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젓한 대왕참나무2016.05.23 15:24조회 수 1322댓글 45

    • 글자 크기
네이버 메인 기사로 떠있길래 웃자고 올렸는데 상황이 적절치 못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저 신검 1급 남자 맞습니다... ㅠ
    • 글자 크기
(by 화난 복숭아나무) (by 난쟁이 참새귀리)

댓글 달기

  • 병신임?
  • 남자에게 성욕만 없었더라면 ㅂㄷㅂㄷ
  • 님 평균과 편차, 분산에 대해 배우셨죠?
    배우셨다면 알텐데요

    여성은 중상위권에 편차가 적은 평균값을 가지고 있고

    남성은 최상위권과 최하위권에 분포가 많은 평균입니다

    수능 최상위권으로 명문대에 진학한 대학생들 성비가 어떤지 아세요?

    남녀 수능 응시생 성비 52:48
    소위 명문대 입학생 성비 6:4
    의대 성비 7:3
    포공 카이스트 성비 8~9:1

    이게 현실이네요
  • @병걸린 먼나무
    저런애가 뭘 알겠어요...
  • @초연한 봉의꼬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수능으로 잘봤다 말할수 있는 점수는 최상위권 점수 뿐인데

    표준편차, 분산값도 반영안된 남성 50점대 여성 60점 평균값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요?
  • 제가 지금 남자라서 잘났다 이런 말 하는게 아니라요

    수능이란 데이터를 분석할때 하위의 대다수 점수는 허수 지원자에 가까울정도로 의미가 없는 정보인데

    수능을 통한 정시 명문대 진학률 비교도 아닌 단순 평균 비교를가 어떻게 여성과 남성의 학습능력 비교로 이어지냐 이말입니다
  • 그리고 여성 운동 하시는 분들 제일 역겨운게

    자기들이 필요할때는

    남성과 여성은 다르지 않다! 성만 다를쁀 똑같다는 논지를 쓰다가

    어떤 순간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우월하다는 논지를 가져와서 승리를 하거든요

    근데 또 어떤 순간에는 여성은 남성이 보호해줘야한다고 하죠

    도대체 뭐하자는건지
  • 글쓴이가 붓을 놔야 할 듯
  • 획일화 하지맙시다 ㅠㅠ
  • 이래서 언문 사용을 존나게 반대했구나
  • @황홀한 가는괴불주머니
    ㄹㅇ 개나소나 글쓰니 이런 똥글이 나옴
  • 윗님들 간과하시는게 글쓴이가 말하려는게 "여자가 남자보다 더 뛰어나다"가 아니라 "'평균적으로' 더 뛰어나다"라면 표준편차는 없어도 됩니다. 분포를 통해 비교할 때나 표준편차가 필요하지 그냥 집단간 평균수준 비교할 때는 필요없죠. 표준편차 있건말건 '평균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뛰어나다는 것에는 변화가 없으니까요
  • @무례한 만삼
    애초에 수능 최상위권 이외에는 통계학적으로 쓸모가 없는 데이터인데요?

    자세히 볼까요?

    수능 응시생중
    남녀의 학습능력을 평가할 때
    예체능 응시생, 실업계 고교생의 점수가
    수능을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의 점수와 똑같이 고려되는 단순평균이 의미가 있는 값일까요?
  • @병걸린 먼나무
    물론 님 말도 맞습니다. 애초에 수능을 공부하는 집단 자체가 랜덤샘플이 아니니까요. 그러나 수능시험처럼 우리나라에서 응시생 수가 그만큼 많은 시험은 또한 드물기때문에 아예 그 자체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 @무례한 만삼
    수능시험의 성공자들인 서울대 문이과 진학률로 비교하는게 오히려 더 적절하다고 봐요

    실패한 사람들의 점수를 왜 따지나요?

    어차피 90프로 넘게는 다 공부 못한 사람들인데 왜 도토리 키재기하죠? 유의미한 점수차이도 아닌데요?
  • @병걸린 먼나무
    그건 성별평균이 아니라 최상위자의 평균이죠. 이미 수능시험조차 완벽한 랜덤샘플이 아니라 통계가치가 떨어지는데 최상위권만 뽑는다면 그것 나름대로 통계적 의미가 더 떨어지는 일일 수 있죠. 실패한 사람? 그건 이미 가치가 개입된 중립적이지 않은 샘플링인데요
  • @무례한 만삼
    유의미한 응시자룰 추려낼 기준은 명문대 진학자밖에 없는데요?

    허수응시자의 점수를 왜 반영하죠?
  • @병걸린 먼나무
    유의미하다니...ㅋ 그 가치가 뛰어나야 유의미하다고 보시는건가요? ㅋㅋ 차별 심하시네요. 오히려 통계에서 가치를 부여해서 걸러내는 것은 오히려 편의bias를 가지는데요. 계속 개인적 관점으로 보시네요
  • @무례한 만삼
    아니 이게 왜 조작적으로 반영한거죠?

    수능이 상위권 명문대에 진학하기 위한 시험아닌가요?

    그럼 수능을 측정하지말고 상위권 명문대 진학률을 측정하자는게 어때서요?

    맛있는 과일을 얻기위해 과일나무를 기르는데
    맛있은 과일이 열렸는지 알려면
    과일을 따서 당도를 측정하면 되는데
    왜 과일나무 키를 재고 있습니까
  • @병걸린 먼나무
    애초에 목적을 잘못 알고 계시네요. 수능은 상위권 명문대에 진학하기위한 시험이 아니라 그냥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치는 것이고 그 안에 명문대도 포함되어있는 것일 뿐입니다. 님말대로 과일에 비유하자면 수능은 '맛있는' 과일을 얻기위한 것이 아니라 그냥 '과일'을 얻기위한 겁니다
  • @무례한 만삼
    지금 평가하고자 하는건 학업능력의 우수성인데 그걸 명문대 진학을 토대로 평가하는게 왜 잘못됐죠?
  • @병걸린 먼나무
    우수성에는 절대적 우수성만 있는게 아닙니다. 상대적 우수성도 있는거구요 본문의 자료는 평균적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여자가 더 우수하다는 겁니다. 애초에 절대적으로 우수하지 않는 부산대생이 수능에서 학업능력의 우수성, 명문대 진학 운운하시니 웃기네요
  • @무례한 만삼
    전 제가 절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한적 없는데 오류를 범하셨네요
  • @무례한 만삼
    방금도 본인이 직접
    수능점수가 대학 진학을 위한 점수라고 하셨지요?

    그럼 왜 대학에 진학하지 않을 허수응시자의 점수를 반영한 평균점수가 적절한 비교지표가 되는지 말씀해보세요
  • @병걸린 먼나무
    전 적절하다고 한 적 없는데요? 수능은 엄연히 랜덤샘플이 아니므로 통계적 가치는 떨어진다고 계속 말했습니다. 그러나 수능처럼 똑같은 시험을 그렇게 많은 사람이 치는 경우가 드문데다가, '대학 진학'할 사람만 치므로 랜덤은 아니지만 어쨌든 자의적으로 시험여부를 선택하니까 그나마 낫다는 겁니다
    그런데 상위권 학생들만 샘플링하는건 애초에 그 상위권이 '성별 전체'를 대변한다고 볼 수 없고 상위권 학생이라는 가치판단으로 임의의 샘플링을 한 번 더 한다는 점에서 통계적 가치는 확 떨어집니다.
    자꾸 개인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마시고 통계학적으로 접근하세요
  • @무례한 만삼
    학업능력의 우수성을 이야기하는데 명문대 진학률을 논하는게 왜 수능점수 평균보다 떨어지는 지표인가요??

    전국 대학과 학과 순위에 가중점수를 부여하여 낸 점수와 남녀 입학생을 곱하여 점수를 산출하는게 가장 적절하고

    차선책으로 적절하게 평가하는 명문대의 범주에 어느 성별의 입학생이 더 많느냐로 평가하는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 @병걸린 먼나무
    계속 bias와 랜덤샘플에 대해 얘기하는데도 다른 말만 하시니 통알못이라 이해하고 답 안달겠습니다~^^
  • @무례한 만삼
    아니 님도결국 상대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업능력이 우수하다는 잘못된 결론을 도출했다니까요?
  • @무례한 만삼
    정신승리하고 잘가세요

    애초에 허수응시자 반영한 잘못된 자료로 결론 도출해놓으시고

    명문대 진학으로산출한 결론은 주관 운운하며 부정하시는데
    저는 명문대 진학이 수능을 통해서 이뤄내는 A이자 Z라 보고 그 명문대의 범주는 개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편적인 기준의 명문대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더 높다라는 결론인데

    보편적인 사람들이 명문대 범주가 달라봤자 크게 다르지않고 그것을 통해 도출하는 남녀 성비도 크게 다르지않은데

    주관적이라하더라도 보편화 가능한 주관성이라면 의미가 있는 기준입니다
  • @병걸린 먼나무
    어머 정신승리란 말을 먼저 꺼낸사람이 정신승리 하는거라던데 혹시..? 그것도 엄청 긴 글을 쓰신것 보니 꽤나 정신승리중...?
  • @무례한 만삼
    정신승리란 말을 먼저꺼낸 사람이 덩신승리하는거라는 말을 하는 사람이 정신승리하는거래요~
  • @병걸린 먼나무
    상위 10%, 상위 20% 이 자체가 주관적 가치판단인 데다가 기준을 무엇으로 잡느냐에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통계로 선동하기 딱 쉬운거죠
  • @무례한 만삼
    그럼 상위 10프로 이네 남녀 비율 상위 20프로 이내 남녀비율 등 모든 비율을 공개해서 비교해야지
    수능평균점수는 그자체로 허수응시자로 인해 오류인 지표인데

    여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셨다는 점은 알지만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재적으로 우수하다 라고 말씀하신게 틀렸다는 점에서는 다름이 없습니다
  • @무례한 만삼
    님이 제가 부산대생이라 학업우수성, 명문대 진학을 운운해서 웃기다는건

    야구 제대로 해본적도 없는 인간들이 타자의 고타율, 홈런과 투수의 낮은 방어율과 높은 삼진율에 대해 이야기하는게 우습다는것과 마찬가지의 어리석고 병신같은 말이네요
  • @무례한 만삼
    그럼 님 말대로면 본문에 제시한 점수도 그냥 점수일 뿐이죠

    다들 그냥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점수를 받은것 뿐이니 그 점수를 토대로 학업능력의 우수함을 도출해선 안되는거죠

    만약 좋은 점수가 선호되는 가치라는걸 인정한다면
    명문대 진학률이라는 더 목적적합한 지표를 사용하는게 더 정확하고 효과적이구요
  • @무례한 만삼
    수능 점수 평균은 남녀의 학습능력 비교에 적절하지 않은 데이터입니다
  • @무례한 만삼
    평균적으로 뛰어나다를 증명하려면 성별과 연령을
    동일시한 모의고사 성적이 더 좋지 않나요.
    여자가 더 성실하게 내신 준비를 해서 수시로 가서 평균이 낮을 수 있잖음?
  • @때리고싶은 산호수
    윗 대댓글로 대신하겠습니다~
  • @때리고싶은 산호수
    수능 한방 노리고 커리큘럼을 수능으로 맞추고 공부할수도 있으니 모의고사도 의미없죠
  • @병걸린 먼나무
    모의고사가 그나마
    연령이 동일해서 유의미할 줄 알았는데
    실제 수능이 중요하니까 망쳐도 된다는 점을 간과했네요.
  • ㅋㅋㅋㅋㅋㅋ남자한테사랑못받고자랐나보군요 이뻐지시길기도해드릴게요
  • 사고방식이 이러니까 기나긴 인류역사동안 맨날 당하고 핍박받고 살았지 ㅋㅋㅋ 남자들이 이뤄놓은 문명속에서 편승하는 처지면 좀 아가리 닥치고 얻어쳐먹기나 잘 얻어쳐먹어라. 이게 맛이 있니 없니 하면서 쿵쾅대지 말고
  • 글쓴이글쓴이
    2016.5.23 17:41
    네이버 메인 기사로 떠있길래 웃자고 올렸는데 상황이 적절치 못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저 신검 1급 남자 맞습니다... ㅠ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