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처음보는 사람한테 나이를 물어보는걸까요.

글쓴이2016.04.24 16:37조회 수 1939추천 수 7댓글 11

    • 글자 크기
너 몇 살이니, 학번이 어떻게 돼? 군대는 갔다왔니?
이런 식으로 남과 나의 관계와 호칭을 결정하는 문화가 있던데요.
저는 대학생활하면서 이게 좀 불편했습니다. 수업을 듣거나 같이 공부를 하거나 하면 다같이 어른들이고 학생인데
나이를 밝히는 순간
보이지 않는 계급? 이런게 팍 생겨요.
일단 호칭부터가 달라지고, 나이별로, 연령별로, 성별로 해야하는 일,하지말아야 하는 일이 정해지고
또 이 나이때는 뭐해야 하고, 저거하지 말아야 하고 하는 식으로 스스로가, 그리고 주변에서 옭아매려고 하는 것같습니다.
아무튼 이런 나이에 집착하는 문화, 개인적으로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뭐 의무교육12년 받고, 80퍼센트가 대학진학하고, 남자는 군대를 갔다 와야하는 등 근 30년을 똑같이 살아온 인생들이니 서로 달라지는 것에 민감해지고, 그 중 가장 큰 차이인 나이에 신경을 쓰는 한국 문화라고 하면 할 말이 없겠지만요...
어떻게 하면 내 또래와 같아질 수 있을까? 이렇게 입으면 (남들 다 하는) 유행에 안뒤쳐지려나? (남들 다 하는) 연애는 왜 난 못하지?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몇학번이세요?
    군대갔다왔어요?
  • 그래서 본인은 뭐하고싶으세요? 어떻게살고싶으시죠?
  • 고학번인데 개념없이 군다 ㅡ 포기
    신입생인데 개념없이 군다 ㅡ 선도의 대상

    여기서 개념없다 행동에서 오해가 생길수 있는데,

    교수님 수업중에 뒷문 놔두고 앞으로 지나가는 행위 같이 누구나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 어느 정도는 이해는 합니다만, 글쎄요 이건 사람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일단 사람이 얘기를 나누게 된다면 친해지는게 목적이 아닌가요?
    그럴려면 공통된 관심사를 찾아야 하고요.
    그러다보니 가장 공통된 거 나이, 성별에서 부터 -> 학과, 학교 -> 좋아하는 성향?
    이런 식으로 점점 세밀하게 알아갈 수 있지요.
    물론 사람마다 생각차이는 있지만
    나이를 밝힌다고 해서 계급을 나누고 옭아맨다고는 저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오히려 제 나이 아래에 있거나 제 나이 위에 있거나,
    무조건 존댓말을 하는 편이고요.
    상대방의 나이가 어떻든, 성별이 어떻든 서로 알아가면서 행동, 성격에 집중을 하는 편이라
    그게 무조건 계급을 나누고 옭아맨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 한국의 꼰대문화죠. 뭐든지 서열매기는거 좋아하는데 갑질하길 좋아하는데 나이만큼 쉬운것도 없죠.
  • 갑질임
  • 여자는 자기가 호감생길까봐 미리 선그을 남자인지 생각합니다
    학번이랑 나이따져서
    미리 저울질해서 선배에 나이 4살이하면 꼬실남 먹버입니다 그냥 선배던 후배던 4살이상이면 늙은이취급해 조롱남 씹버입니다
  • 남자경우 위로 나이차이나는 남자는 자신의 실수이자 은폐하고자함이며 그 사람 경계대상1호입니다
    때에따라 후배가 좀 3살이상 많으면 자신은 좋은놈 후배늙은이는 안주감입니다
  • 흠.. 저는 서열을 저도 모르게 조금 세우는거같긴한데.. 나이를 물어보고 말을 놓는건 더 친해지기 위해서라고만 생각햇어요. 어정쩡한 호칭으로 관계를 이어나가는거보다 형이나 이름을 부르는게 더 친근하게 느껴지잖아요
  • ㅋㅋㅋㅋ안좋은문화죠 정말로 계급나누는거 정신연령이 훨씬 중요한데 말이죠
  • 전 그래서 가끔 영어공용화 했으면 좋겠어요 영어를 쓰면 전부 반말하니까 편할것같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53520 기계공작법ㄱㅊㄱ교수5 살벌한 접시꽃 2013.10.21
53519 기계공작법...........3 포근한 쇠별꽃 2013.12.16
53518 기계공작법-김병민교수님-강의자료 배고픈 무화과나무 2016.09.11
53517 기계공작법, 재료공학을 일반기계기사나 취업시험용으로 어떻게 준비하시나요?3 멋진 파 2018.01.28
53516 기계공작법 포기8 피로한 계뇨 2018.10.21
53515 기계공작법 정해도 교수님 내일 휴강인가요? 과감한 들메나무 2014.11.12
53514 기계공작법 원어수업 들어보신 분 있나요?1 처절한 개여뀌 2018.08.03
53513 기계공작법 실습말인데요.. 성적주는 비율이 어떻게 되나요?1 따듯한 목련 2014.04.16
53512 기계공작법 실습 증원 다 된건가요? 착한 산박하 2016.02.18
53511 기계공작법 실습 조 말인데요..4 느린 오리나무 2013.03.22
53510 기계공작법 실습 금요일3 센스있는 고광나무 2016.04.21
53509 기계공작법 실습3 거대한 꽃댕강나무 2016.03.31
53508 기계공작법 시험주1 침착한 단풍마 2016.04.25
53507 기계공작법 시험어케나오는가여??3 머리좋은 호두나무 2013.10.14
53506 기계공작법 선수과목 없어도 ㄱㅊ은가요?2 잘생긴 청가시덩굴 2019.08.20
53505 기계공작법 강성수 교수님 수업2 발냄새나는 삼나무 2014.10.08
53504 기계공작법 강성수 교수님 범위가 어떻게 되나요?11 찬란한 개쇠스랑개비 2013.10.17
53503 기계공작법 ㅈㅎㄷ교수님2 겸손한 벼룩이자리 2013.10.21
53502 기계공작법 ㅁㅇㅎ 교수님3 힘좋은 층층나무 2019.12.16
53501 기계공작법 ㄱㅂㅁ 교수님 과제2 나쁜 윤판나물 2015.10.2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