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과 학생인데요. 공대생분들, 수치해석학의 선수과목이 뭔가요?

똥마려운 솔붓꽃2016.09.20 21:16조회 수 3574댓글 31

    • 글자 크기

경영학과 1학년 인데요.

금융쪽으로 취업할 계획이라 수치해석학을 공부해야할것 같아서요.

KOCW에서 미분적분학은 다 들었고,

anton 선형대수학, wade 해석개론으로 독학해서

다음학기부터 수학과 수업을 들을 계획입니다.

이 외에 수치해석학을 들으려면 어떤 선수과목을 들어야 할까요???

    • 글자 크기
뉴질랜드워홀 vs 호주워홀 (by 도도한 노랑어리연꽃) 성적발표 정시라는게 밤12시 정각 말하는건가유? (by 상냥한 이팝나무)

댓글 달기

  • 미적분학,선형대수학,공업수학 이렇게 듣는데 사실 앞 두개만 들어도 충분하실거 같아요.
  • @친숙한 동의나물
    공업수학은 경제수학(벡터와 행렬, 극한, 미분, 최적화), 미적분학으로
    대체가 가능하겠죠?
  • @글쓴이
    글쎄요... 오히려 경제수학은 선형대수학의 대체과목으로 어울릴듯한데요. 하지만 경제수학에서 배우는 벡터 및 행렬 배움 깊이의 정도가 선형대수학에서 배우는 벡터와 행렬 배움 깊이의 정도와 같다고 보기는 힘들것 같아요.
    미적분학의 경우는 수학과에서 전문적으로 배우는 미적분학이 아닌 그저 계산을 위한 미적분학이라면 충분히 대체 가능할 것 같구요.
    공업수학은 미분 및 적분의 연산 자체가 아니라, 상미분방정식이나 편미분방정식의 풀이가 조금더 지배적이라 수치해석을 듣기 위해서 공업수학은 따로 들어보는 것을 추천해드려요.
  • @다친 수국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글쓴이
    공업수학에서 다루는 내용은 미분방정식의 풀이, 라플라스 변환, 푸리에 변환, 복소해석이 주요 내용인데, 다른 건 몰라도, 미분방정식의 풀이를 안 듣고서 수치해석 들으면 힘들지 않을까요?
    물론 수치해석에서는 numerical mothod로 풀겠지만 PDE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크게 다루지 않아요!
  • @생생한 나팔꽃
    안그래도 미분방정식은 따로 수업도 있고 해서,
    수학을 어느정도를 해야하나 고민이었어요.
    수치해석학을 들으려는 궁극적인 이유가
    구조방정식모형에 대한 이해를 깊이하기 위해서였군요.

    일단 고민이 어느정도 해결된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선대
  • 금융권 종사자들한테 물어보세여 이런게 필요한지
  • 비꼬는게아니고 재직자얘기들어보는게 중요하더라구요 ㅠ
  • @기쁜 연꽃
    사실 필요없다고 봐도 무방하죠. 대학원갈거면 미리 공부해두는게 필요할수도있는데 걍 저거 취미활동 혹은 자기 공부뽕에 취하는 것 정도.
    차라리 cfa랑 frm을 준비하면서 그에 필요한 정도로 수리적 배경을 쌓는게 맞슴다.
    난 학문적배경을 쌓는다는데 왜 자격증..이라고 하실지모르지만 저 자격증이 종이가 아니라 그정도의 금융공학적 지식이있단걸 증명하는 증명서니까요. 드물게 잘풀리셔서 자산운용쪽으로 간다해도 학벌커버하려면 저런 고급자격증이라고 있어야 면접에서 어필가능합니다. 약간 저분 시간낭비중임
  • @해박한 물배추
    CFA는 대부분 4학년때 준비한다고 해서요.
    아직 1학년이라 최대한 깊이있게
    학술적으로 공부해 놓으려구요.
  • @기쁜 연꽃
    재직자는 잘 모르고, 교수님께서
    수치해석학+matlab은 요즘 금융권에서는 필수라고 해서요.
  • 전기과거는 절대 듣지마시길 권해요
  • @냉철한 해당화
    전기인으로써 100000% 동감
  • @바쁜 섬말나리
    전기과 수업은 왜요???
  • @글쓴이
    Hell
  • @바쁜 섬말나리
    ㅜㅜ
  • @냉철한 해당화
    왜 그런가요?
  • 수치해석학은 수학 + 코딩이라 생각보다 코딩 비중이 커요
    코딩이랑 수학은 조금 다른분야라 컴퓨터랑 안친하면 힘들수도 있어요
  • @의연한 까치박달
    그럼 도서관에 보니까
    matlab으로 배우는 수치해석학 있던데 그걸로 대체해서 공부하는건 좀 아닐까요?

    깊이가 없어보일까 해서요...
  • @글쓴이
    수업듣기도전에 미리 책빌려서 하는 자세는 좋지만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측면에서는 그닥 좋지않은것 같아요. 예를들자면 군대에 있으면 수학 까먹으니 미적분학 공부를 해서 나오자....했는데 나오고 나면 별도움 안되는...차라리 그시간에 딴걸 하시는게 좋을 것 같구요. 전체적으로 수치해석이 뭐다 하는 정도?(뭘배우는지? 어떤순서로 배우는지 각 챕터별 뭐가있는지 대충 관망)는 도서관에서 책빌려서 하루이틀정도 공부해볼만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수치해석과목 기계과에서도 2학년 1학기에 빡센과목에 속하기에.... 수업들으실때 좀더 투자해서 공부하셔요~그게 효율적이죠 ㅎ지금 밀도있게 보려해봤자 뭔지도 잘모르고 나중에 다까먹어요~
  • @부자 클레마티스
    네 감사합니다^^
  • @글쓴이
    네 그럼 건승하셔요ㅎ 그리고 교수님 잘 찾아가세요~^^ 교수님마다 가르치는 방법이 천차만별입니다~

    가르치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라는게 잘 모르실것같아서 조금만 더 붙이자면...
    수치해석과목 내용중 한가지로 4차방정식이 4개 있다고 치면 컴퓨터는 일정한 방법 가오스 자이델방법같은..수치해법으로 푸는데... 수치해석 시간에는 컴퓨터가 하는방식 그대로 글쓴이님이 하나하나 손으로 해보는 시간입니다.(얼마나 힘든지 몸소 체험) 교수님마다 내주시는 과제도 다르고 양도 달라요~어떤분은 코드로 짜보고 돌려서 해를 구해라는 교수님도 계실테고 배운 수치해법으로 손으로 풀어보라는 분도 계실거예요~등등 기계과나 전기과에 지인분 있다면 교수님 잘알아보고 수강하셔요~~^^수치해석 배운지 6년이나 되서 ㅎㅎ 맞게 설명했나도 사실 잘모르겠네요 ㅎㅎ대충느낌은 아시겠죠?
  • @부자 클레마티스
    넵!!!
    말씀 감사합니다^^
  • @글쓴이
    학부 취업이 목표라면 이렇게 공부하는게 도움 안될꺼 같아여
    공대나 자연대 학부 졸업해도 금융공학에서 쓰이는 수준의 수학실력이나 프로그래밍 실력 둘중하나도 제대로 하기 힘들어여 심지어 걍 독학으로는 의미가 없을꺼 같네요
  • @의연한 까치박달
    아직1학년이다보니
    열정이 앞서네요.
    세겨들을게요.
  • @글쓴이
    와 진짜 열심히하네요 크게되실듯
  • @아픈 꽃향유
    아니에요ㅜㅜ
    집이 좀 어려워서 어떻게든
    공부는 해야겠고,
    전공욕심도 있는편이라
    대학온김에 최선을
    다해보려구요.
  • @글쓴이
    글쓴이분 ㅠ 마음은 잘 알겠는데 저도 금융권 취업준비하고 있고 주변에 취업준비한 사람이 많아서 말씀드려요 ㅠㅠ 저는 수학을 깊이 학습하는거는 너무 오래 안하셨으면 좋겠어요 대신 전문자격증이나 빅데이터분석같은 뚜렷한 방향이 있다면 괜찮겠지만요 ㅠ
    누구나 자기만의 방향성이 있어야하는건 필수지만 기업에서는 신입사원에게 학구적인 태도를 바라기보다는 그야말로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자기만의 깨달음과 또다른 도전을 준비한 경우를 좋아하는것같습니다...
    금융권 취업이 목표시라면.금융권 자기소개서 항목이나 합격자기소개서 읽어보고 유투브에도 금융권관련동영상 많을건데 그런것도 찾아보고 방향을 잡아가셔야할것같습니다.
    학점관리를 잘하되 고객응대아르바이트라던지 영어동아리라던지 제2외국어라던지 그외에도 해보고 싶은게 많지 않나요.....? 1학년이 처음부터 너무 금융만 파게 되면 나중에 취업준비할때 공채는쏟아지고 자기는 갈곳없고하면 회의감드실까봐 걱정되네요.. 대학생활은 자기의 가능성을 무대라고 생각해요 세상은 넓으니 지금은 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 필요할 곳 같습니다!
  • @글쓴이
    열심히 하시는거 방향성만 잘잡으면 성공하실거에요 ㅎㅎㅎ
    요번에 여름에 s사에서 인턴했었는데 그룹연수때 보니 금융계열이나 마케팅 직군들은 대체적으로 외국어를 하나쯤 정말 잘하더라고요
    한분은 y대 경영이었는데 컴퓨터공학을 복전했더라구요
    님도 할꺼면 통계나 수학이나 컴퓨터를 복전하세요 힘들더라도 도움 될꺼에요
  • 그리고 전 인턴을 했었는데 대학공부랑 실무는 정말 별개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6383 그냥궁금한데요. 결혼할 상대 학력 마지노선있나요?22 침착한 브라질아부틸론 2013.03.23
6382 아 진짜 대학교 진심 자퇴하고싶습니다..21 흐뭇한 대극 2014.01.30
6381 이해가 잘 안되서 질문드립니다44 똑똑한 비수리 2015.01.07
6380 뉴질랜드워홀 vs 호주워홀7 도도한 노랑어리연꽃 2013.04.11
경영학과 학생인데요. 공대생분들, 수치해석학의 선수과목이 뭔가요?31 똥마려운 솔붓꽃 2016.09.20
6378 성적발표 정시라는게 밤12시 정각 말하는건가유?9 상냥한 이팝나무 2018.07.02
6377 공대 2학년 20학점 버틸수 있을까요27 억쎈 좀쥐오줌 2019.02.04
6376 여대생 신발 뭐 신는게 좋을까요?13 피곤한 화살나무 2013.03.09
6375 진짜 웃고 호감있는 교수님들(ㅇㄷㅎ/ㅇㅇㅈ)수업듣지말아야함14 근육질 물봉선 2013.12.25
6374 1년휴학하고 2천만원정도 모을 생각인데 어떻게 모으는게 좋을까요?15 우아한 큰까치수영 2014.05.07
6373 인벤터 2015 설치문제 부탁드립니다.. 부자 접시꽃 2017.01.09
6372 원룸 월세 다들 선불하시나요?13 세련된 새콩 2017.01.14
6371 공무원이 유투버로 겸업해도 되나요?7 무거운 주걱비비추 2018.02.03
6370 축구 정품 유니폼 구매 잘 아시는 분??5 적나라한 둥근바위솔 2013.08.21
6369 우리과만 유독 이런가요?27 고고한 홑왕원추리 2014.12.05
6368 손에 힘이 안들어가요ㅠㅠ1 잘생긴 사마귀풀 2017.03.11
6367 키190인 사람들보면 정말 압도감 같은게 느껴지나요?13 슬픈 무릇 2017.10.26
6366 피누인이 성적이 안나온다는사실을 받아들이는과정1 깨끗한 팥배나무 2018.01.02
6365 부산대 공대 ABEEK17 질긴 홍가시나무 2013.03.08
6364 학점 똥싸질러 놓은거 치우는 요령 좀 알려주세요 하나도 몰라서...14 명랑한 애기현호색 2014.01.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