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감한 무궁화2016.11.05 10:07조회 수 1503댓글 8

    • 글자 크기
.
    • 글자 크기
. (by 방구쟁이 매듭풀) . (by 점잖은 얼레지)

댓글 달기

  • 부모님이 어릴때 잘 살았을 수는 있지만 그 부모님이 꼭 부자라는 법은 없으니...
    부모님세대라고 대학나오면 다 잘사는게 아니니깐요
  • @싸늘한 가는괴불주머니
    하긴 그것도 그렇네요.
    그런데 대졸자 부모를 둔 선배가 그런말 하면
    뭔가 괴리감이 드는건 사실이에요.
    특별히 못살아보이지도 않았구요.
    그 당시 대학생이 몇프로 안되는걸로 아는데
    대학나왔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사회적 대우가 높았던 시절 아니었던가요?
  • @글쓴이
    아... 너무 딱 수학공식처럼 나누어 떨어지지가 않아서... 맞다틀리다 말씀드리긴 힘들겠네요
    다만 확률은 높았겠죠
    그리고 그 분 부모님은 잘 사는 분일 수도 있고요 ㅎㅎ
  • 그당시 대학 갔다고 반드시 그사람이 부자라고도 못하고요.
    그리고 옛날에 부자였다고 지금도 부자라고 할수있나요?
    주식 같은거에 투자 잘못하면 한방에 훅갈수도 있는거고.
    당시에 보증 잘못서서 망한사람들도 많아요.
  • 돈을 벌어서 어떻게 운용했나에 따라서도 달라지기더하고요.
    그당시에 열심히 한만큼 보상받는다..라고 말하기도 어려운게
    공무원같은경우 예전에는 꼴통들이 가는 데였는데 지금 가정 큰혜택을 보고 있는게 또 그사람들이에요.
    정작 그당시 열심히 살았던사람들은 회사망하고 불안햐하면서 살고.. 뭐 그래요

    전반적으로 예전에 꼴통으로 살던사람들이 지금 혜탹을 가장 많이 보고 있어요 ㅇㅇ..
  • 첫번째로
    대졸=경제적인 성공?
    꼭 그건 아니구요
    두번째로
    흙수저이냐 아니냐는 자기 기준이죠.
    단적인 예로, 군대에서 만난 지인중에
    20위권 대기업 주력계열사 부사장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미국유학중인데 학교에 내는돈만 연1억이고,
    부대 출입신청해야하니 부모님이 타고오실 차 말하라니까
    뭐타고올지 몰라서 모른다는 등.
    누가봐도 금수저를 넘어서 다이아 수저였죠)
    근데 본인은 단지 일반 직장인의 아들이라고 말합니다.
    (진심으로 그러더군요.. 보는눈이 LG사의 구씨일가 이런거만 보니..)
    님보다 잘살면 흙수저가 아니다 .
    뭐 이런 논리는 틀렸어요.
  • 흑수저가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지 않을까요?
    전 제 부모님 두분다 고졸이시고 열심히 일하셔서
    제가 학비 걱정 없이 학교 다니는 것만으로 흑수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 부모님이금수저였다고 자식이금수저인건아니잖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7122 .2 겸손한 병꽃나무 2020.09.14
7121 .1 초연한 맨드라미 2017.05.26
7120 .3 저렴한 딸기 2021.02.19
7119 .22 싸늘한 산철쭉 2019.02.21
7118 .3 근엄한 섬잣나무 2018.10.16
7117 .1 겸연쩍은 선밀나물 2017.01.10
7116 .11 쌀쌀한 벌개미취 2019.03.02
7115 .1 촉촉한 벼룩나물 2020.02.24
7114 .4 쌀쌀한 석잠풀 2019.07.12
7113 .1 깜찍한 꽃기린 2015.09.03
7112 .9 난쟁이 홍초 2019.04.08
7111 .1 큰 금목서 2015.10.22
7110 .4 무례한 금송 2018.02.02
7109 .8 방구쟁이 매듭풀 2017.11.04
.8 난감한 무궁화 2016.11.05
7107 .11 점잖은 얼레지 2017.09.25
7106 .11 엄격한 개감초 2017.07.29
7105 .3 고고한 하늘말나리 2014.10.31
7104 .7 정중한 신갈나무 2018.01.06
7103 .3 조용한 톱풀 2020.03.15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