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온통 영어 간판, “부산이야 뉴욕이야?”

부대신문*2011.10.12 17:56조회 수 5785댓글 0

    • 글자 크기
    

  부대신문에서는 오는 9일 한글날을 맞아 우리학교 앞 간판의 한글 사용 실태에 대해 조사했다. 우리학교 앞 간판 2,113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영어 알파벳을 비롯한 외국어로  표기한 경우가 49.7%로 간판 속 한글 파괴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는 부대신문이 직접 간판을 조사하고 이를 △한글 자음/모음 표기 △영어 알파벳 표기 △일본어 히라가나 표기 △기타 외국어 표기로 구분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대상 중 외래어 상호라도 한글을 이용해 표기한 간판이면 한글 표기 간판으로 포함시켰다. 또한 한글과 영어 알파벳이 함께 표기된 경우 더 크게 표기된 언어에 따라 구분했다.


  자세한 결과를 살펴보면 △한글 간판 1,062개 △영어 알파벳 간판 990개 △일본어 간판 17개 △한자나 기타 외국어 간판 44개로 나타났다. 영어 표기 간판 중에는 ‘닭’을 ‘DAK’라고 표기하는 등 한글 낱말을 영어 알파벳으로 표기한 간판이 많았다. 또한 의미를 알 수 없는 알파벳의 나열도 적지 않았다. 그나마 한글 표기 간판은 절반이라도 되지만 순우리말을 사용한 간판은 더욱 찾기가 어렵다. 동아대 국어문화원에서 지난 2008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학교 주변 간판 언어에서 순우리말이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불과하다.

  이는 한글만 알고 있는 사람은 학교 앞 간판 중 절반 가까이를 읽을 수 없다는 뜻이 된다. 박선자(국어국문) 교수는 “영어사용이 일반화되고 영어교육이 유행처럼 번지다 보니 상호를 표기할 때도 우리 글자보다 영어 알파벳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한 영어식 표기가 더 세련되고 고급스럽다는 인식도 큰 이유다. 영어 간판을 단 가게 ㄱ사장은 “별 뜻은 없지만 멋있어 보여 손님들이 더 많이 찾을 것 같았다”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영어가 고급스럽다는 것은 잘못된 인식일 뿐 아니라 언어를 통한 또 다른 차별을 낳는다는 점에서 큰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한글학회 김한빛나리 총무부장은 “아름다운 한글을 두고 굳이 영어를 사용하거나 영어가 더 고급스럽다는 생각을 갖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동아대 국어문화원 엄정호(국어국문) 원장은 “알파벳으로 표기한 간판이 절반이나 된다는 것은 알파벳을 읽을 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사이에 차별을 낳으므로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대학교 앞이기에 영어를 다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대학은 대학생만의 것이 아니므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는 제도적인 개선이 쉽지 않다. 인식을 개선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법이다. 옥외광고물 관리법에 따르면 되도록 한글로 표기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법률이 구체적이지 않고 처벌이 따르는 것도 아니라 영어 표기 간판이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또한 대기업들이 영어 표기 간판 사용에 더 앞장서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금정구청 도시안전과 이선월 담당자는 “대기업에서 영어로 된 간판을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영세업체들만 사용하지 못하게 막을 수는 없다”며 “기업 차원에서 한글을 사랑하고 아끼기 위해 간판 한글 표기에 앞장서는 등 노력을 먼저 보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716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학생식당 곳곳에는 그의 손길이 묻어있다 부대신문* 2014.03.11
부대신문 학생없는 학생공간 해답은?1 부대신문* 2011.09.28
부대신문 학생운동의 기록, 그 날을 이야기하다 부대신문* 2014.03.21
효원교지 학생이 문제야? 100억이 걸렸는데! 학과통폐합의 진실 효원교지편집위원회 2014.07.09
부대신문 학생자치를 다시 묻다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학생총투표 결과 동맹휴업 실시됐다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학생총회, 학생의견 수렴 미흡해 아쉬워 부대신문* 2011.10.08
부대신문 학생총회를 되돌아보며2 부대신문* 2011.09.28
부대신문 학생회 미선출 단대, 보궐선거 치르거나 비대위 구성 부대신문* 2017.03.31
부대신문 학생회비 납부자명단, 학생회에 공개되나 부대신문* 2015.04.01
부대신문 학생회비 지급 늦어져 단대학생회 운영에 차질 부대신문* 2015.10.30
부대신문 학생회칙의 수준이 학생 사회의 수준 부대신문* 2013.11.11
부대신문 학습공간을 넘어선 대학도서관의 역할 부대신문* 2013.09.08
부대신문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 존속 여부에 이의 제기돼 부대신문* 2014.04.15
부대신문 학점평가제 바뀌어야 한다 부대신문* 2015.01.13
부대신문 학칙에서 총장직선제 부활 부대신문* 2015.09.29
부대신문 학회실, 올바른 공간조정 필요해4 부대신문* 2011.09.28
부대신문 한 달 남은 중도 리모델링 공사, 대체공간 마련은 미흡 부대신문* 2013.06.23
부대신문 한 학생의 우려2 부대신문* 2017.01.08
부대신문 한 해 마무리하는 학생 대표자, 약속 지켰나 부대신문* 2015.01.1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