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과분들 벌레가 저절로 생길 수 있나요?

글쓴이2016.07.10 11:21조회 수 3390추천 수 1댓글 30

    • 글자 크기
네이버에 쳐도 명확하지가 않아서요.

그 음식물 쓰레기나 그런거 방치해두면

벌레가 보이기 시작하자나요?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외부에서 들어올 수 없거든요..

대표적으로 포도껍질 같은거에선 밀폐된 공간에서도 금새 포도날파리가 생기는데요.

이게 공기중에 보이지 않는 미세 세균탓인가요

아니면 우리 입과 손의 세균탓인가요

모든 음식물에는 원래 세균이 있기 때문인가요

음식물 벌레들보면 늘 보이자마자 날아다니던데

세균이 진화한건가요? 아니면 세균도 알을 낳는건가요?

마치 음식물이 벌레를 창조하는 것 처럼 보여서 궁굼해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세균과 벌레는 다르구요... 보이진 않지만 밀폐되어있어도 음식물 자체에, 공기 중에 수없이 많은 세균과 벌레의 알들이 존재하죠.. 세균이 진화된다고 벌레다 되진 않구요 음식물에서 벌레가 창조되는 것도 아닙니다 파스퇴르 실험 검색해보시길..
  • @허약한 엉겅퀴
    파스퇴르 실험 감사합니다.
  • ...? 이건 생물학과가 아니라도 ...
  • @깜찍한 진범
    제가 관심분야 아니면 아무 것도 몰라요 하하하..
  • 아.. 아니.. 아.. 음..
  • @의연한 모과나무
    과포자라 과학상식이 없어요..
  • 나도 궁금했던거임 그놈의 날파리 초파리 어디서 나타나는건지
  • 개인적으로 초파리 자연발생설을 믿고 있습니다
  • 음식이 보이자마자 벌레가 보일수밖에없습니다. 음식때문에 벌레가 날아드는거니까요.
    그리고 완전한 밀폐용기에서 초파리가 보이는건, 밀폐용기안에 넣기전에 벌레가 알을 낳아서 그런거입니다. 그리고 세균과 벌레는 규모가 너무 많이차이납니다... 초파리는 나안으로도 보이잖아요. 님 유산균음료 윌에서 헬리코박터균눈으로 보신적있으세요??
  • 문송합니다
  • ㅋㄷㅋ 귀여우심
  • 이분 최소 아리스토텔레스
  • 진짜 귀여우심ㅋㅋㅋㅋㅋㅋㅋ 생물전공자이지만 진짜 초파리는 자연발생되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요즘에 자주생기죸ㅋㅋㅋㅋㅋ
  • 이건 사람이면 당연히 알지 않나요? ㅋㅋ 애기가 혼자 태어나는거 아니잖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일등 꼬리풀
    모르니까 파스퇴르도 실험한거자나요!
  • @글쓴이
    몰라서 했을수도 있고 입증하려고 했을 수도 있죠? 사고력으로 이미 도출한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있죠
  • @일등 꼬리풀
    뭐래요 사람이니까 당연히 아는 게 아니라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음을 학습받았기에 당연한거라고 여기는 거죠..
    자연발생설을 주창한 당대의 과학자들은 다 인간이 아닌가요? 다 자기 나름대로의 논리전개가 있었는데요
  • @깜찍한 족두리풀
    파스퇴르 사고 실험 의도를 생각해봤을 뿐인데 너무 가셨다;;;
  • @깜찍한 족두리풀
    파스퇴르는 그 당연한 사실을 입증해보려고 실험 하지 않았을까 생각 해봤죠. 전 파스퇴르에 초점 맞췄지. 저어어어어어먼 초기 과학 시대에는 초점 안맞췄는데요...
  • @일등 꼬리풀
    초기과학시대라뇨.. 파스퇴르시대도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은 서로 양립하던 시댄데요...???? 파스퇴르가 종지부를 찍은 거지
  • @깜찍한 족두리풀
    아니 근데 내 말의 의도에서 너무 벗어나는 댓글을 달아서 어이가 없네요ㄷㄷ. 저는 파스퇴르는 머릿속으로 그렇지 않을까? 하는 내용을 실험을 통해서 입증해보려고 실험 했지 않을까? 하고 댓글 쓴건데. 뭔 이상한 댓글을 써요 ㅋㅋㅋㅋ
  • @일등 꼬리풀
    무슨 말의 의도요..

    사람이라면 당연히 아는 거 아니냐면서 글쓴이 깠으면서.... 사람이라면 당연히 아는 거 아니라는 뜻입니다.
  • @깜찍한 족두리풀
    예예ㅜ제가 잘못했네요~ 님이 다아 맞습니다 맞고요!
  • @일등 꼬리풀
    네 님이 조금 멍청하셨던 것 같습니다 화이팅하셔요
  • @깜찍한 족두리풀
    예예~ 맞습니다 맞고요!
  • @일등 꼬리풀
    당연한 사실을 입증한게 아니라 자연발생설과 속물속생설은 양측 주장 과학자들의 주고받는 실험결과와 주장으로 뒤섞인 논쟁의 현장이었는데요. 긁어왔으니 읽어보세요.

    생물이란 무기물에서 자연적으로 생물의 종자 없이 발생된 것이라는 이론.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무척추동물뿐만 아니라 고등 척추동물도 자연발생한다고 하였다. 이후 17세기에는 독에서 쥐가 새끼를 낳게 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반면 F. 레디는 썩은 고기에서 구더기가 자연발생한다는 설은 오류라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주장하였다. 18세기 초에 J. T. 니담은 끓인 고기 수프 속에서 미생물이 발생하는 사실을 토대로 최소한 미생물은 자연발생이 확실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L. 스팔란차니가 역시 실험적 논증을 통하여 반대하였다.
    18세기 중엽부터 자연발생에 관한 논쟁은 더욱 활기를 띠다가,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미생물학자인 L. 파스퇴르의 실험에서 종지부를 찍게 되었
  • @깜찍한 족두리풀
    에혀 쓸데없는거에 죽자고 달여드시네... 많이 해쳐드세요
  • @일등 꼬리풀
    ㅋㅋㅋㅋㅋㅋㅋ댓글 개 거지같이 다시네요. 즐퍽
  • @깜찍한 족두리풀
    맞습니다 맞고요!
  • @깜찍한 족두리풀
    학습을 통한 사고력을 입증해보는 실험은 그럼 없을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94239 츄리닝 살만한 곳 어딨을까여4 교활한 냉이 2016.03.26
94238 요리 고수 자취생 분들!8 따듯한 사위질빵 2016.02.05
94237 교직이수 질문이요ㅠ9 해맑은 참나리 2016.01.04
94236 자스민 원룸촌 근처1 창백한 도깨비바늘 2015.10.21
94235 서울지리 잘 아시눈 뷴2 어리석은 물배추 2015.09.24
94234 경영학과 전공선택7 무좀걸린 투구꽃 2015.09.03
94233 경영대 앞에 합격축하 현수막 허락 받고 걸어야 하나요?2 똑똑한 남천 2015.09.02
94232 중도 사물함 신청 언제쯤 하나요??3 침울한 머위 2015.08.30
94231 갤럭시s6 쓰시는 학우분 계신가요?5 신선한 진달래 2015.08.26
94230 휴학기간에만 휴학할 수 있나요? 지금 휴학가능한가요?1 우아한 솜나물 2015.08.21
94229 자전거여행 좋아하시는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9 예쁜 한련 2015.08.03
94228 자소서 증명사진 찍으려는데 필요한거?1 난쟁이 큰괭이밥 2015.06.15
94227 마음이 싱숭생숭2 돈많은 짚신나물 2015.05.31
94226 페이스북 질문!!4 가벼운 산국 2015.05.05
94225 보험법 다들 어떠셨나요?18 코피나는 주름조개풀 2015.04.20
94224 우리학교 경영대학원 어떤가요?1 적나라한 줄딸기 2015.04.19
94223 연도 시간1 창백한 루드베키아 2015.04.11
94222 공교육멘토링 어디까지 가나요?1 깜찍한 통보리사초 2015.03.20
94221 발전공기업2 깔끔한 분단나무 2015.02.28
94220 경제학과 김성아교수님 메일이나 연락처 아시는분 계신가요?7 이상한 지리오리방풀 2014.12.3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