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글

‘멘토 갈아타기’ 언제까지

그레이트피레니즈2013.04.08 01:05조회 수 2338추천 수 3댓글 9

    • 글자 크기




“선배, 우리나라 사람들 좀 너무한 것 같아요.” 

며칠 전 편집국 후배가 투덜거렸다. 최근 석사 논문 표절 의혹에 휩싸인 스타 강사 김미경씨 얘기였다. 대형서점 베스트셀러 톱10 순위에서 김씨의 책 『드림 온』이 순식간에 밀렸다는 것이다. 인터넷 서점 집계에선 더하다. 교보문고 순위를 봤다. 출간 이후 10주 가까이 톱10 안에 들어있던 『드림 온』은 한 주 만에 25계단이나 떨어졌다. 『언니의 독설』은 42위나 떨어진 56위였다. 예스24도 다르지 않았다. 여러 오프라인 대형서점 집계를 합친 주간 베스트셀러 순위에선 여전히 상위권에 있었지만 판매는 급속하게 줄고 있었다. 

후배의 볼멘소리는 이어졌다. “’국민 멘토(mentor)’라고 떠받들 땐 언제고… 해명도 제대로 들어보지도 않고 언제 그랬냐는 듯 돌변하는 태도가 맘에 안 들어요.”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반응은 더 격렬하다. 

동의한다. 그런 의혹에도 불구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책을 사야 한다는 얘기를 하려는 건 물론 아니다. 책 판매 급감은 자연스러운 결과다. “야간대학원 분위기 알지 않느냐”는 김씨의 해명에 일리가 있으니 ‘정상 참작’을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려는 것도 아니다. “꿈은 성공이 아니라 성장의 언어”라고 부르짖던 사람이 그랬으니 배신감이 드는 것도 당연하다. 

주목하고 싶은 건 ‘멘토 열풍’이 하루 아침에 ‘멘토 난타’로 바뀌는 과정과 속도다. 그 빠른 속도에 멀미가 날 것 같다. 대중의 속성이 원래 냄비 같다고 해도 좀 심하다. 찬양에서 비난으로 돌변하는 모습이 집단병리 현상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150만 팔로어를 거느리며 한때 ‘트통령(트위터 대통령)’으로 불리던 소설가 이외수씨에 대한 반응도 다르지 않다. 혼외정사로 낳은 아들한테 양육비를 줬네 안 줬네 하는 사생활을 놓고 “가면이 벗겨졌다” “철면피”라는 비난이 쏟아진다.

과연 가면이 벗겨진 걸까. 그 가면을 이씨가 스스로 썼을까. 멘토라는 건 대중이 만든 허상 아니었을까. 소위 멘토들에게 ‘국민강사’나 ‘트통령’이란 이름을 붙이며 열광한 것도 대중이요, 트위터에 올린 140자 글을 묶어 만든 책을 베스트셀러에 등극시킨 것도 대중이니 말이다. 냉정히 따지면 “제가 인생에 도움이 될 말을 해드릴 테니 제 책도 사주시고 부디 절 존경해주세요”라고 멘토들이 먼저 부탁한 건 아니란 얘기다. 

최근 1~2년 새 우리 사회엔 멘토 열풍이 유난했다. 안철수 예비후보를 비롯해 김난도 서울대 교수, 혜민 스님과 법륜 스님 등 다양한 이들이 멘토로 추앙받으며 순식간에 스타덤에 올랐다. 사람들은 앞다퉈 책을 샀고 강연을 들었으며 그들의 조언을 전파했다. 

자신에게 필요한 조언자를 찾겠다는 걸 뭐랄 수는 없다. 하지만 멘토는 아이돌과 다르다. 한순간에 띄웠다가 실망하면 다른 멘토로 대출상품 갈아타듯 몰려가는 존재가 아니란 얘기다. 지금 한국 사회가 멘토를 대하는 모습은 팬덤과 흡사하다.

아이돌에 열광했다 사그라지듯 멘토를 대했을 때 생기는 가장 큰 문제는 현실 외면이다. 그러는 사이, 멘토에 절박하게 매달리도록 만들었던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한 성찰과 적극적인 해결을 도외시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무비판적 ‘멘토 갈아타기’는 멘토들의 방법론인 힐링과 위로, 독설을 일회성으로 소비하는 행위로 그칠 수 있다는 얘기다. 

오히려 나는 속된 말로 좀 꼰대 같더라도 부모님 말씀에 귀 기울이는 게 유익하다는 생각을 한다. 아주 냉소적으로 보자면 결국 지금 멘토-멘티의 메커니즘은 성공의 경험을 팔고 사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령 ‘증평 촌년’이 회당 3000만원의 톱 강사가 되는 신화 말이다. 이런 거라면 ‘한강의 기적’을 겪은 부모 세대의 증언이 더 생생하고 미덥지 않을까. 적어도 부모들은 자식들을 상대로 자신의 경험을 팔아 돈을 벌진 않을 테니.




    • 글자 크기
‘日 대지진을 축하합니다?’…전북 서포터 현수막 논란 (by 끼얏호) ‘수강매매’ 경험이 있는 학생을 찾습니다!!! (by 딩당딩동)

댓글 달기

  • 그런데 이렇게 퍼오면 엄연히 불법인가요??
  • @그레이트피레니즈
    네, 원문그대로 출처밝히고 수정삭제 없어도 동의없이 다른곳에 게제하는 것 자체가 저작권을 침해한다네요
  • 잘못한게 있으니까 떠나는게 뭐가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네요.
  • @비공개입니다
    인생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듯이, 그 인생의 "스승"도 하루아침에 갈아치울 수 있는 가벼운 존재가 아니죠. 자신의 인생과 삶에 대한 스스로의 고민을 통해서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가지고 자신만의 멘토를 신중하게 모시는 능력이 멘티들에게 요구 됩니다. 하지만 위의 기사처럼 요즘 시대의 멘토들은 물건을 고르듯이 인기몰이를 통해 아무런 생각 없는 멘티들에게 반강제적으로 "선택되어"집니다. 그만큼 현시대의 인생에게는 무게감이 사라졌다는 방증이겠죠.
  • @혼밥
    애초에 멘토와 멘티 관계라고 보는거 부터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그 사람에게 좋은 점을 따르는 관계는 멘토와 멘티가 아니기에 쉽게 떠나는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이과정은 진정한 멘토를 찾는 과정이고요
    해당 인원을 진정 멘토로 삼은 사람은 떠나지 않고 남아있겠죠
    멘토로 삼았지만 떠난 사람은 정말 그 결점이 자신의 가치관에 반하는 거기 때문에 떠나는 사람 일 수도 있고요
    전 솔직히 각자의 가치관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제 삼자가 대중이 보이는 현상을 보고 그 개인에 대한 자신의 추론만으로 써진 글이라고 보여지네요
  • @비공개입니다
    2013.4.8 03:02

    잘못한게 있다는게 완전히 밝혀지지도 않고 논란만 생겼을 뿐인데 끌어내리는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언론도 이런 습성을 많이 이용해 왔다고 알고있어요. 마치 확정된 사실인마냥 떠들어놓고 뒤에가서 '아니면 말고. 미안ㅋ' 하는...

  • 2013.4.8 02:59
    대중은 너무 잘 흔들리는 것 같아요. 지레짐작을 너무 잘하구요. 그래서 언론이 몰아가기도 쉬운듯
    이외수 일도 논란이지 아직 판명나지 않았는데 벌써부터 온갖 욕을 먹고 있는것 같군요.
    김미경은 뭔일인지 모르겠고...
  • 저 멘토란 지위도 대중의 변덕에 의해 얻어진 만큼
    그 지위의 상실 또한 변덕에 의하는 법이죠... ㅋ

    제가 보기엔 제 자리를 잘 찾아갔다고 봅니다...
    솔직히 이외수니 김미경이니 하는 사람들의 가치가 필요이상으로 과대평가된 측면이 있다고 보기 땜시...ㅋ
  • 그냥 멘토보다는 연예인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94493 진지한글 4 야메리카노 2013.12.09
94492 가벼운글 2 푸르디푸른고르곤 2015.09.27
94491 진지한글 14 킹킹킹 2016.01.14
94490 가벼운글 하얀꿈나무 2014.05.27
94489 진지한글 8 방울방울 2013.12.21
94488 가벼운글 1 헛개나무기침 2017.03.07
94487 가벼운글 1 wwohpq 2015.05.27
94486 질문 2 wwohpq 2016.02.21
94485 질문 2 헛개나무기침 2016.04.16
94484 가벼운글 ‎19:00부터 약 10분간 수강신청일 전 트래픽 급증가로 빗자루 2012.07.30
94483 가벼운글 ‎6월 2~3째주에3 빗자루 2012.05.31
94482 진지한글 ‘30억 보험’ 실종 기장, 15억 빚 있었다4 비회원 2011.08.05
94481 가벼운글 ‘以日制中’… 日 이지스함 서해배치 정부 사실상 허용, 왜?1 나는중립이다 2012.06.04
94480 질문 ‘日 대지진을 축하합니다?’…전북 서포터 현수막 논란5 끼얏호 2011.09.28
가벼운글 ‘멘토 갈아타기’ 언제까지9 그레이트피레니즈 2013.04.08
94478 질문 ‘수강매매’ 경험이 있는 학생을 찾습니다!!!2 딩당딩동 2018.03.26
94477 가벼운글 ‘팝의 전설’ 엘튼 존, 8년만에 11월 서울-부산 내한공연 확정1 2012.09.14
94476 질문 ‘회계감사’ 수강해보신분 계세요?7 피곤한하루 2019.02.15
94475 가벼운글 “국립대 반값 등록금 年8000억 지원하라” 총장들 정부에 요구6 빗자루 2012.01.30
94474 가벼운글 “꽃가루 먹고 숨막혔어요 퉤” 끼얏호 2011.09.2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