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 라섹 등으로 시력이 좋아지면 망막박리 위험도 줄까요?

글쓴이2016.10.15 11:53조회 수 2545댓글 10

    • 글자 크기

초고도근시라서 항상 망막박리에 대한 불안감이 있습니다.

눈에 칼 대는게 무서워서 아예 시력교정술은 생각도 안해봤는데

갑자기 수술을 받고 시력이 올라가면 오히려 망막박리 위험에서 멀어지는 건가 궁금해졌습니다.

 

제가 검색을 제대로 못해서 그런건지 이런 것과 관련해서 나온 검색결과들이 명확하지가 않네요.

이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안과에서 상담해보시는게 제일 정확하고 빠르지않을까요?
  • 제가 망막박리때매 안과에서 레이저 시술을 받은적이 있는데 의사선생님이 망막박리는 이유없이 생기는 거라고 하셨어요.
    안과 검진을 수시로 1년에 한번씩 받으면서 망막박리 생기면 그때 떨어진 망막을 레이저로 고정시키는 시술 받으면 된대요
  • @포근한 겨우살이
    글쓴이글쓴이
    2016.10.15 15:52
    인터넷에 검색하면 망막박리 위험군에 초고도근시가 있더라구요. 그걸 알고나서 검색해보니 망막박리 수술한 분들 후기까지 읽게되고 이게 보통수술이 아니구나 싶어서 너무 놀랐어요. (그래서 오히려 시력교정술로 근시를 고치면 ㅇ망막박리 위험에서 좀 더 멀어지는 건가 생각하게 되었답니다.) 레이저 시술도 하고나서 동공 고정하고 며칠 있어야하지 않나요? 고생많으셨겠네요. 레이저 시술하시고나서 한참동안 주의사항도 많고 고생많이 하시지않으셨나요?ㅠㅠ 망막박리 있기전에 비문증 등 기타 증상 느끼시고 간건지도 궁금해요.
    요즘 눈이 불편해서 다음주에 안과가려구요. 제가 눈 검사할 때 눈을 잘 못뜨는데 유일하게 편한상태에서 검사하는 안과가 있어서 거기 가려고하는데 동네 작은 안과거든요. 망막박리 검사는 무조건 큰 곳에서 해야할까요...?
  • @글쓴이
    저같은 경우에는 라식하려고 서면에 있는 큰안과가서 눈 검사 했다가 망막박리가 발견된 경우거든요~ 작은 병원가도 검사기만 있다면 괜찮을것 같아요. 저는 시술하기 전에 일단 동공확장인가? 필요하다해서 안약넣고 얼마동안 기다린다음에 바로 치료 받았어요. 어떤 기계앞에 앉아서 하는건데 기계에서 하얀빛이 나오거든요. 눈부셔도 참고 계속 그 빛을 보고있어야돼요. 한 몇분이면 끝나거든요~ 그러고나서 담날 불편하거나 아픈건 없었어요. 망막박리도 초기에 발견되면 간단한 시술만 해도 괜찮나봐요. 심해지면 수술해야겠지만.. 치료끝나고 주의사항도 별로 없었고 그냥 안약같은거 처방해주면 제때 넣으면되구요ㅎ 비문증은 지금도 조금 있어요ㅠㅠ 망막박리 치료한다해서 없어지는게 아니더라구용
  • @포근한 겨우살이
    글쓴이글쓴이
    2016.10.15 21:31
    답변감사해요! 시술 전 동공확장 안약넣은게 제가 망막박리 검색하면서 알게 된 산동검사의 일종인 것 같아요. 동공확장을 해서 하는...
    그 검사&시술하시고나서 당일날 눈 제대로 보이셨나요? 제가 초등학생 때부터 안경끼기시작했는데
    안경맞추기 전에 안과에서 검사를 한번 받았었거든요, 그때 안약넣고 검사받았는데
    그날 하루종일 아무것도 못 봤었어요... 온 세상이 하얗더라구요. 이대로 계속 안보이는건가 싶어서 24시간 넘게 너무 무서웠던 기억이 있는데 산동검사가 제가 어릴 때 받았던 그 검사인지 잘 모르겠네요.
    질문이 길어서 정말 죄송합니다ㅠㅠ 당시에 안과에서 받으셨던 산동검사 당일 날 바로 정상 시야로 돌아오셨는지 아니면 하루꼬박 넘도록 계속 뿌옇게 보이셨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ㅠㅠ 당일날 레이저 시술 받으셨던 것 같아서 정확하게 구분지어 말씀주시기 힘드실 수 있겠지만...
    제가 겁이 많아서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하고 가고 싶네용...
  • @글쓴이
    그런 걱정은 전혀 안하셔도 돼요~ 눈안보이거나 그런건 없었거든요. 근데 집에 오면서 약간 머리가 띵했던걸로 기억해요. 머리 아픈거 말곤 눈이 안보이는건 없었고요. 그 검사 이름은 잘 모르겠는데 제가 어떤 안약을 넣었을 때 시야가 보라빛으로 보였었는데 그건 시술전 일시적 현상이라고 하더라구요. 치료받고 나면 원상태로 다시 돌아오게되던뎅 정확히는 1년전이라서 기억이ㅠ; 그리고 제가 라섹 했었는데 라섹하고 이틀간 눈뜨기 힘들고 눈이 안보여서 며칠간 고생했었네요. 라섹처럼 큰 수술이 아니니까 일상 생활에 지장은 없을거에요!
  • @포근한 겨우살이
    글쓴이글쓴이
    2016.10.16 05:45
    질문 너무 길게 드렸는데 이렇게 친절히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덕분에 조금 덜 겁내고 병원갈 수 있을 것 같아요ㅎㅎ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ㅠ_ㅠ 겨우살이님의 평생 눈건강을 기원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라요~^.^
  • 저두 레이저 시술 받았는데 망막 천공 및 변성이라는 명목이었어요. 망막 격자에 변성이 생긴게 더 악화되면 천공이 생기고(구멍뚫림) 그 천공으로 유리체가 침입해서 망막과 맥락막 사이를 박리시키게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때 박리된 부위가 황반을 포함하게 되면 시력을 잃게되는데ㅜㅜ 발생하는 원인은 정확히 규명된건아니라구 했어요. 근데 티비에서 망막박리에 의한 실명이 젊은 층에서 많이 생긴다고... 스마트폰을 오래 보고 하는게 그런 영향이 있는 것 같다구 하더라구요ㅠㅠ 전 레이저 받을때 눈에 계속 기계 대고있어야해서 약넣고 마취(?)같은거 하구(이때 시야도 흐릿해져요) 치료 끝나고 눈물 주룩주룩 흘리고 나니까 마취도 풀리고 시력도 돌아오길래 바로 집에 갔어요. 라식검사하러 갔다가 의사소견서 받고 부산대병원 외래진료로 바로치료받고 나왔어요! 근데 이게 근시랑 관련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아무래도 스마트폰이 가까이에서 쳐다봐야해서 안압을 높이니까 근시안이신 분들은 안그래도 멀리 잘 안보이니까 집중해서 안보는데 가까이에서 집중해서 보는게 영향이 있는거 아닐까요~? 그냥 제 생각...^^
  • @무례한 우산이끼
    글쓴이글쓴이
    2016.10.18 07:25
    고생많으셨겠네요ㅠㅠ 얼마나 무서웠을까요. (토닥토닥)
    수술 전에 검사하실 때는 동공확장 약 같은 것 넣고 안하셨나요? 제가 검색했을 때 망막박리는 산동검사를 해야하는데 산동검사가 동공확장제를 넣고 한다고 되어있더라구요. 그런데 동공확장제 넣으면 눈이 꽤 장시간 잘 보이질않나봐요. 우산이끼님은 검사할 때는 동공확장제를 넣지 않고 수술할 때 단계에서 약이 주입된 것 같아서요...!
    어제 안과가서 물어보니 1. 고도근시는 망막박리 위험이 높은 것이 맞고(이름이 기억안나는데 근시는 무엇(?)이 당기는 힘이 강해서 망막이 받는 압력이 높대요) 2. 시력교정술로 고도근시에서 벗어나 정상시력을 가져도 망막박리 위험도를 높이는 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하네요ㅠㅠ 시력교정술 부위와 이미 근시가 이루어진 부위가 전혀 다른 영역의 것이라 시력교정술이 근시가 있게 한 부분을 없애주는 건 아니래요ㅠㅠㅠ
    제가 글을 읽은 것으로만 느끼기엔 우산이끼님께서는 근시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망막 천공 및 변성이 생기셨던 것 같네요. 망막 격자에 변성이 생기는 건 여러가지 원인이 있고 추적하기도 힘들거니까요ㅠㅠ
    망막박리에 대해 여러가지 궁금했었는데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소중한 눈을 지키는 수술을 받으셨는데 항상 관리잘하시고 저도 지금도 노트북 보고 있지만 가급적 스마트폰, 노트북 등 블루라이트 나오는 제품사용은 자제하도록 주의해요ㅠㅠ 눈 건강 항상 조심하시고 중간시험도 대박나셔요!
  • @글쓴이
    네 전 동공확장제는 안넣은 것 같아요! 압..저도 근시 심해서 공부할 때 책이랑 눈이랑 거의 붙이고ㅠㅠ공부하는데...더불어 시력도 짝눈...조심해야겠네요...
    아마두 뭔가 당기는 힘이라는게 근시는 수정체가 얇아지는 탄력이 부족하거나 성장과정에서 안구가 뒤로 더 길어져서 생기는데 보통은 후자에 속하거든용...그래서 아마 안구 내에 유리체 압력이 낮아져서 망막ㄱ에 박리를 유도하는,,(역시 망구 제생각..^^)
    아무튼 저의ㅠㅠ중간고사까지 걱정해주시고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공부를 안했는데 오늘 시험이래요 뭐,,,최대한 잘 쳐볼게용 감사합니닷!!! 우리 소중한 눈을 지켜요 정기검진 ㅠㅜ합시다 (´°̥̥̥̥̥̥̥̥ω°̥̥̥̥̥̥̥̥`)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54300 부산대 주변에 개별 화장실 있는 고시텔이나 고시원 없나요?4 명랑한 돌나물 2014.09.24
154299 부산대앞 클루4 이상한 자귀풀 2014.04.06
154298 큰일났슴다 ......9 난감한 자주쓴풀 2014.02.25
154297 성형수술할때16 억울한 돼지풀 2014.01.19
154296 제발 원룸에서 노래 부르지맙시다8 난쟁이 둥근바위솔 2014.01.11
154295 사람 다 듣고 있는데 뒤에서 쑥덕거리면서 험담하는건 뭡 개같은 매넙니까? 다 큰 성인이란 사람이25 무례한 마디풀 2013.10.26
154294 여성분들 남자에게 호감20 귀여운 옥수수 2013.10.11
154293 진짜 한국대 통합될 분위긴가보네요6 자상한 호랑버들 2018.12.13
154292 공기업 탈출이유10 멋진 까치고들빼기 2018.11.05
154291 보통 어디까지 메이저공기업으로 치나요??5 어설픈 무궁화 2018.04.25
154290 참다참다 글써봅니다.18 태연한 큰개불알풀 2018.04.23
154289 겨털 대한민국 상위 10% 수준으로 많은데26 느린 시금치 2018.04.21
154288 토익 825면 자소서에 안쓰는게 낫나요?13 저렴한 꽃기린 2016.08.01
154287 장전역앞 쌍용헬스장3 나약한 졸참나무 2016.07.26
154286 프리미어 장학생 떨어진 분 계세요?32 무례한 둥굴레 2015.12.26
154285 학번은 같은데 나이는 한살 많으면 형이라고 부르나요?20 허약한 좁쌀풀 2015.10.27
154284 탐폰17 정겨운 애기메꽃 2015.10.22
154283 [레알피누] .12 깔끔한 오이 2015.09.24
154282 원룸 가계약 해지 계약금1 정겨운 소나무 2015.07.23
154281 성적우수장학금등급8 멋진 콜레우스 2015.02.05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