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한글

부산대학교 교양과목의 성적폐지

lkmin01022016.07.20 23:56조회 수 2353추천 수 6댓글 4

    • 글자 크기

안녕하세요, 평소에 갖고 있던 생각을 얘기해보고 다른 분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주제는, 부산대학교 교양과목의 성적폐지!를 여쭤보고 싶어서 글을 올립니다.

 

현재 부산대학교에서는 수 많은 교양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보통은 대학교1,2학년 때 6과목정도 듣게 되지요.

 

교양과목의 본질은 대학교에 진리를 탐구하러 온 지식인 혹은 교양인으로써

자기 분야의 것 이외의 것들을  학습함으로 자신의 진로을 탐구하고, 타 학문에대한 흥미, 그리고 다제학문의 융합적 가치를 높이는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건강한 인격의 수양도 있겠네요.

 

그런데 저는 이런 교양과목의 본질이 성적평가에 의해서 하나도 구현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적을 평가하는 이유는 학생의 학습의 노력을  진단하는 것으로 동기부여의 도구라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과연 교양과목에 성적을 평가함으로써 얻는 이익과 손실중에 무엇이 클까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별로 의문을 제기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단점으로는

 

1. 학생들은 성적을 얻기 위한 쉬운 과목들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다.

-> 전형적인 예로는 제2외국어를 선택할 때, 듣고 싶은 과목들이 있지만 성적에 대한 걱정으로 이미 알고 있고 잘하는 과목들에 대한 신청이 많습니다. 그리고 전공과 관련된 과목들을 주로 선택하며, 시험공부 학습의 부담이 가장적은 과목들을 선택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2. 교수님들도 어쩔 수 없이 해야하는 평가 때문에 과목의 목표와는 달리 억지로 평가를 하기위해 수업에 필요 없는 요소들을 넣으시기도 합니다. 따라서 과목의 학습목표와는 전혀 상관없는 것들을 출제하시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평가를 할려면 객관적인 요소들이 필요한데 실제로는 중요하지 않지만 시험에는 내기 좋은 것들이 있는 것이죠.

-> 평가가 학습의 결과물로 평가 받기 때문에 따라서 학생들도 과목의 본질에 충분히 학습하기 보다는 시험위주로 교양과목을 흡수하는 경향이 큽니다.

 

이러한 이유로 교양과목이 학교내에서 이수과정으로 존재하는 본질적인 목적이 전혀 구현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고 이에 따라 존재 이유도 무색해집니다.

 

그러나 장점도 있습니다.

즉, 학습의 동기부여입니다. 학습의 동기부여는 여러가지 도구들이 있겠지만 시간과 가격 그리고 현실적인 여건에서 학점평가 만큼이나 학생들의 동기부여와 통제를 이루어내는 것은 없을 것 입니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평가의 장점이 교양과목에서조차 꼭 저런 단점들을 일으키면서 까지 존재하는 충분한 이유여야 하는 관점에 대해서는 저는 반대입니다. 왜냐하면 간단히 말해, 이렇게 생기는 단점은 교양과목의 본질적 존재이유인 진로탐구, 타 학문에 대한 흥미 함양, 건강한 인격들을 실패로 이끌기 때문에 과목의 존재이유가 없어짐으로  이는 평가의 존재이조차 없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맨날 다른 학교가 뭘 한다고 하면 따라하고 없애고 하는게 아니라. 변화를 두려워 하지말고 부산대학교가 선구자적인 교육철학 방식으로 새로운 교육 컬리큘럼을 정학하는데 있어서 앞장섰으면 합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근데 아직현실화하기에는 넘어야할문제가 만만치않을거같네요.
    취지는 좋습니다
  • 성적폐지한다면 교양에서 성적을 못 받은 사람들과 잘 받은 사람들 간에 형평성 문제가 될 수 있죠. 잘 받은 사람들의 노력이 없어지는 것이잖아요?
  • @스누라이프
    lkmin0102글쓴이
    2016.7.21 01:52
    앞으로 평가를 없애자는 취지의 얘기입니당^^
  • 단점1은.. 평가 자체가 가진 본질적인 문제가 아닌것같은데, 그러한 이유로 평가를 없애버리자는 논리적인것같지않습니다.. 제생각입니다..
    단점2 또한 마찬가지로 평가 자체가 가진 문제가 아니라 교수님들이 수업목표에 따른 적절한 평가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않으시는게 문제가아닐런지요?

    분명 글쓴님말대로 현재 대학에서 교양과목 존재의 목적이 잘 구현되고있지않다는것에 저도 동의하는 바입니다만..
    제 생각에는 지금의 평가제도, 방법이 바뀌어야한다 정도가 적당할것같습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16978 질문 월수 인지심리학(이고은 교수님) 들으신 분/들어보신 분 계신가요?1 식혜식혜 2017.09.07
16977 가벼운글 교내에 핸드폰 충전 되는 곳2 ehfksksklc 2017.09.05
16976 진지한글 경제학부 경제학원론2 002분반(이대식교수님)버리실 분2 Dododododo 2017.08.08
16975 질문 [레알피누] 실영2 제시카 노튼2 덜룩이얼룩이 2017.06.11
16974 질문 오늘 커뮤니케이션학개론 허윤철 교수님1 fnffnfkffk 2017.04.03
16973 분실/습득 3/28 경영관에서 노란색 미니언즈 케이스 s6 못보셨어요? 멍문이 2017.03.28
16972 질문 오퍼 교환 하실분 zhzhahd 2017.02.07
16971 진지한글 5 심심함 2017.02.07
16970 진지한글 .1 dzzd 2017.01.20
16969 질문 이준이 교수님 기후변화의 이해 종강했나요?2 @kim 2016.12.05
16968 질문 ㅈㅇㅈ기계시스템설계 ㅇㅅㅎ생산시스템설계 중도박이 2016.11.18
16967 분실/습득 진주문화사 검은색 반지갑 나랄리 2016.10.25
16966 질문 일본문학개론 9시 나승회교수님 분반 옹박옹박 2016.10.21
16965 질문 오늘 베트남어 강의 베뉴 2016.10.07
16964 질문 한국 영화의 역사와전망 김충국 교수님 들으신분...도와주세요 짇긎 2016.09.13
16963 진지한글 계절글영 DSLR 2016.06.01
16962 가벼운글 제1놋북열람실(본인)<_>제2놋북열람 하실분? 아자르 2016.04.16
16961 질문 재무과 위치2 Leeleelee 2016.04.15
16960 질문 8시반쯤에도 문여는 복사집 있나요? 열매달 2016.04.10
16959 분실/습득 신한카드 오늘(3/3) 금정회관 점심시간에 잊어버리신분?? djkqooaco 2016.03.0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