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과실책임 질문 ㅠㅠ

글쓴이2016.10.07 14:28조회 수 1170댓글 8

    • 글자 크기
도저히 이해가 가지않아 적어용... ㅠㅠ 네이버에 예시도 이해가 안갑니다
민법공부중인데 근대민법에서는 과실책임의 원칙이잖아요... 자신의 고의나 과실에 의하는 경우에만 책임을 진다고 하는데 예를들면 자동차 급발진이 났을때는 나의 잘못이니까 제가 책임을 져야한다는건가요..??
또 무과실책임의 원칙도 과실이 있든없든 배상의 책임을 진다 ...? 싹다 무슨말인지 모르겟습니다....

예시를통해서ㅠㅠ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할거같아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과실책임은 내 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책임을 지는 것이고 무과실책임은 내 과실이 있던 없던 책임을 지도록 입법적으로 설정한 것입니다.
    예컨대 내가 고의 또는 과실로 지나가던 사람을 차로 박았다면 과실이 있으므로 책임을 지는 것을 과실책임이라 하고 이와 달리 근로자가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손가락이 기계에 낀 것은 그 근로자의 과실임에도 과실이 없는 사용자가 책임지는 것을 무과실책임이라 합니다.
  • 위 예에서 사용자가 책임을 지는 것은 사용자에 비해 경제적 사회적 약자인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입법정책적 측면에서 과실이 없음에도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나 부상에 대해 무과실책임을 지도록 한 것입니다.
  • @활동적인 물억새
    글쓴이글쓴이
    2016.10.7 15:02
    ㅠㅠㅠ감사합니다 ❤️❤️❤️❤️❤️ 이해가기 시작해요 ㅠㅠㅠㅠ
  • 근대민법에서는 과실책임의 원칙이었는데 그것이 현대에 들어서는 윗분 말씀처럼 사회적 불공평 때문에 특별한 경우에 도입한것이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541&cid=40942&categoryId=31721
  • 무과실책임이라는 것은 개인이 아니라 국가 배상과 관련하여 나온 개념입니다.

    만약에 공무원이 직무상 문제를 일으켜서 큰 사고가 났다고 하면 그로 인한 피해액수는 상상이상입니다. 과실책임인 경우 공무원이 이를 전부 배상해야하는데 일반적으로 개인이라 그럴 능력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큰 액수를 과실이 없지만 공무원을 관리하는 책임이 있는 국가가 배상하는 것이죠.
  • 국가 배상과 관련하여 나온 개념이라는 것에 대해 설명좀 해주실수 있을까요
    저는 개념의 기원은 모르겠지만 그건 아니라고 생각돼서 질문드립니다
  • 무과실 책임은 현대로 오면서 과실 책임으로는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힘들어 보상받지 못하거나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으로 아는데요..
  • 근대민법 과실책임의 원칙이고 현대에 와서는 과실책임의 원칙에 예외적 무과실책임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무과실책임이란 피해자가 가해자의 과실을 증명하지 않더라도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해요 그래서 가해자가 배상의 책임을 면하기 위해선 자신에게 과실이 없음을(의무를 다했음을) 입증해야 배상책임을 면할 수 있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80084 [레알피누] 일반행정 9급 준비하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5 기쁜 동부 2018.05.09
80083 주휴수당 받아내는 방법8 섹시한 새콩 2018.05.18
80082 깜짝...청와대 갤러리...무고죄 강화 청원 등장...5 멋쟁이 섬잣나무 2018.05.26
80081 전기과 학우님덜..27 어리석은 국수나무 2018.10.20
80080 [레알피누] 4학년 졸업&취준 관련해서 수업계획 짜는 거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10 특이한 옻나무 2018.11.10
80079 요잘알님들! 돼지고기 3일정도 재우면 우예되나요...16 사랑스러운 이삭여뀌 2018.11.16
80078 9급 무시하지 마세요2 촉촉한 겨우살이 2018.11.22
80077 토스와 오픽의차이점좀 알려주세요9 청렴한 긴강남차 2018.11.27
80076 공동학위제?9 뛰어난 잣나무 2018.12.12
80075 시험을 너무망해서 죽고싶어요22 침착한 매발톱꽃 2018.12.19
80074 문과 취업률 떨어지는게11 잘생긴 금송 2019.04.03
80073 공영방송에서 보는 라이온킹7 의젓한 동자꽃 2019.07.19
80072 이비인후과에서 귀지 제거하면 얼마 정도 드나요?7 도도한 큰꽃으아리 2019.10.04
80071 (요약) 바람펴서 낳은 자식인데도 친자 판결 났네요.9 쌀쌀한 낙우송 2019.10.23
80070 공기업 준비생 중에 12학번 위로 있나요?16 훈훈한 먹넌출 2020.01.14
80069 아싸의 졸업식 없는 졸업식 후기5 화려한 가막살나무 2020.02.21
80068 할머니가 닭다리만 집어먹길래8 부지런한 파인애플민트 2020.03.21
80067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2 기쁜 궁궁이 2020.04.16
80066 에휴 걍 혼자 살아야겠다.4 적나라한 쉬땅나무 2020.10.26
80065 정말 취직하신 분들 무한 존경합니다7 근엄한 들메나무 2021.03.17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