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지역 밀착형 콘텐츠 개발해야

부대신문*2011.12.08 13:44조회 수 1191댓글 0

    • 글자 크기
    

  2005년 2월 설립된 산지니 도서출판(이하 산지니)은 부산 지역에 기반을 둔 대표적인 출판사로 올해
7월 기준으로 116권의 책을 발행했다. 그러나 설립 초기에는 여느 지역 출판사처럼 운영에 어려움을 겪
었다. 산지니 강수걸(법학 86, 졸업) 대표를 만나 출판사를 운영하며 종이책 산업의 현실과 전자책의 등
장으로 일어날 변화에 대해 들어봤다.

지역기반 종이책 산업이 가지는 어려움은
  독자와 작가에게 인지도가 낮은 것이 가장 큰 문제다. 독자는 인지도가 낮은 출판사의 책을 손에 들지
않는다. 작가 역시 대형 출판사에서 책을 출판하고 싶어 한다. 독자와 작가 모두에게 외면받으면 출판사
는 살아남기 어렵다. 지역의 젊고 참신한 작가들이 지역 출판사와 함께 성장하려는 인식이 적어 아쉽다.

현재 국내 전자책 산업이 갖는 한계는 무엇인가
  우선 소비자의 수요대로 전자책을 제작할 수 없다는 점이다. 기존의 종이책을 전자책으로 변환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서체 개발이다. 특히 일반교양 책보다 논문이나 한자로 쓰인 책 등은 서체 개발에 있
어 어려움이 크다.
  다음으로 유료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수준이 미비하다는 점이다. 아직 전자책 콘텐츠는 무료라
는 인식이 강하며 실제로 돈을 낸다는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것 같다.

전자책의 등장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전자책 시장의 규모는 작지만 출판 업계 종사자들은 그 잠재성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종이책으로 출판한 책을 전자책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두 권을 변환했고 올해도 한
권을 변환했다. 변환에 필요한 비용이 부담돼 아직 많은 콘텐츠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점차 늘려갈 계획
이다. 전자책 개발 이외에도 내실 있는 종이책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이책 산업이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출판도 산업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정확히 수요를
예측하고 다양한 장서를 소량 생산해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거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하는 외국
출판 업계는 국내 종이책 산업에 큰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 지역 출판사들이 연대와 협력을 강화해
이를 극복해야 한다.
  거대 자본 출판사가 아니라면 지역 밀착형 출판사로 거듭나야 한다. 그 지역의 작가와 소재에 다가가
참신한 작가와 책을 발굴해야 한다. 즉 지역만의 특색을 살려야 한다.

종이책 산업의 미래를 전망한다면
  출판 산업 전반이 위기다. 지역 기반 출판사들의 운영은 여전히 불안하다. 그러나 종이책 산업이 사라
지지는 않을 것이다. 전자책이 구현할 수 없는 분야를 종이책이 메워야 한다. 책 한 권 한 권에서 수익
을 창출하는 구조가 형성돼야 한다. 지역사회에 더욱 밀착하는 출판사로 다가서야 한다. 지역사회 독자
의 관심과 도움이 절실하다.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939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1513호 효원알리미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1513호 청춘라디오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1513호 이주의 MYPNU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인생의 나침반 부대신문* 2015.11.12
부대신문 소년이 온다 부대신문* 2015.11.12
부대방송국 2015년 11월 11일 수요일 <아침을 여는 소리> <효원소식> <어제와 오늘> 부산대방송국 2015.11.11
부대방송국 2015년 11월 10일 화요일 <소소한 문화의 전당>, <세상 읽어주는 남자> 부산대방송국 2015.11.10
부대방송국 2015년 11월 9일 월요일 <낮 12시의 산책> 부산대방송국 2015.11.09
부대방송국 2015년 11월 6일 금요일 <아침을 여는 소리>, <효원소식>, <그들의 플레이리스트> 부산대방송국 2015.11.09
부대신문 총장 선정규정안 통과, 교수회장은 사임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20대 총장·48대 총학 선거 실시된다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1502호 메아리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멘토와 멘티의 관계를 생각하며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뒤주에 갇힌 역사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흙수저’들의 ‘노오력’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끊이지 않은 비리 사슬, 교피아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인문대학 회장 사퇴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청년문화의 어제와 오늘 “이제는 힘을 모아야할 때”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한광 미술관, 화폭에 역사를 담다 부대신문* 2015.11.06
부대신문 목소리로 누르는 전화번호, 번호판 없이 전화를 걸다 부대신문* 2015.11.06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