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천재들 보면 문이과 가리지 않고 이해도가 높던데 그 이유를 알았다.

글쓴이2018.04.16 23:40조회 수 3997추천 수 3댓글 15

    • 글자 크기

사실 문과 천재는 보기도 힘들고, 설령 천재라 해도 알기도 힘드니깐 패스하고.

(이상,루카치,카뮈 같이 젊어서 미친듯한 사상과 필력을 뽐낸 사람들 아니면 다들 충분히 나이가 들어서 꽃을 피우니깐)

 

항상 이과 천재들 보면 동경하는게 있었는데 그 천재들한테 공통적인 특징이 있었음.

단순히 이과 뚝배기만 좋았던게 아니었음. 우리 아부지(서울대 물리학과), 군대 맞선임(서울대 공대), 옛날에 한참 오르비 활동할 때 봤던 천재 기운 뿜뿜하던 사람(설곽 출신에 서울대 의대였던듯 확실하지 않음), 사촌누나 남편(카이스트 박사) 등등을 보면서 공통적으로 생각했던게 진짜 천재긴 천잰데, 문학과 철학에 대한 이해도 또한 엄청 높았다는 거임. 그냥 고등학교 때 다니면서 본 이과 쪽으로 머리 똑똑한 애들은 그냥 딱 거기서 끝이엇는데, 천재구나 싶은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책도 많이 읽고 인문학에 대한 지식과 이해도가 대단했음. 난 개인적으로 문이과 대가리는 한쪽으로만 타고난다고 믿었기에 의아했었는데, 이제 그 궁금증을 해결했다. 시험기간에 본 ebs다큐멘터라가 나의 궁금증을 해결해주었다. 

 

역시 시험기간에 하는 딴 짓에서는 배울게 많다. 나도 이 방법대로 실천해 보면, 천재는 아니더라도 공부의 효율성을 올릴 수 있을것 같다.

 

6시간 전사 달린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5128 .1 답답한 갈매나무 2014.12.31
5127 .6 흐뭇한 으름 2014.05.25
5126 .2 못생긴 석류나무 2018.07.24
5125 .3 치밀한 나도풍란 2020.05.11
5124 .17 초조한 풀솜대 2017.03.03
5123 .2 끔찍한 목련 2015.01.21
5122 .1 의연한 느릅나무 2017.08.29
5121 .15 뚱뚱한 뻐꾹채 2013.12.20
5120 .1 도도한 벋은씀바귀 2016.11.17
5119 .5 해맑은 보풀 2017.10.16
5118 .3 유치한 용담 2019.06.07
5117 .14 고상한 솔새 2020.04.01
5116 .8 괴로운 한련 2014.09.01
5115 .5 적절한 얼룩매일초 2014.12.21
5114 .15 찬란한 백선 2013.07.23
5113 .6 황홀한 우단동자꽃 2016.03.30
5112 .5 과감한 협죽도 2015.12.28
5111 .15 진실한 산박하 2019.02.27
5110 .9 게으른 큰까치수영 2021.03.26
5109 .2 무례한 만첩빈도리 2016.12.18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