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밑에 고시지원 관련?

글쓴이2013.06.07 01:59조회 수 1300추천 수 1댓글 5

    • 글자 크기

하루종일 피누 안오다가 보니 고시 관련 글이 있길래 써 봅니다.


고시 지원을 해 준다는 것에 대해, 다른 학교들과 비교를 하시길래..ㅎㅎ



일단 비교가 되려면 학교의 재정 상황이나 기타 상황이 비슷해야되겠죠...


밑에 고시반박자님들 관련 글의 댓글에도 썼지만,


우리학교와 같은 (지방거점)국립대에서 고시생들에게 지원을 얼마나 해 주는지 알아야겠죠.


경북대나 전남/북대 등에서 고시생들에게 해 주는 지원이 우리학교의 그것과 다름없는지 봐야겠죠.


또한, 사립대들과도 비교를 하시는데, 사립대는 국립대들과 차원이 다릅니다.


일단 운영하는 학과의 수가 적으므로, 학과에 들어갈 돈을 다른데 돌릴 수가 있으며, 애초에 등록금으로 얻는 재원도 상당합니다. 


또한 몇 몇 사립대는 자체적으로 건물 임대 사업등을 하는 경우도 있지요.


여기까지 본다면, 사립대와 국립대가 학교 고시생들에게 해 줄수 있는 지원의 '양과 질'의 차이를 어느정도 느낄 수 있을겁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평균 200 미만 혹은 200 정도의 등록금(공대라서 타대는 등록금을 잘 모릅니다)을 받는 국립대와


300후반에서 400정도의 등록금을 받는 사립대라는 점이 가장 큰 고시생 지원 질의 차이가 아닌가 싶습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고시하시는 분 아니신거 같은데요...
    이미 전국 어는 명문대에서도 고시반자체의 메리트는 땅에 떨어졌습니다.
    소위말하는 서울 명문대의 경우에는 고시반학생의 합격률이 아니라 학원가의 합격률이고요
  • @부지런한 월계수
    네, 고시생 아닙니다...근데 의문이 드는게,
    학원의 능력이 곧 학생의 합격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면,
    학교가 해 줄수 있는 지원은 학원비를 장학금이라는 명목하에 대 주는 것 말고는 무슨 의미가 있나요?
    어차피 그런 학원들은 정독실이 따로 있을텐데...학교에서 운영할 필요도 따로 없을테고요.
    또 대부분 서울에 있을테니 우리학교에서 그런식의 지원은 더 어려운것 아닐까 싶네요...
    인강도 학원 다니는 것을 따라잡을수는 없을테니까요.
  • @글쓴이
    밑에 글들 논지읽어 보시지요...
    학원 인프라가 없는만큼 지방에서는 고시반에서의 지원이 한가지 대안적 방안으로 부상하는거지요
    지방학생이 학원가로 상경하는데 들어가는 시간 비용 위험성 이걸 고시반 지원으로 해결해 주길 바라는거고 그래야하는겁니다.
    재학생 휴학늘려주고 인강지원비지급하고 장려금 직급하고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지원은 학교측에서 해줘야하는게 형평성측면에서도 맞는거지요...절대적 불리한 입장에서 수험에 길에 드는데 ...
  • 참고로 고시 수업 학원은 전국에 신림동 3개뿐입니다.
    똑같이 공부해도 지방대생이 월등히 돈이 많이들죠.
    그건 아시나요?
    그리고 다 찾긴 시간이 너무 소비되고 하나만 들면
    전북대는 고시 1차 합격자에게 정독실 시설 완벽하게 재공돠고
    장학금지원도 있습니다.
    그에 비해 우린? 아무것도 없습니다 단 한가지도
  •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요새 학교에서 독학해서 고시붙는사람 거의 없습니다. 합격수기봐도 알겠지만 대다수가 학원강의는 기본베이스로 깔고가고 여기에 인강에 심한경우에는 고시합격자들로 부터 과외도 받는사람들도 있습니다. 지금도 학교차원에서 인강지원정도는 해주는데 이정도만해도 솔직히 감사할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0369 우리학교 쪽팔림7 청아한 광대싸리 2013.10.01
160368 반짝이 게시판의 폐해인지..22 힘좋은 주목 2013.05.08
160367 한달 용돈 얼마가적절?52 서운한 신갈나무 2012.12.09
160366 학점 2점대에 대외활동 아무것도 없는데 대기업 프리패스인 대학 어디까진가요?21 서운한 목련 2019.04.17
160365 헐...금정학식에서.....13 천재 큰꽃으아리 2018.06.07
160364 진짜 고학번(한자리수) 구분하는건 이거죠23 천재 칡 2014.02.23
160363 계절학기 전공2개6 현명한 해당화 2013.06.03
160362 20대 초 남자, 20대 후 30대 초반 여자가 취향이라 고민입니다14 외로운 메타세쿼이아 2020.02.29
160361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0 화려한 무화과나무 2014.12.30
160360 PNU Buddy Program 신청해보신분 계시나요?10 건방진 당단풍 2013.07.12
160359 여성분들봐주세요 ㅠ21 초조한 배롱나무 2012.06.25
160358 인공눈물 처방비용이 7200원이나 하나요10 활동적인 망초 2019.02.19
160357 아파트 발망치소리(층간소음)3 특이한 조팝나무 2018.02.27
160356 사기업 다니다가 공무원한단 말은 들었어도16 창백한 편백 2017.12.05
160355 문돌인데요. 요즘 전문직 전망 어때요?12 멍한 꽃치자 2017.09.14
160354 공대 과탑분들은16 야릇한 청미래덩굴 2017.06.14
160353 도서관매너좀33 큰 속털개밀 2014.05.10
160352 알바 나이제한..?5 청결한 자귀풀 2013.08.17
160351 컬러인쇄 할수있는곳6 고고한 개미취 2013.06.01
160350 공대 대학원11 힘쎈 물박달나무 2012.12.1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