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전문직 vs 대기업

착잡한 상추2017.07.03 20:44조회 수 5954댓글 11

    • 글자 크기

 님들 이거 어그로 끌려는 것도 아니고 싸움 붙자는 것도 맹세코 아닙니다.  진심으로 개인적으로 학우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문과기준으로 흔히 말하는 8대전문직(중 변호사는 제외하고)vs  삼성 등 국내 대기업.

만약 전문직 자격증을  땄을때,  연봉도 대기업에 비해 적고, 복지도 적지만 정이 없고 장기적으로 자유로운 전문직이 낫다고 생각하세요

아니면 연봉도많고 복지는 훌륭하지만 정년이있고, 정년 이후 상대적으로 일거리를 찾기 힘든 대기업이 낫다고 생각하세요??

 

여기 동물원도 아니고 논란을 부추길꺼 같으면 자삭하겠습니다.

좋게 좋게 의견을 듣고싶어요!

 

    • 글자 크기
대구-삿포로 꿀팁 여행찬스!! (by 발냄새나는 쪽동백나무) CBT 시험 공부 (by 해괴한 두릅나무)

댓글 달기

  • 전문직을 따서 대기업에 들어가서 경력을 쌓은 다음에 법인 or 개인
  • @깨끗한 느티나무
    일단 일반 사기업이나 대기업에 들어가면 계속해서 전문직종에 있던 분들에 비해 개업했을때 상대가 안되지않나요? 경험을 쌓을 기회도 적고요. 비슷한 수준으로 할 수 만있다면 저도 그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비교불가 아닌가.. 대우, 일할 수 있는 기간 따져보면 전문직이 넘사 아닌가요
  • 아니면 연봉도많고 복지는 훌륭하지만 정년이있고, 정년 이후 상대적으로 일거리를 찾기 힘든 대기업이 낫다고 생각하세요??
    라고 하셨는데, 이런 대기업 자체가 있나요?
    전문직이든 대기업 취직한 졸업생이든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있는 걸 다하는 풍경을 보면 대기업 취직이 그리 좋게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물론 전문직을 할 수 있을 때까지의 기회비용이 들지만
    단순히 전문직 대 대기업하면 전문직이 압승이라 봐요.
    우선 노력에 비해 받는 보수가 다릅니다.
    대기업 중위 임금과 전문직 중위 임금을 비교해보세요.
    대기업이 4000 정도 전문직이 6000 정도 나올겁니다.
    게다가 대기업은 정년이 매우 빠른 반면 전문직은 50이든 60이든
    자기가 능력이 된다면 계속할 수 있죠.
    '연봉도 대기업에 비해 적고'
    '복지도 적고' 같은 전제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 @냉철한 감국
    그런가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저도 전문직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전문직이 복지같은 경우는 사실 법인 같은경우는 굉장히 잘안되어있는 곳도 많고, 연봉같은 경우에는 제가 이리저리 본 바로는 물론 어느정도 경력부턴 기본급에 영업에 따른 인센티브라지만 평균적으로는 대기업이 훨씬 나았거든요... 제 지인 중에 관세사 하시는분은 7년차에 연봉이 4,600정도 받으시는데 보통 그정도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전제를 그렇게 뒀었는데 아닌가요?? 대기업 중위 정도가 4000은 아닐텐데요
  • 삼성 물산 같은 경우는 대졸 평균 초봉이 4700만원입니다
  • @글쓴이
    제 지인 중 관세사님 아버지 친구시고 50세근방이십니다.
    세관 출신에다 관세법인 가셨고 5년차인데 5,000만원 받으세요.
    전문직은 그닥 못 법니다. 돈 버려면 대기업 가세요.
  • @기발한 목련
    제 지인 중에는 세무사인데
    기관에서 초청해서 이틀 강의로 500벌었습니다.
    관세사의 경우 포워딩에 밀려서 요즘에는 하락세지만
    타 직종의 경우 아직 힘든 정도는 아닙니다.
  • @기발한 목련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시네요 ㅋㅋㅋ 공무원으로 퇴직하셨으면 연금수령 대략 관세사 따고 나오셨으면 연금 한달에 300넘게 나옵니다. 관세법인에서 일은 하시는데 업무강도 최하이면서 5000천 받는거 일겁니다. 그냥 돈이 목적이 아니고 삶자체를 즐기면서 돈받는거일겁니다. 참고로 제 주변에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들이 친구나 선배입니다.
  • 결국 개인 영업직 vs 대기업 영업직 대결인 것 같은데요, 대부분의 전문직 같은 경우 본인의 실적과 약간의 운이 결합되면 소득 편차가 어마무시하게 벌어지기 때문에 복불복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기대소득이나 일자리 자체의 안정성은 전문직이 대기업보다 나은 것 같습니다.

    그 이유로 1. 대기업은 정년까지 버티기 매우 힘듭니다. 2. 두 곳 다 고실적을 쌓는다는 전제 하에 전문직이 벌어들이는 돈이 훨씬 많습니다.

    관세사는 잘 모르겠지만 회계펌 같은 경우는 파트너 달면 억대까지 가는 경우가 많고 법무사나 변리사 등도 얼마나 영업을 잘하느냐가 곧 소득의 기준이 되니..음..저는 전문직이요.
  • 닥전이요
    여자분이시면 더더욱이요.
    전문직이 좋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98869 방학때 중도 몇시까지 하나요?2 안일한 꽝꽝나무 2017.07.03
98868 6 활동적인 큰꽃으아리 2017.07.03
98867 성적 문의했다가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 하고 점수가 내려갔습니다43 난폭한 동자꽃 2017.07.03
98866 군대에서 자격증 질문2 잉여 기린초 2017.07.03
98865 [레알피누] 솔직히 왜 이런고민은 안하나요?1 납작한 봄맞이꽃 2017.07.03
98864 대구-삿포로 꿀팁 여행찬스!!6 발냄새나는 쪽동백나무 2017.07.03
문과 전문직 vs 대기업11 착잡한 상추 2017.07.03
98862 CBT 시험 공부1 해괴한 두릅나무 2017.07.03
98861 생일 축하 좀 해주세요~~47 예쁜 장구채 2017.07.03
98860 토익 토플 커리좀 알려주세요!2 바쁜 방풍 2017.07.03
98859 .2 고상한 매듭풀 2017.07.03
98858 근로장학생??2 냉정한 봉의꼬리 2017.07.03
98857 야식 추천부탁드려요 촉박한 굴참나무 2017.07.03
98856 계절수업 한성일교수님 경제사개설요6 정겨운 백합 2017.07.03
98855 3학년 1학기 직전에 전과 가능하단걸 이제야 알았네요..13 털많은 우엉 2017.07.03
98854 성적에 대해 공식적인 이의제기를 하고 싶습니다.4 어리석은 애기현호색 2017.07.03
98853 서면 파고다, 영단기 다니시는분들8 창백한 곰취 2017.07.03
98852 기계과 졸업학점 고민입니다7 특이한 딱총나무 2017.07.03
98851 졸업하려면 필수적으로6 특별한 상수리나무 2017.07.03
98850 계절 수강취소2 착실한 수크령 2017.07.03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