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쓴이2018.07.08 23:16조회 수 1110댓글 4

    • 글자 크기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유동의 지배방정식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경우 나비에 스톡크스 방정식을 공부해 보시면 됩니다
  • 지나가는 공대생인데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배율이 평균 1.2배이니까 1.2배를 초고하는 부분은 재산가치로 간주한다.
    그냥 말 그대로인거 같은데. 그 비율은 업종마다 다르궁
  •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단순화하면 유동부채는 비교적 빨리 갚아야 하는 것, 유동자산은 비교적 빨리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것입니다.

    120/100이면 1.2죠 빨리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게 빨리 갚아야 하는 것의 120% 이니까 도산할 가능성이 비교적 낮겠죠 1.2 초과하는 건 당장 빚 갚는 데 쓰일 일이 없으니까 자산으로 간주해도 무방하고 이 비율은 특정 산업 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는 말 같은데 이 부분이 궁금하신 거 맞나요...?
  • 경제보단 회계나 재무적 지식이 필요할 것 같아요.
    유동비율은 회계상 유동자산/유동부채 이며 유동비율의 경제적 의미는 유동성위험과 관련있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보고기간 말 현재 시점에서 12개월 이내(혹은 정상영업주기 내)에 상환해야 할 부채 대비 12개월 내 현금 또는 현금등가물로 유입될 자산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직관적인 예를 들어보면 현재시점에 유동부채가 2억원이 있는데 유동자산이 1억 뿐이라면(유동비율 0.5) 12개월 내에 갚아야 할 부채에 대한 현금이 1억원 부족합니다. 따라서 다른 자산(비유동)을 팔아서 재원을 마련하거나 재원을 마련하지 못할경우 부도에 처합니다.
    따라서 유동비율은 단기적인 유동성 위험의 상대적 지표가 될 수 있고, 그 비율은 일반적으로 최소한 1 이상의 경우에 유동성 위험이 높지 않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으로 유동성 비율이 높다고 좋은것은 아닙니다. (유동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현금 등 유동자산을 올바른 투자처에 운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28525 계절 수강신청 인원2 촉촉한 돌가시나무 2018.05.18
128524 계절 수강신청 질문드려요!!1 겸연쩍은 벌개미취 2016.03.29
128523 계절 수강신청 질문이요!!2 빠른 제비동자꽃 2016.05.16
128522 계절 수강신청 후 등록 안 하면 힘쎈 벼룩이자리 2016.12.21
128521 계절 수강신청때 늦잠자서2 쌀쌀한 어저귀 2016.05.22
128520 계절 수강신청한거 못듣게 된다면 돈 돌려주나요?8 황홀한 동백나무 2015.06.05
128519 계절 수강정정 큰 백당나무 2015.11.10
128518 계절 수강정정 때 다시 신청할 수 있죠 ?2 허약한 서어나무 2015.11.12
128517 계절 수강취소1 청결한 박태기나무 2018.07.12
128516 계절 수강취소3 근육질 풀솜대 2017.12.28
128515 계절 수강취소1 민망한 비수리 2015.06.19
128514 계절 수강취소1 도도한 꼬리풀 2019.07.01
128513 계절 수강취소2 발냄새나는 다닥냉이 2015.07.02
128512 계절 수강취소1 멋쟁이 꽃개오동 2018.07.04
128511 계절 수강취소2 돈많은 수박 2018.06.14
128510 계절 수강취소3 귀여운 주목 2018.11.13
128509 계절 수강취소2 난폭한 연잎꿩의다리 2017.06.09
128508 계절 수강취소2 착실한 수크령 2017.07.03
128507 계절 수강취소4 진실한 눈개승마 2019.06.14
128506 계절 수강취소3 냉정한 산비장이 2013.12.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