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과 진동과목 질문

잘생긴 싸리2018.02.04 23:36조회 수 442댓글 8

    • 글자 크기
이번에 3학년올라가는 계과생입니다.
저는 과목하나하나의 큰그림에 대해서 알고 시작하는걸 좋아하는데요

진동과목이 전선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필수다 라는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필드에서 진동을 베이스로 하는 분야가 많기때문인가요? 어떤이유로 중요한과목인가요?
    • 글자 크기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어디에서 살 수 있어요? (by 끔찍한 영춘화) 수강신청 꿀팁 (by 적나라한 술패랭이꽃)

댓글 달기

  • 저도 궁금하네요... 계과인데 왜 중요한지 얘기를 다들 안 해주길래 ㅠ
  • 다른과와 차별되는, 기계과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분야입니다. 기계에는 엔진 또는 모터 등과 같은 에너지 소스가 존재하죠. 그리고, 이 에너지 소스에서 에너지를 전달하려면 병진운동 또는 회전운동으로 전달해야합니다. 하지만 기계는 공간적인 한계가 존재하죠. 기계가 너무 크면 안되잖아요?? 그러니깐 회전운동은 당연하고, 병진운동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경우에도 한방향으로 가는게 아니라 +x축, -x축으로 방향을 바꾸며 주기적으로 운동을 해야겠죠. 이게 바로 진동입니다. 그런데 이 주기적(비주기적 운동도 해당됩니다) 운동을 하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합니다. 소음도 크구요, 기계운동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계요소들(대표적으로 기어)사이에서 에너지 손실도 발생할 거구요, 공진이 발생할 수도 있죠. 예를 들자면, 모터가 에너지를 전달할때 반드시 특정 rpm에서 전달해야할수도 있잖아요?? 그리고, 그렇게 설계를 했구요. 그런데 그 특정 rpm근처만 가면 모터 회전축이 파손되는거에요.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10개 모터중에 4,5개가 똑같이 파손되요. 그럼 해당 모터에 대해서 모드분석을 해보면 그 모터의 공진주파수랑 앞에서 언급한 특정rpm이 일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거죠.
    나열하자면 끝도 없어요.
    이런 문제점들이 많기 때문에 기계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들이 먹고 사는겁니다. 답을 찾아야하므로. 그리고, 이러한 진동을 다룰수 있는 학과가 크게 많이 없어요. 전기전자?? 고체역학과 동역학을 모르기때문에 할 수 없어요. 화공? 당연히 안되겠죠? 토목은 음... 사실 토목건축쪽은 진동을 배우는지 잘 모르겠네요. 지인이 없어서....그나마 같이 하는 학과가 항공과랑 조선과인데, 사실 크게보면 항공과랑 조선과도 기계과랑 크게 다르지 않아요. 역학을 배우죠. 하늘에서 움직이는 기계는 항공기고, 바다에서 움직이는 기계는 조선이고, 육지에서 움직이는 기계는 자동차죠. 즉, 기계공학도로서 진동을 모르고 산업현장에 들어갔을때, 굳이 다른 학과학생들보다 나은점이 크게 없다는거죠.

  • @때리고싶은 오갈피나무
    감사합니다. 이게 ㅇㅅㅂ교수님이 말한 스토리가있는 공부인걸까요ㅎㅎ 기계과의 Identity 라는말이 멋있네요
  • @글쓴이
    음..... 저는 ㅇㅅㅂ 교수님의 수업을 듣진 않았지만... ㅇㅅㅂ 교수님의 동역학과 진동수업은 웬만하면 피하라는 소리를 많이 하더라구요. 제 동기도 ㅇㅅㅂ 교수님 진동수업 독학으로 공부했다고 합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기계과의 아이덴티티가 된다는 말은 그만큼 쉽지 않다는 뜻이에요. 사실 학기가 끝나고 난 다음에 돌이켜보면 숲이 보이지만... 나무 하나하나가 정복하기 까다롭습니다. 공식도 엄청 많구요. 그런데 그런 과목을 독학하는건 음... 물론 할순 있겠지만 계과 3학년 안그래도 할거많고, 어려운과목들 많고 과제많고 개헬일텐데 진동마저도 안도와주면 많이 힘들어요.
  • @때리고싶은 오갈피나무
    동역학과의 연관성은 어느정도되나요? 제가 ㅇㅅㅂ교수님 동역학을 들어서 사실 많이남은게없네요 하하ㅠㅠ
  • @글쓴이
    음... 딱히 없어요. 물론 변위,속도,가속도가 나오긴 하지만... 동역학에서 다룬것들과는 많이 다릅니다. 그렇다고 고체랑도 크게 연관성이 있는건 아니에요. 보통 4역학중에서 상위과목으로 고체+동을 엮어서 진동, 열+유체를 엮어서 열전달로 많이들 두시는데... 열전달에서는 열,유체내용이 아주 많이 나오는 반면에, 진동수업을 들을때는 고체랑 동역학 내용이 크게 쓰이진 않았습니다. 그나마 기억나는게.... 문제풀때 I 가 필요한 경우가 있었는데, 그때는 시험치기 전에 고체책보면서 공식 외워가시면 되요.
  • @때리고싶은 오갈피나무
    감사합니다 좋은일만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진동은 기계 수명, 효율, 소음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이고 모터로 인한 진동이나 반복하중으로 인한 진동 뿐만 아니라 교류회로 진동이나 주파수가 있는 대부분의 영역에서도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 ㅇㅅㅂ교수만 피하면 그분의 동역학을 들었었는데 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15724 [레알피누] 계과 공학설계실습 들은 선배님9 신선한 서양민들레 2018.02.05
115723 [레알피누] .1 한심한 무스카리 2018.02.05
115722 2학년 마치고 전과하게되면 2학년다시 시작맞죠?6 특별한 램스이어 2018.02.05
115721 청강해보신분 있나요?6 살벌한 노랑물봉선화 2018.02.05
115720 공대 4학년인데 1학기랑 2학기 중에 언제가 더 바쁜가요?5 화려한 떡신갈나무 2018.02.05
115719 교양 융복합 7영역은 누가 들을 수 있나요?1 화사한 고욤나무 2018.02.05
115718 문과학우인데 막학기 일선만 남았는데요5 점잖은 한련초 2018.02.05
115717 교양 학점인정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한심한 줄민둥뫼제비꽃 2018.02.05
115716 신발이 클때 어떻게 하시나요????7 세련된 양배추 2018.02.04
115715 [레알피누] 이번에 대실영 1,2 동시에 듣는데 분반이 같으면 교수도 같을 까요??11 바쁜 광대나물 2018.02.04
115714 복수전공 신청 전 전공3개를 들어야한다는데요2 답답한 개곽향 2018.02.04
115713 수학과 건물이 어디있죠?5 밝은 광대나물 2018.02.04
115712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어디에서 살 수 있어요?7 끔찍한 영춘화 2018.02.04
기계과 진동과목 질문8 잘생긴 싸리 2018.02.04
115710 수강신청 꿀팁9 적나라한 술패랭이꽃 2018.02.04
115709 고전 읽기와 토론 학기 중에 들으면 많이 힘든가요?1 유치한 돌가시나무 2018.02.04
115708 컴활필기 1주일 공부하면 합격가능한가요??7 자상한 박달나무 2018.02.04
115707 문정과 복전2 답답한 개곽향 2018.02.04
115706 기계 수강신청1 나쁜 비파나무 2018.02.04
115705 [레알피누] 전기기사 휴학안하고 딸만한가요?3 절묘한 나도밤나무 2018.02.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