한 등나무 2023.07.13
167890 나이 들수록 연애 난이도 씹헬인듯..4 참혹한 산딸나무 2023.07.13
167889 ..1 조용한 등나무 2023.07.13
167888 근데 왜 꼭 못생긴 애들이2 거대한 비파나무 2023.07.12
167887 웬일로 마이피누에 이렇게 글이 많이 올라오네요3 멍청한 들메나무 2023.07.11
167886 1 고상한 벽오동 2023.07.11
167885 .5 센스있는 금식나무 2023.07.11
167884 저도 여자긴 한데9 나쁜 홀아비꽃대 2023.07.1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