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눈도 바람도 따뜻함도 모두 갖춘 여기는 부산!

부대신문*2011.10.12 17:10조회 수 1785댓글 0

    • 글자 크기
    

  몰디브의 찌는 듯한 태양 아래 여름, 안개 낀 영국의 흐린 가을, 발이 푹푹 빠질 정도로 눈이 쌓인 홋카이도의 겨울 등 우린 날씨로 그 도시를 기억한다. 다른 고향에서 온 네 사람은 부산을 어떤 도시로 기억할까. 이번 주는 부산의 기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관영 씨가 눈을 보고 즐거워하는 부산 사람들의 모습을 기억했다. 그는 “부산에 눈이 왔을 때 거의 100m마다 작은 눈사람이 있어서 놀랐어요”라며 “전라도는 눈이 자주 오고 빨리 녹는 편이라 사람들이 눈이 대해 큰 감흥이 없어요”라고 신기해했다. 부산토박이 정웅 씨는 동감하며 “눈이 내리면 부산에서는 거의 휴교가 돼 그날 신나게 놀 수 있죠”라고 웃어보였다. 반면 아람 씨에게 눈은 정말 익숙한 풍경이다. “겨울이면 눈에 차가 다 덮이는 정도에요. 매번 함박눈이 내려서 부산에서 내리는 눈과 비교가 안돼요”라고 말했다. 


  눈이 내린 후 도시가 마비되는 부산의 모습은 아람 씨와 은주 씨에게 충격이었다고. 은주 씨는 “부산에 눈이 조금 왔는데도 버스가 너무 막혀서 도중에 내려서 집에 갔어요”라고 기억했다. 아람 씨는 “울릉도는 눈이 워낙 많이 오니까 겨울에는 차에 체인을 설치해 거리가 마비되는 일이 없어요”라며 “바닷물로 눈을 치워요”라는 특색을 이야기했다.


  눈 이외에 세 사람이 느끼는 부산 날씨의 특징은 타 지역에 비해 ‘따뜻한 날씨’다. 정웅 씨는 “여름이 많이 덥기도 한데 겨울은 그만큼 덜 추운 게 부산의 특징이죠”라고 말했다. 은주 씨는 “경기도는 겨울에 무척 추워 옷을 여섯 겹이나 입기도 해요. 그러나 부산의 겨울은 봄처럼 따뜻해 놀랐어요”라고 밝혔다. 반면 관영 씨는 “부산이 따뜻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겨울에 무작정 옷을 얇게 입었다가 추워서 고생을 하기도 했어요”라고 기억했다. 아람 씨는 “울릉도는 바다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여름은 별로 덥지 않고 겨울은 부산만큼 따뜻해요”라고 전했다.


  부산의 또 다른 특징은 바람이다. 은주 씨는 “여름에는 바람이 많이 부는 것이 시원해 좋기도 하지만 겨울에는 예쁘게 한 머리가 다 날아가서 언짢기도 해요”라고 말했다. 관영 씨는 “부산과 달리 전라도는 태풍 매미 때 외에 바람 때문에 피해를 입은 기억은 없어요”라고 기억했다. 이에 정웅 씨는 “평소 바람이 많이 부는 건 느끼지 못하지만 태풍이 지나가고 나서 나무가 뽑힌 것을 보면 실감이 나긴 해요”라고 생각을 드러냈다.


  지역감정, 지형, 롯데와 야구, 사투리 그리고 기후까지. 5주 동안 각기 다른 고향에서 온 네 사람이 자신과 자신의 고향 이야기를 전했다. 네 사람이 내린 부산의 정의는 무엇일까. 정웅 씨는 ‘무난하다’는 생각을 전했다. “기후도, 지형도 다 살기 적당해서 무난한 것 같아요”라고 했다. 은주 씨는 ‘따뜻하다’고 말했다. “날씨 뿐 아니라 개인적인 서울 사람들과 달리 부산 사람들은 친절하고 정이 많은 것 같아요”라며 “버스에서 어른들께 자리를 양보하는 모습이 좋아보였어요”라고 기억했다. 아람 씨에게 부산은 ‘살기 좋은 도시’란다. “부산은 경험할 것이 많고 교통도 편리한 것 같아서 살기 좋은 것 같아요”라고 밝혔다. 관영 씨는 ‘재밌다’고. “부산에서 지내면서 색다른 경험을 많이 했었어요”라고 회상했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692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그 시작은 대통령의‘말’ 이었다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한국비정규교노조 부산대분회 파업찬반투표 개시 부대신문* 2018.01.31
부대신문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견> 완간 부대신문* 2013.06.20
부대신문 한국문학의 큰 산 金東里 선생 부대신문* 2013.12.05
부대신문 한국과 다른 몽골의 음식 문화 부대신문* 2011.10.13
부대신문 한국 자유주의의 반자유주의와 반동주의 부대신문* 2016.02.14
부대신문 한광 미술관, 화폭에 역사를 담다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한·중·일 대학원생 상호 교류 프로그램 실시 부대신문* 2012.05.03
부대신문 한·일 연합 포럼에서 우수포 스터발표상 수상한 오태모씨 부대신문* 2013.09.30
부대신문 한 해 마무리하는 학생 대표자, 약속 지켰나 부대신문* 2015.01.13
부대신문 한 학생의 우려2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한 달 남은 중도 리모델링 공사, 대체공간 마련은 미흡 부대신문* 2013.06.23
부대신문 학회실, 올바른 공간조정 필요해4 부대신문* 2011.09.28
부대신문 학칙에서 총장직선제 부활 부대신문* 2015.09.29
부대신문 학점평가제 바뀌어야 한다 부대신문* 2015.01.13
부대신문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 존속 여부에 이의 제기돼 부대신문* 2014.04.15
부대신문 학습공간을 넘어선 대학도서관의 역할 부대신문* 2013.09.08
부대신문 학생회칙의 수준이 학생 사회의 수준 부대신문* 2013.11.11
부대신문 학생회비 지급 늦어져 단대학생회 운영에 차질 부대신문* 2015.10.30
부대신문 학생회비 납부자명단, 학생회에 공개되나 부대신문* 2015.04.0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