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전문직 vs 대기업

글쓴이2017.07.03 20:44조회 수 5952댓글 11

    • 글자 크기

 님들 이거 어그로 끌려는 것도 아니고 싸움 붙자는 것도 맹세코 아닙니다.  진심으로 개인적으로 학우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문과기준으로 흔히 말하는 8대전문직(중 변호사는 제외하고)vs  삼성 등 국내 대기업.

만약 전문직 자격증을  땄을때,  연봉도 대기업에 비해 적고, 복지도 적지만 정이 없고 장기적으로 자유로운 전문직이 낫다고 생각하세요

아니면 연봉도많고 복지는 훌륭하지만 정년이있고, 정년 이후 상대적으로 일거리를 찾기 힘든 대기업이 낫다고 생각하세요??

 

여기 동물원도 아니고 논란을 부추길꺼 같으면 자삭하겠습니다.

좋게 좋게 의견을 듣고싶어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전문직을 따서 대기업에 들어가서 경력을 쌓은 다음에 법인 or 개인
  • @깨끗한 느티나무
    일단 일반 사기업이나 대기업에 들어가면 계속해서 전문직종에 있던 분들에 비해 개업했을때 상대가 안되지않나요? 경험을 쌓을 기회도 적고요. 비슷한 수준으로 할 수 만있다면 저도 그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비교불가 아닌가.. 대우, 일할 수 있는 기간 따져보면 전문직이 넘사 아닌가요
  • 아니면 연봉도많고 복지는 훌륭하지만 정년이있고, 정년 이후 상대적으로 일거리를 찾기 힘든 대기업이 낫다고 생각하세요??
    라고 하셨는데, 이런 대기업 자체가 있나요?
    전문직이든 대기업 취직한 졸업생이든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있는 걸 다하는 풍경을 보면 대기업 취직이 그리 좋게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물론 전문직을 할 수 있을 때까지의 기회비용이 들지만
    단순히 전문직 대 대기업하면 전문직이 압승이라 봐요.
    우선 노력에 비해 받는 보수가 다릅니다.
    대기업 중위 임금과 전문직 중위 임금을 비교해보세요.
    대기업이 4000 정도 전문직이 6000 정도 나올겁니다.
    게다가 대기업은 정년이 매우 빠른 반면 전문직은 50이든 60이든
    자기가 능력이 된다면 계속할 수 있죠.
    '연봉도 대기업에 비해 적고'
    '복지도 적고' 같은 전제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 @냉철한 감국
    그런가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저도 전문직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전문직이 복지같은 경우는 사실 법인 같은경우는 굉장히 잘안되어있는 곳도 많고, 연봉같은 경우에는 제가 이리저리 본 바로는 물론 어느정도 경력부턴 기본급에 영업에 따른 인센티브라지만 평균적으로는 대기업이 훨씬 나았거든요... 제 지인 중에 관세사 하시는분은 7년차에 연봉이 4,600정도 받으시는데 보통 그정도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전제를 그렇게 뒀었는데 아닌가요?? 대기업 중위 정도가 4000은 아닐텐데요
  • 삼성 물산 같은 경우는 대졸 평균 초봉이 4700만원입니다
  • @글쓴이
    제 지인 중 관세사님 아버지 친구시고 50세근방이십니다.
    세관 출신에다 관세법인 가셨고 5년차인데 5,000만원 받으세요.
    전문직은 그닥 못 법니다. 돈 버려면 대기업 가세요.
  • @기발한 목련
    제 지인 중에는 세무사인데
    기관에서 초청해서 이틀 강의로 500벌었습니다.
    관세사의 경우 포워딩에 밀려서 요즘에는 하락세지만
    타 직종의 경우 아직 힘든 정도는 아닙니다.
  • @기발한 목련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시네요 ㅋㅋㅋ 공무원으로 퇴직하셨으면 연금수령 대략 관세사 따고 나오셨으면 연금 한달에 300넘게 나옵니다. 관세법인에서 일은 하시는데 업무강도 최하이면서 5000천 받는거 일겁니다. 그냥 돈이 목적이 아니고 삶자체를 즐기면서 돈받는거일겁니다. 참고로 제 주변에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들이 친구나 선배입니다.
  • 결국 개인 영업직 vs 대기업 영업직 대결인 것 같은데요, 대부분의 전문직 같은 경우 본인의 실적과 약간의 운이 결합되면 소득 편차가 어마무시하게 벌어지기 때문에 복불복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기대소득이나 일자리 자체의 안정성은 전문직이 대기업보다 나은 것 같습니다.

    그 이유로 1. 대기업은 정년까지 버티기 매우 힘듭니다. 2. 두 곳 다 고실적을 쌓는다는 전제 하에 전문직이 벌어들이는 돈이 훨씬 많습니다.

    관세사는 잘 모르겠지만 회계펌 같은 경우는 파트너 달면 억대까지 가는 경우가 많고 법무사나 변리사 등도 얼마나 영업을 잘하느냐가 곧 소득의 기준이 되니..음..저는 전문직이요.
  • 닥전이요
    여자분이시면 더더욱이요.
    전문직이 좋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5585 [레알피누] 교수님께서 해가 다르게 학생들 수준이 낮아진다고 하신 말씀이 그냥 하신 말씀이 아닌 거 같네요39 멍청한 금불초 2017.06.16
165584 남자친구를 그만 사귀고 싶습니다.16 처참한 벌깨덩굴 2012.01.13
165583 코레일 운전직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47 큰 머루 2021.05.01
165582 부산에 북스캔 가능한 곳 있나요? 어설픈 머위 2018.03.30
165581 재수생 친구가 인하대랑 부산대 고민하는데(이과)17 도도한 봉선화 2013.11.14
165580 ..19 해맑은 삼잎국화 2019.06.26
165579 미국산 소고기 괜찮은가요?24 멋진 애기현호색 2013.10.04
165578 고시생 선물추천11 빠른 홀아비꽃대 2015.08.15
165577 장거리 연애, 생일선물....10 처절한 생강 2012.09.12
165576 [레알피누] 새도 여자화장실10 싸늘한 콩 2018.09.06
165575 총장님, 고 교수께서 투신하신 이유를 잊으신겁니까?10 고고한 비짜루 2018.12.15
165574 수강정정기간에도 출석이 성적에 반영될까요?4 현명한 꽃마리 2013.09.02
165573 reason과 region 발음 어떻게 하나요?4 세련된 좀씀바귀 2014.02.17
165572 이거 먼가요1 겸손한 파리지옥 2024.06.14
165571 2014 화공과 취업현황19 세련된 큰앵초 2014.08.16
165570 감사합니다. 국가직 되었습니다.33 행복한 맑은대쑥 2019.06.12
165569 광택천(폴리싱천) 파는 곳 있나요? 절묘한 큰괭이밥 2013.09.21
165568 .14 해괴한 노랑어리연꽃 2017.08.03
165567 매트랩 독학할만한 교재 뭐있어요?7 행복한 큰앵초 2015.06.22
165566 식욕억제제 처방 받아본 적 있으신분?10 귀여운 상수리나무 2018.03.19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