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의 증기압 및 증발에 관해서 질문하나 부탁드립니다..

글쓴이2017.08.03 01:40조회 수 1276댓글 1

  • 1
    • 글자 크기

증기압이라는 것에 맞춰서 약간은 거시적은 관점으로 생각하고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해서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는데 아시는분이 계시면 확인부탁드립니다.ㅠㅠ

 

질문1.

 밑에 제가 정리해서 사진으로 찍어둔 내용이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질문2.

 제가 표현하는 기화라는 것과 증발이라는 것은 정확히 어떤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그냥보기에는 기화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열을가해줘서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될때를 말하는거같고

 증발은 인위적으로 열을가해주지는 않고, 분자별 에너지 분포에서 에너지가 높은 상태 즉 온도가 높은 상태에 있어

 증기압이 대기압보다 높아 대기를밀어내고 기체가되는 것..(분자간 인력을 끊어내고 나가는데 외부압력도 밀어내는것)으로

 생각가능한거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질문3.

 증기압, 대기압,증발을 연관해서 생각했더니 위와 같이 결론이 나왔는데,

 상변화에너지, 즉 액체에서 기체로넘어갈때 온도변하지 않고 에너지만먹는 구간을 연관해서 생각하기가 어렵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잘아시는분 계시면 연관해서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아시는분 계시면 꼭 부탁드립니다~!!

 

74MrLfT3e35EPRQEUHSaC7yJ.jpg

 

  • 1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액체의 증기압의 정의는

    1. 주어진 온도에서 기체상과 액체상이 평형 상태에서 공존할 수 있는 압력
    2. '증발 반응'의 평형 상수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증발 반응을 물로 예를 들면
    H2O(l) <=> H2O(g) : 가역 반응식 말하는 거에요. 기호 찾기 힘들어서

    평형 상수식(P H2O)에서 Q는 증기의 압력이고 K는 증기압입니다.
    증기의 압력(Q)가 증기압(K)에 도달하기 위해서 정반응 or 역반응을 합니다.

    평형이란 쉽게 말해서 '증발 속도 = 응축 속도'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동적 평형)
    증발 속도는 온도가 일정한 경우에 변화가 없구요.
    응축속도는 인과 관계를 나타내면 '기체의 압력이 증가하면 기체의 농도가 증가'
    즉, 기체의 농도가 증가하면 액체 표면과의 충돌 빈도가 증가하므로 응축 속도도 증가합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여기서의 평형이란 온도가 일정하면 증발하는 건 일정하고, 기체의 농도가 증가하면 응축 속도가 증가하는데 이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같아서 변화가 없이 보이는 것입니다.

    이 변화가 없게 보이는 기체의 농도를 압력으로 나타냈을 때가 증기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온도가 증가하면 증기압이 증가합니다. 이유로는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온도가 높아져서 증발 속도가 증가하면, 평형에 도달하기 위한 응축 속도도 커져야 하고 (평형 상태에서 증발속도=응축속도)
    '응축 속도와 증기의 압력은 비례'하므로 평형에 도달하기 위한 증기의 압력(증기압)도 커져야 한다.


    그리고 증발과 끓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증발은 액체 표면에서의 기화 현상을 의미하고, 끓음은 액체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기화 현상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증발 현상이 진행되려면 외부압력(Pex)와 무관하게 해당 증기의 분압이 증기압보다 낮아야 합니다.
    끓음 현상은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형성된 후 유지되려면 액체의 증기압이 액체 표면을 누르는 외부 압력(Pex)에 도달해야 합니다.

    끓는 점은 아시다시피 결국 끓는 현상이 나타나는 온도를 의미하며 그것은 외부압력과 증기압이 같아지는 온도입니다.


    맨 마지막 질문은 연관시켜 해달라고 하셨네요. 이건 제 생각이 조금 더 많이 들어간 부분이네요..
    참고만 하세요.

    가열곡선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열을 가해주어도 온도가 증가하지 않는 직선 부분이 있죠.
    끓는점의 온도를 생각해 보면, 직선 부분에서는 액체와 기체가 공존하는 구간입니다. (액체+기체)
    이 때 같은 온도일지라도 기체 상태가 액체 상태보다 열에너지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액체 상태의 분자가 분자간의 결합을 끊어낼 때까지 흡수한 열은 상태변화에만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가해준 열이 많아질수록 온도는 증가하지 않아도 기체상태의 분자가 점점 증가하고, 증기압에 도달할 때까지 기체상태의 분자를 만들어냅니다.
    즉, 온도는 상태변화에만 쓰이지만, 기체분자수가 증가하면서 평형상수를 만족하는 데 점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새벽에 졸린데 써서.. 오탈자나 뭐 이런 거는 봐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41946 가족여행으로 갈만한 해외 추천해주세요!!12 겸연쩍은 변산바람꽃 2018.01.23
141945 메트리스를 옮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12 적절한 만삼 2018.01.23
141944 목짧은여자 헤어스타일이나 코디법 알려주세요ㅠㅜ12 행복한 매발톱꽃 2018.01.23
141943 남자분들 이런여자 어때요12 찬란한 둥근잎유홍초 2018.01.23
141942 서면 아이시티에서 라섹하신분 계신가요...!12 큰 이팝나무 2018.01.22
141941 끝까지 보증금 못주겠다는 집주인12 날렵한 고추 2018.01.22
141940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2 슬픈 제비꽃 2018.01.21
141939 속방구12 어설픈 수선화 2018.01.21
141938 스테이히얼투데이(카페)에서 뭐가 맛있나요12 재미있는 갈매나무 2018.01.21
141937 온천장 삼정그린코아 사시는분 계시나요?12 애매한 달래 2018.01.19
141936 공대 진리관 몇번까지 빠질까요12 도도한 보풀 2018.01.18
141935 .12 늠름한 철쭉 2018.01.18
141934 친구가 없는 제가 걱정 되는것..12 한심한 벼룩나물 2018.01.18
141933 우울한 기분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12 유별난 굴참나무 2018.01.16
141932 [레알피누] .12 귀여운 대추나무 2018.01.16
141931 고등학교 영어 인강 선생님 추천해주세요ㅜㅜ12 유치한 이삭여뀌 2018.01.15
141930 센텀신세계 디저트 메뉴 추천12 날씬한 옻나무 2018.01.15
141929 진짜 친구가 없어요12 유별난 큰개불알풀 2018.01.14
141928 공댄데 질문있습니다.12 질긴 세열단풍 2018.01.14
141927 .12 끔찍한 벼룩나물 2018.01.13
첨부 (1)
74MrLfT3e35EPRQEUHSaC7yJ.jpg
208.8KB / Download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