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한글

일방적인 통폐합2

방구쟁이뿡뿡이2017.06.30 19:29조회 수 1450추천 수 29댓글 3

    • 글자 크기
안녕하십니까.
저는 부산대학교에 재학중인 한 학생입니다.
제가 이번에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바로 한국대 통합 추진 때문입니다.
저는 학창시절 내내 바라던 부산대에 합격하게 되어서 정말 영광이였고 기뻤습니다.
그래서인지 먼 거리에서 학교 다니면서도 불평하나 없이 누구보다 열심히 다녔고 정말 학교를 사랑했습니다.
하지만 작년 부산 4개 국립대 통합을 추진한다는 소식을 듣고는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알았습니다.
그 통보는 2만명이 넘는 학생의 의견과 많은 교수님들의 의견은 무시한 일방적인 통보였습니다.
저는 지속적으로 반대운동을 했고 결국 많은 학우님들 덕분에 이 통합은 결렬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또 다시 한국대통합이라는 불쾌한 소식들이 퍼지고 있습니다.
물론 학령인구감소로 인해 학교수를 줄여야 하는 것은 불가피합니다.
하지만 왜 그 칼의 방향이 항상 우리 부산대학교입니까?
저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을 한다면 연구와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대학위주로 폐교시키는 것이 맞지 않겠습니까?
왜 대학구조개혁평가라는 제도를 지속하고 있는지 이유를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이번 사건은 어떤 대학과 통폐합을 추진할지, 통합에 대한 충분한 찬반의견 수렴 그리고 결정권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과 같은 민주적인 절차를 따르는 원칙을 지키지 않았습니다.
많은 역사상의 사건처럼 지금까지 민주적 절차와 민주화를 지키지 않았던 결과에 대해 알고 있다면 앞으로의 결과도 예측하기 쉬울 것입니다.
그리고 이번 통합에서 문제점은 더 있습니다.
바로 형평성 문제 입니다.
학창시절 남들보다 땀 흘리고 더 노력하고 치열한 경쟁속에서 살아남아서 진학한 학교입니다.
부산대같은 명문대학에 다닌다는 것은 그에 대한 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차별이 아닙니다. 자신의 노력에 대한 댓가이고 입시는 그 무엇보다 공정한 평가입니다.
하지만 이 점을 무시하고 통폐합을 추진한다는 것은 2만 학우들의 피땀을 무시한다는 이야기로 밖에는 들리지 않습니다.
저는 오히려 이번 통폐합이 다른 노력으로 같은 결과가 나오는 사태를 발생시키고 이것이 큰 차별을 발생시킨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문제 대책을 통폐합 발표 전에 세우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도 매우 실망했습니다.
비민주적이고 형평성에 어긋나는 일을 한다는 게 정말 가슴 아픕니다.

통폐합은 간단히 넘어갈 문제가 아니라 학교 미래가 걸린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때문에 총학생회분들도 하루 빨리 논의하고 요구하고 의견수렴하면서 적절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길 바랍니다. 저도 최대한 돕고 싶습니다.
정치적 희생양이 되는 우리 학우들과 정부와 교육부는 지원금협박으로 돈의 노예가 되어가는 부산대를 가만히 두고 볼 수 없습니다.
대통령께서 국립대 살리기라고 말하셨지만 이것은 바로 부산대죽이기 정책입니다.
부산대은 다른 대학의 힘을 필요로하는 대학이 아닙니다.
우리는 홀로 설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기에 다른 대학과의 통합은 불필요합니다...

우리 학우들이 부마항쟁과 직선제때와 같은 저항정신의 피가 흐르고 있습니다.
부디 이런 비민주적 통폐합에 목소리를 내어주시길바랍니다.

저는 총장님과 대통령님께 이번 통폐합에 대한 민주적 절차 그리고 학생들의 형평성 문제에 대한 재고를 부탁드립니다.
부디 저의 생각이 전해지길 바라겠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문재인대통령님 전호환총장님.


그리고 총학은 이번 통폐합을 공론화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소신있고 당당하게 요구해주시길 간청드립니다.
전 항상 총학생회분들 응원하고 있습니다. 총학은 비판만 들어야 하는 곳이 아니라 부산대 학우분들과 함께 이끌어 가야하는 곳이니 학우 여러분들도 많이 응원해주십시오.

ps
부족하고 두서없는 글이지만 학우들과 총학생회분들이 통합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자는 의미에서 써 봤습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기득권을 지키고싶다고 말하세요 말빙빙돌리지마시고 ㅋㅋㅋㅋㅋㅋ
  • @Lurker777
    공부해서 입결따라 대학오는게 기득권인가요?
    그럼 그냥 모든 국민들 재산도 몰수해서 다 같이 n빵하자고 하시지 ㅋㅋㅋㅋㅋㅋㅋ
  • @Lurker777
    입시결과에 따라 생기는 선호도를 기득권으로 밀어 붙이면 논리가 될 것 같나요?
    가령 예를 들어 공과대학의 경우 통합되면 그 수준이 높아 지거나 좋은 연구 환경이 생긴다고 자부 할 수 있나요?
    인문대학의 사정도 그러한지요?
    열심히 공부해서 그에 걸맞는 대학을 가는것을 기득권이라 칭하게되면 공부가 곧 권력이 되겠네요.
    우리나라는 열심히 공부하면 권력이 쟁취되는 그런 나라였습니까? 문재인 대통령은 학업 성적이 전국 1등이랍니까?
    엄현이 다른 계열의 이야기입니다. 현재 기득권을 부릴 수 있는 대학은 오히려 통합 대학으로 추진이 이뤄 지지 않는 서울권 대학의 모습 아닌가요? 차라리 서울권 공립대학부터 서울1대학, 2대학 이렇게 만들지 그랬나요?
    물론 법인 대학인 서울대학교가 가만있지는 않겠죠.

    대학은 그리 쉽게 통폐합 하는게 아니랍니다. 기득권의 쇠퇴로 오는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득권 세력의 철저한 신분화가 지속될 가능성이 더 커보이는건 저만의 생각인듯 합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84018 질문 저녁에 고기먹고 도서관 가면....4 다이소에다있오? 2017.10.07
84017 가벼운글 신라 웨딩홀4 BrownSugar 2013.03.31
84016 질문 인적자원관리 윤준섭교수님4 흐잉힝힝흐힝 2013.11.08
84015 질문 김어준 '나는 언제 행복한 사람인가?'4 푸른가슴 2011.11.10
84014 질문 성적 몇시부터 볼 수 있나용 ??4 귀염둥둥이 2018.01.25
84013 질문 각 학점 몇학점씩 이수햇는지 보는법이요!4 부부부부산 2019.10.26
84012 가벼운글 ........ 모기한테4 ONEPNU 2012.09.01
84011 웃긴글 *4 내이름은탐정,코난이죠 2013.05.11
84010 가벼운글 저 수강신청 질문인데요4 ㅇㅇ 2014.02.04
84009 가벼운글 [레알피누] 현장실습 후기 추천~!!4 모구모구복숭아 2020.05.22
84008 질문 생명과학과 족보 많이타는 과인가요???4 새파란고드름 2017.05.22
84007 질문 파고다 토익학원 괜찬나요?4 kasimasi 2013.03.24
84006 질문 울학교 가을에도 축제가 있었나요..?4 비회원 2011.08.22
84005 질문 생산운영관리 계절학기4 봄학기 2016.04.18
84004 질문 바이올린 시작 어떻게 할까요?4 비회원 2011.08.23
84003 가벼운글 교내근로4 ddeeee 2017.08.11
84002 가벼운글 화목 10시30분 경영학사랑 과목 바꾸실 분4 촉촉한촠코칩 2019.03.05
84001 질문 기계과홈페이지가 안들어가져요..4 다크템플러 2012.07.28
84000 질문 .4 에뜨랑제 2015.02.03
83999 가벼운글 아 좋은노래는 진짜 많다4 ㅎㄳㅇㅅ 2013.06.1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