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한글

부산대 학생들은?

Mich2013.05.10 00:57조회 수 3393댓글 16

    • 글자 크기

다른 대학 학생들과 다른점이 있다면 무엇이있을까요?!??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듣고 싶네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시험기간만되면 공부는 안하면서 자리만 축내는 사람이 드글드글
  • 빚이 얼마나 무서운지 실감
  • @닉넴생각안나염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닉넴생각안나염
    ㅜㅜㅜㅜㅜㅜ
  • 캠퍼스의 경사가 ㅎㄷㄷ.... 운동장의 넓이 축소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학교 정문의 주차장화?
    정도가 인상깊어요 @.@
  • @미어캣
    학교경사는 동의대, 동서대 못이깁니다ㅋㅋㅋ
  • @아후로
    2013.5.10 08:52
    동감... 동서대 한번 가보고 동서대 친구 앞에서 학교 산타기 힘들다고 안징징거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개개인의 사연이 더 많은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 저는 좋은 점 하나 들게요
    기숙사 밥이 맛있습니다(웅비관 제외)ㅋㅋㅋㅋㅋㅋㅋ
  • 아니 왜.. 다른 학생들과 다른 점이라는데 '학교' 비교가 나오는건가요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013.5.10 10:31
    캠퍼스가 이뻐요. 나무도있고 물도있고 숲사이 공원에 있으면 가끔 청설모도 보고 참새도보고 개미도 보고
  • Mich글쓴이
    2013.5.10 11:02
    저는 울 부산대 학우분들은 넘 공부만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너무 바르다는 것과..
    또 편입생들이나 사연 많으신 분도 많은 것 같고 .. 음
    물론 저만 이렇게 생각할수 있어..ㅜㅜ
  • 저번에 바위 위에 뭐가 있길래 봤는데 청설모가 고양이만했음... 무서워요@_@
  • @삼색이
    2013.5.10 19:26
    청설모가 왜 무서워요 ㅠㅠ
  • @M.A.C
    청설모다람쥐잡아머거여ㅠㅠ
  • @나ㅓ랴더
    2013.5.11 20:33
    아니에요 ......
    네이버에 청설모 한번 검색해보세요 ......
    그건 괴담ㅠㅠ
    청설모 미워하지마세요 ..
    청설모도 우리나라 토종 동물이에요 ㅠㅠ


    국제신문에서 퍼 왔습니다.
    부산환경교육센터와 함께 하는 환경 이야기 <6> 청설모가 다람쥐를 잡아먹어?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청설모.
    "부산 해운대 동백섬에 풀어놓았던 토끼가 어느날 사라지더니 청서만 보이더라. 청서가 토끼를 다 잡아먹은 것인가." 지난해 가을 어느 단체 강의를 갔다가 받은 질문이다. 과연 청서가 토끼를 잡아먹은 것일까.

    청서는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함께 살아온 살붙이 같은 동물이지만, 이러저러한 오해에 휩싸여 미움을 받고 있다. 이번 기회에 청서의 한(?)을 좀 풀어줄까 한다.

    일단 이름부터 살펴보자. 원래의 이름은 쥐목, 다람쥐과 청서속 동물로 '청서(靑鼠)'이다. 청설모(청서모·靑鼠毛)는 한자로 풀이하면 청서의 털이라는 뜻이 된다. 탐스러운 청서의 꼬리털이 고급 붓의 재료로 쓰여 유명세를 타다 보니 청설모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어렸을 적엔 청서보다 다람쥐를 더 많이 볼 수 있었는데, 요즘 숲은 청서 천국이다. 청서의 천적인 늑대 여우 구렁이 같은 동물들이 인간의 무분별한 숲 파괴로 사라지면서 전성기를 맞았고, 다람쥐와 비교해 생김새도 좋지 않게 평가되면서 청서가 다람쥐를 모두 잡아먹는다든가 우리 고유종이 아니고 일본에서 들어왔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청서는 벌레나 작은 새알을 먹기도 하지만 주로 나무열매를 먹고사는 동물로, 다람쥐를 잡아먹을 정도의 육식성은 없다. 다람쥐는 주로 땅 위, 청서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먹이 또한 다람쥐는 땅에 떨어진 도토리를, 청설모는 나무에 달린 잣이나 호두 등을 먹기 때문에 먹이 다툼도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인간들에 의해 이들이 마음놓고 살아갈 환경이 점점 좁아지면서 힘이 약한 다람쥐가 다른 곳으로 옮겨가 버려 우리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이다. 인적이 드문 한적한 숲길에서는 다람쥐를 자주 만날 수 있다.

    청서의 명칭은 'Korean squirrel' 즉, 한국다람쥐로 표기된다. 비록 쥐과로 천시되어 옛 문헌이나 민화에는 별로 등장하지 않지만 청서는 오히려 세계적으로 다람쥐보다도 인정받는 분명히 우리 토종 동물이다.

    청서는 소나무와 깊은 관계가 있다. 청서는 버려진 까치둥지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에 엉성하게 나뭇가지로 둥지를 만든다. 소나무 아래에서 위를 쳐다보면 가지 끝에 나뭇가지로 집을 만들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소나무가 많은 산에 가보면 솔방울이 다 뜯겨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청서가 날카로운 이빨로 솔방울을 잡아 뜯어 안쪽 깊숙이 박혀 있는 솔씨를 먹은 흔적이다. 아이들은 이를 닭다리라고 부른다.

    숲을 거닐다 부스럭부스럭 소리가 나면 나무 위를 한번 올려다보라. 열심히 솔방울을 뜯는 청서와 눈을 마주치면 그 까맣고 예쁜 눈과 인사하고 앞으로 사랑해 주겠노라 약속하면 어떨까. 사람들이 편한 쪽으로 자꾸만 변해가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느라 고단한 청서에게 말이다.

    정주혜·숲연구소 부산경남지부 지부장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정보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3 쓰레받기 2019.01.26
공지 가벼운글 자유게시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2 빗자루 2013.03.05
115134 가벼운글 [한겨레21 단독]“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4 조의선인 2011.12.17
115133 가벼운글 힝 그지됐당3 그레네데 2011.08.26
115132 가벼운글 10 꺄아 2011.11.11
115131 질문 힙합동아리없나요?2 LOVESONG 2016.03.06
115130 질문 힙합 동아리 입부 질문2 dsd51 2016.09.02
115129 질문 힙합 동아리 어디없나요????2 힝힝잉 2019.03.06
115128 가벼운글 힙합 녹음물 평가 부탁드립니다.~10 김비됴 2018.02.10
115127 질문 힙합 vs 아재개그3 심심해뭐하지 2019.05.09
115126 웃긴글 힙통령을 능가하는 사람이 나오길 바라면서ㅋㅋㅋㅋㅋ2 상우인 2011.08.12
115125 가벼운글 힙찔이를 위한 노래알려줘요6 웰시코깅 2018.04.13
115124 가벼운글 힙냅시다!2 공대생. 2012.04.19
115123 가벼운글 힘세고 좋은 아침!5 빗자루 2012.04.04
115122 가벼운글 힘세고 강한 점심!1 비회원 2011.09.06
115121 가벼운글 힘세고 강한 아침을 맞으려고 했는데3 深影 2012.06.09
115120 가벼운글 힘세고 강한 아침!!을 위해서 자러가야지1 Orrr 2011.09.07
115119 가벼운글 힘세고 강한 아침!!!!!!2 비회원 2011.08.13
115118 가벼운글 힘세고 강한 아침!!1 야압 2011.12.03
115117 가벼운글 힘세고 강한 아침6 길가던상대생 2011.08.30
115116 진지한글 힘들어하고 있는 학교를 위해 도와주세요....25 Railak 2014.02.23
115115 가벼운글 힘들어요...ㅠㅠ잉2 深影 2012.03.2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