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쓴이2018.07.08 23:16조회 수 1110댓글 4

    • 글자 크기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유동의 지배방정식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경우 나비에 스톡크스 방정식을 공부해 보시면 됩니다
  • 지나가는 공대생인데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배율이 평균 1.2배이니까 1.2배를 초고하는 부분은 재산가치로 간주한다.
    그냥 말 그대로인거 같은데. 그 비율은 업종마다 다르궁
  •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단순화하면 유동부채는 비교적 빨리 갚아야 하는 것, 유동자산은 비교적 빨리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것입니다.

    120/100이면 1.2죠 빨리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게 빨리 갚아야 하는 것의 120% 이니까 도산할 가능성이 비교적 낮겠죠 1.2 초과하는 건 당장 빚 갚는 데 쓰일 일이 없으니까 자산으로 간주해도 무방하고 이 비율은 특정 산업 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는 말 같은데 이 부분이 궁금하신 거 맞나요...?
  • 경제보단 회계나 재무적 지식이 필요할 것 같아요.
    유동비율은 회계상 유동자산/유동부채 이며 유동비율의 경제적 의미는 유동성위험과 관련있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보고기간 말 현재 시점에서 12개월 이내(혹은 정상영업주기 내)에 상환해야 할 부채 대비 12개월 내 현금 또는 현금등가물로 유입될 자산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직관적인 예를 들어보면 현재시점에 유동부채가 2억원이 있는데 유동자산이 1억 뿐이라면(유동비율 0.5) 12개월 내에 갚아야 할 부채에 대한 현금이 1억원 부족합니다. 따라서 다른 자산(비유동)을 팔아서 재원을 마련하거나 재원을 마련하지 못할경우 부도에 처합니다.
    따라서 유동비율은 단기적인 유동성 위험의 상대적 지표가 될 수 있고, 그 비율은 일반적으로 최소한 1 이상의 경우에 유동성 위험이 높지 않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으로 유동성 비율이 높다고 좋은것은 아닙니다. (유동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현금 등 유동자산을 올바른 투자처에 운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28525 정몽주니어 연전연승중.7 처참한 물양귀비 2014.11.29
128524 이름만 바꿔도 대박남1 다친 돌가시나무 2014.11.29
128523 공미2 강진숙교수님10 흔한 먹넌출 2014.11.29
128522 이 시간에 배달되는 탕수육집있나요?3 배고픈 동의나물 2014.11.29
128521 부산은행 희망인턴 하신 분 계세요?8 훈훈한 신나무 2014.11.29
128520 꼭 진보좌파성향 아니더라도...22 자상한 쇠별꽃 2014.11.29
128519 잘 놀지 못한다는 것2 적절한 부레옥잠 2014.11.30
128518 유리 유리 하시는데..무슨뜻인가요..13 추운 돌나물 2014.11.30
128517 [레알피누] 아까 중도 3층 제옆자리앉으신 여학우분4 교활한 야콘 2014.11.30
128516 여자분들, 선배한테 인사안하는 이유있어요?34 나약한 하늘말나리 2014.11.30
128515 전세를 구하려고하는데 걱정입니다..2 안일한 헬리오트로프 2014.11.30
128514 노트북 고장이욤1 한가한 붓꽃 2014.11.30
128513 올해 취업난 맞나요?9 까다로운 광대싸리 2014.11.30
128512 도자위 일요일에도 하나요?2 멋진 병꽃나무 2014.11.30
128511 산업공학에서는 수학 어느정도 배우나요?3 황송한 배추 2014.11.30
128510 토익침9 청결한 보풀 2014.11.30
128509 토익 900중반님 답좀올려주세요3 과감한 세쿼이아 2014.11.30
128508 회로이론1 ㅅㄱㅅ교수님 어두운 세열단풍 2014.11.30
128507 21c 효원특강 저번주에 빠졌는데1 생생한 작살나무 2014.11.30
128506 중도 3층 공기 ㅠㅠ4 청아한 시클라멘 2014.11.3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