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전과

글쓴이2012.11.03 03:16조회 수 3857댓글 30

    • 글자 크기
조선과로 전과하려면 평점어느정도나와야될까요ㅜㅜ 제가 1학년1학기만햇는데성적이너무안좋은데 재입학이란걸 들엇는데 이거하면 처음부터다시시작인가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재입학을 하면 제적 전에 성적이 그대로 다시 복원되서 원래 있던 성적과 다시 합칩니다;
    말그대로 재입학을 하게 되면 휴학했다가 다시 복학하는거랑 같은거임
  • @일등 등나무
    그래도 입학하면 1학년1학기부터시작아닌가요!
  • @글쓴이
    재입학이라는게 자퇴후에 재입학을 말하는건지 수능을 쳐서 다시 학교 입학하는걸 말하나요
    자퇴후에도 재입학이 가능하고 수능을 쳐서 학교 다시 입학도 가능한데
    수능 쳐서 학교 입학은 당연히 1학년 1학기부터고 자퇴후에 재입학하면 휴학한것처럼 되죠...
  • 재수강하시는게 나을듯
  • @슬픈 으아리
    1학년1학기꺼모두재수강할생각인데여~ 2학년1학기까지계절학기충분히듣고하면 전과할성적만들까요ㅜㅜ
  • 혹시나 취업때문에 조선과로 전과하시려는 것이라면 말리고 싶습니다. 경기 안좋습니다 언제 좋아질지도 모르고... 기계과 추천드려요~
  • @밝은 쇠고비
    기계과뽑는인원이많아전과가상대적으로수월하다더군요~ 근데제가 조선설계에큰매력을느껴서ㅜㅜ
  • @밝은 쇠고비
    기계과는 백년만년 어디든 갈 수 있는게 맞긴 맞지요. 조선경기가 안좋은건 빅3제외한 회사에게 타격이 크지 부대 조선과에서 취직하는 회사는 우리를 취직 못하게 할만큼 경기타격을 입진 않았습니다. 그리고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시는것 같은데.. 조선업 초창기 멤바들 안짤리고 지금까지 계시다가 이제 정년퇴직할 나이가 되셨습니다. 그래서 당분간 취직의 질과 취업률은 최고를 유지할 겁니다. 게다가 올해 4학년들 인원 80명인데 dsme에서 인사파트사람들 물갈이 되면서 절반가량 뽑아갔고 내년애들 구직하기위해 온힘을 쓰고있습니다. 신입사원뽑으려고 대기업 인사파트 임직원이 대학교 건물에서 면접봣다는 얘긴 들어보셧나요? 좀 알고 말하시길 ㅎㅎ
  • 조선은 중국한테 서서히 넘어가는 추세...
    아직 특수선들은 우리나라가 강세지만
  • @밝은 소나무

    조선과 학생으로써 확실치 않은 얘기 안해주셨으면 좋겟네요

  • @밝은 소나무
    뭘알고하는 얘긴지 ㅡ.ㅡ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101417225711201&outlink=1

    http://www.fnnews.com/view?ra=Sent1101m_View&corp=fnnews&arcid=201209060100055750003016&cDateYear=2012&cDateMonth=09&cDateDay=06
  • 그렇군요.. 제가 잘못알고 있었네요. 취업설명회에서 @#$카더라를 너무 믿었네요..
    잘못된 정보 죄송합니다.
  • 친척분이 현 삼성중공업(거제도) 부장으로 계십니다. (부산대 조선과 박사출신)
    조선과 거품 빠지기 시작한 것 맞습니다. 어디까지가 거품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예전의 그 조선과가 아니죠. 조선과 분들도 잘 아실텐데...
    취업만 놓고 본다면 기계과나 전기과, 화공과가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 @적절한 참나물
    저는 취업보다는 박사학위따서 연구하고싶습니다..
  • @글쓴이
    음.. 학부 후 취업이 아니시면
    대학원을 자대냐 타대냐가 중요하겠네요.
    타대 목표시면 수능 다치쳐서 들어오시는게 낫겠고,
    자대도 괜찮으시면 전과가 시간면에서 더 효율적인 것 같아요.

    그리고 박사는.. 한국 사회에서 서카포 이하는 잘 안쳐줍니다.
    대부분 박사학위는 외국에서 따서오는 추세래요.
  • @적절한 참나물
    타대대학원은 전과기록을 따진다는건가요?
  • @글쓴이
    정확한 기준은 관계자들만 알겠죠. 다 그렇고 그렇다는 카더라 뿐입니다.
    타대 지원시 서류 심사때 불리한 점이 없다고 가정합시다.
    면접 가게 되었고 면접관은 반드시 이런류의 질문을 할겁니다.
    "왜 전과를 하게 되었고 부족한 부분은 어떻게 보충했느냐??"
    대학원 면접시 전공에 관한 질문이 아닌 다른 질문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지원자에게 불리하다고 생각합니다. (타 지원자에 비해 심층 면접이 되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전과는 보통 2-1때 하게 되는데.. 1년의 공백을 매꾸는 일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제 주위에 전과한 학과 사람들이나 타과로 전과한 친구들을 보았을 때 타대학원 진학할 성적이 나오는 친구는 단 한명도 없군요.
  • @적절한 참나물
    타대 목표면 수능 다시쳐서 들어가라는 말씀이 다른학교로 다시 들어가라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다시 부산대조선해양으로 들어가라는 말씀이신가요?
    1년공백은 충분히 조선해양공학과와 저희 과가 1학년 공통으로 배우는 과목이 많기때문에 그렇게 부담가지지는 않습니다만 주위분들은 무난하게 전과하셧나요?
  • @글쓴이
    다른 학교로 다시 들어가는게 최선이고, 부산대 조선해양으로 들어오는게 차선이라고 생각합니다.
    1년 공백 매꾸기 쉬우실 것 같지만 만만한 일이 아닙니다. 그 몇 과목 안되는게 차이가 큰가봐요.

    보통 전과하는 사람들은 성적이 보통 좋은편에 속하는데..
    전과 후에 이전처럼 좋은 성적 유지하는 케이스가 거의 없더군요.
    전과 후에 학과 생활 조금 힘들어 하긴 하던데 전과 한 것을 후회하지는 않는 듯 하네요.

    제일 힘들어 하는 부분이 편입생과 마찬가지로 전과생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던데요.
    팀과제 하다가 잘 모르거나 전과생 때문에 계획에 차질이 생겼을 때..
    속으로 아 전과생(편입생) 저거 진짜 더럽게 못하네 이런 생각 하는 분들 많다고 하더라구요.
  • @적절한 참나물
    그런소리안듣도록최대한열심히해야죠
    토종조선과학생들이 100%를 해야한다면
    전과생들은 200%를 해서라도 따라가야만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부산대조선해양이면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 다음이고 오히려 부산대 조선공이 더 실속있다는말도 들은것 같은데 다른학교로 입학하는거보다 그냥 부산대조선해양으로 전과가 훨 낫지않을까요
  • @글쓴이

    200%해서 따라가는게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
    고3때 해보셨듯이 마음먹고 1년 공부하기도 힘든데 말이죠.

    위에 말씀 드렸던 친척분이 늘 하시는 말씀이 있는데..
    부산대는 날고 기어봤자 부산대다. 사회 나오면 간판이 깡패다.
    설대랑 부산대는 비교가 안되요 ㅜㅜ

    제가 아는 정보는 다 풀어 놓은 것 같네요.
    저는 선배 입장으로 이렇다더라 하는 정보만 알려줄 뿐입니다.
    선택은 본인이 하는 겁니다. 그에 따른 책임도 본인이 감당하셔야 하구요.
    부디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 오면 잘해줄께
    아 난 졸업이구나 킁킁
  • @유치한 금방동사니
    조선과 전과생들 잇너요?ㅜㅜ
  • @글쓴이
    있습니다 자세한 성적이나 그런건 모르겠네요
  • 조선업이 어떻게 될까 걱정했던것도 사실인데,

    지금도 잘된다니 기분좋군요.

    저는 그냥 기계과지만..
  • 근데 조선과 아직도 군대 분위기에요? 행정실에서 부터 학생들 사이까지요??

    현장 가보니깐 조선쪽은 아직도 군대 분위기 구나 하는걸 느끼고 왔더랬죠
  • @꾸준한 천일홍
    예전엔 분명히 그랬지만 ㅋㅋ 최근엔 여학우들도 많이 들어오고
    그런 분위기 없다고 생각되네요
  • 조선이비중이 줄어드나 해양 쪽 비중이 커진다는거 ...조선과 조선과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조선해양공학입니다. 짧은지식으로 조선이 넘어간다니 뭐니 하시면서 취업이 안될것같
  • 다는둥 말씀하지 마시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2643 김연아 서명운동하는데 이준석이 한 말 보셨나요?42 괴로운 투구꽃 2014.02.21
162642 근데 교환학생 장점이뭐에요??7 밝은 국수나무 2018.07.20
162641 금정식당 식사후에 일진들과 만났습니다ㅋㅋㅋㅋㅋ4 뚱뚱한 꽝꽝나무 2017.12.07
162640 진짜 궁금한데 여성분들 여성분들이 사회적 약자라고 의식하면 살아가고 있나요?68 어두운 때죽나무 2016.08.20
162639 부산대학교에서의 마지막 3학점18 친숙한 팔손이 2015.02.04
162638 양준혁 선수 진짜 결혼 했나봐요6 우수한 둥근잎유홍초 2014.10.11
162637 원룸 한달동안 비울때10 건방진 고란초 2016.06.23
162636 시간표 망한건가요? ㅜㅜ16 난쟁이 칡 2016.02.19
162635 같은과 애가 자꾸 다른학교 애를 데려와요38 피곤한 산박하 2015.07.31
162634 이쁜여자분들은 좋겠어요..43 의젓한 개암나무 2012.09.11
162633 롱패딩 유행 언제까지 갈까요??23 뛰어난 감초 2017.11.04
162632 성적장학금 금액 정리32 침착한 박태기나무 2015.08.06
162631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60 생생한 국수나무 2020.05.16
162630 헤어망고 어때요??2 답답한 별꽃 2017.03.31
162629 토스 150이랑 160 차이 큰가요?5 더러운 세열단풍 2016.09.22
162628 인강용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레노버나 asus도 괜찮나요??12 살벌한 애기봄맞이 2016.08.18
162627 여친 있는 남자가 개인적으로 만나자고 하면 어떤 생각 드나요?11 해박한 털중나리 2013.07.16
162626 대학면접 복장, 교복이 금지면 뭘 입혀보내야 하나요?12 병걸린 편백 2016.11.20
162625 타과 수업 혼자듣는데 조별과제때 교수님이 조별 알아서 짜라고 하면 보통 어떻게 하시나요??13 착실한 향유 2014.02.07
162624 친구 조부모 상은 가야 하나요?10 활동적인 베고니아 2013.05.29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