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좋아하시는 분들 *.* 질문도 받습니다>

이상한 연잎꿩의다리2013.06.27 21:16조회 수 2043댓글 43

    • 글자 크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과연 있을 지 의문이지만 물리좋아하시는 분들 계십니까?

똑똑똑?

    • 글자 크기
[레알피누] 국가장학금... 탈락... (by 끌려다니는 닭의장풀) [1차수정]일어나는 법 ㅜㅡㅜ (by 잘생긴 감자)

댓글 달기

  • 있숩니닿ㅎㅎㅎㅎㅎㅎㅎ
  • @돈많은 백합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22
    오옷 ㅋㅋㅋㅋㅋ 물리의 어떤 부분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시죠?
  • 저도 고등학교 때 물리가 제일 좋았어요 ㅋㅋ 비록 문과로 왔지만..
  • @기쁜 율무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24
    ㅋㅋㅋㅋㅋㅋ Do you know F=ma?
  • @글쓴이
    ㅋㅋㅋ 궁금해서 물어보시는 거라면 yes i know 라고 대답을 해야겠네요 ㅋㅋ
  • 여기요
  • @귀여운 누리장나무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25
    ㅋㅋㅋ물리좋아하는 분들 꽤 있네요. 그래서, 지금은 무엇을 하고 계시나요? 물리학과? 공대?
  • @글쓴이
    문과요 ㅋㅋ
  • @귀여운 누리장나무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27
    의외로 문과분들과 물리학이 좀 통하는 구석이 있나봅니다 ㅋㅋㅋㅋㅋ
  • @글쓴이
    게임도 취미로 할때가 재밌지 직업으로하면 피곤한거라고 할까요 ㅋㅋ
  • @귀여운 누리장나무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 직업으로 하는 것 같은데, 재밌고 좋은데요? 이것말고는 다 시시해보인달까요...
  • @글쓴이
    올 ㅋㅋ
  • 진실자체를알아가는과정이랄까...... 먼가 자연현상을 수식화하는게 재밌지않나요?
    지금은 공대와서 전과목에서 몇백년전의 뉴턴행님의 F=ma 뒤꽁무니만 따라가고잇지만ㅠㅠ
  • @돈많은 백합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27
    F=ma 가 얼마나 아름다운 식인지를 아는 사람은 많이 없을거에요. ㅋㅋㅋㅋ 전 자연현상을 수식화 하는 것 자체보다는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더 좋더라구요. 수식은 그 설명의 언어가 되겠죠ㅎㅎㅎ
  • @글쓴이
    공대와서는 이제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 등 현대물리를 배울수없다는게 아쉽네요ㅠㅠ 고딩 때는 뉴턴보면서 물리학자의 꿈을 키웟지만,,,,, 현실은 OTL... ㅠㅠ
  • @돈많은 백합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32
    ㅋㅋㅋㅋ일반선택으로 물리학과에서 들어보시는 건 어떠세요? ㅋㅋㅋㅋ 양자역학 참으로 매력적인 학문이죠. 직관과 반하는 현상들을 새로운 방법(선형대수와 불확정성원리로)으로 해석해나가는 !! ㅋㅋㅋ 상대성이론은 뭐 말할 것도 없겠죠...ㅋㅋㅋ
  • 물리2듣는데 증오합니다
  • @미운 바위솔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29
    일반물리학2를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물리학을 증오하다니요..... ㅜㅜ 일반물리2 재밌어요... 쿨롱님 가우스님 암페어님 로렌츠님 막스웰님 하이젠베르크님 슈뢰딩거님 등 물리학의 거장들이 총 출현하는 과목인데....
  • @글쓴이
    이해가안되면어떡합니까 가르쳐줄사람도없고 힘들어요 ㅋㅋㅋ
  • @미운 바위솔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38
    저에게 물어보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면, WWW.KOCW.NET 에서 "차동우" 검색 후 일반물리학2 를 들어보세요. 개인적으로는 명강의라고 생각합니다.
  • 여기요 ㅋㅋㅋ

    한참 빠져서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지금은 시간이 없어서 시들시들하네요
  • @상냥한 강아지풀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30
    반갑습니다 ㅋㅋㅋㅋ 취미로라도 계속 해보세요! ㅋㅋㅋ 알면알수록 재미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질거에요
  • @글쓴이
    어떤어떤 분야가 있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 @상냥한 강아지풀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51
    우리나라에 제일 잘하는 반도체, 즉 고체물리학이 있죠.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바로 "나노"입니다. 나노는 별다른게 아니라 숫자의 단위이죠. 즉 크기가 나노사이즈인 계를 말하죠. 가장 대표적으로 반도체가 고체물리학의 결과이죠. 또한사람들이 굉장히 흥미있어하는 핵물리학을 하면 원자력발전, 핵융합, 방사선치료 등 다양한 분야가 열리죠. 통계물리학을하면 DNA구조분석, 열기관, 무른물질(유체)물성연구 등 자연은 "원자"로 되어있다고 주장하셨던 루트비히 볼츠만님이 창시자이시죠. 즉 통계물리는 수많은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개별적으로 다루지 않고 통계적으로 서술함으로서 전체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도록 해주죠. 광학의 경우 빛에 대해 연구하여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등을 연구하여 수 많은 분야에 응용됩니다. 예를들어 레이저를 만든 것도 물리학자이죠. 이 뿐만 아니라 천체물리, 입자물리, 양자론 등 수 많은 분야가 존재합니다.
  • 공부할땐 재밌고 문제풀땐 멘붕오는 물리........
  • @의연한 물봉선
    글쓴이글쓴이
    2013.6.27 21:51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더 매력적이지 않나요?
  • 물리 좋아요~
  • 이것저것 보면서 가장 마지막에 봤던 것중 머리에 남는건 초끈이론이었는데
  • @상냥한 강아지풀
    글쓴이글쓴이
    2013.6.27 22:21
    ㅋㅋㅋ 막상 물리하는 사람들은 초끈이론에 대해 잘 알지못해요. ㅋㅋㅋㅋㅋ 대단한 이론이긴 하지만, 차원이 너무 높아서 실제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이 아니라고도 하는 사람이 많았죠.
  • 여기요.
    물리가 재밌어서 중고딩때 공부 안하고도 시험 잘쳤고 좋아해서 물리학과 왔고 재밌어서 공부하다보니 학점도 잘받고 교수님께도 인정받고 학교다니고 있네요.
    위에서 직관에 반하는 거라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친구들과 다른 사람과는 다르게 직관에 맞아서 중고딩 때 좋아했고 지금도 직관에 맞아서 좋아합니다. 교수님께서 양자역학 질문을 하시고 답을 했는데 왜 그러냐고 물어보셔서 당연한걸 물으시니 당황스럽다고 답한 기억이 있네요.
    고등학교 때 현댜물리와 양자역학 관련 교양책들을 많이 읽어서 그런가... 저는 당연히 여긴답니다.
  • @다부진 병아리난초
    글쓴이글쓴이
    2013.6.27 22:37
    ㅋㅋㅋㅋ 그걸 당연하게 여기시다니, 저로서는 당혹스럽네요. ㅋㅋㅋㅋ 당대 수 많은 물리학자들도 인정하기 힘들만큼 직관에 반하는게 정상적이죠. 그러나 저는 직관에 반해서 더 매력적인게 아닌가 싶습니다.
  • 물리는 세상의 진리를 파헤치는 흥미로운 학문이지요 전공공부에 치여 접할기회가 적어졋는데 추천할 만한 과학잡지 있으신가요
  • @힘좋은 쑥
    글쓴이글쓴이
    2013.6.27 23:06
    Physics today 나 scientific american 정도를 추천하고 싶군요.
  • 입자가 공간을 밀어내고 밀려난 공간이 회복하는 힘이 중력이라고 어떤교수님이 그러던데

    입자도 공간과 비슷해서 그런건가요
  • @상냥한 강아지풀
    글쓴이글쓴이
    2013.6.28 00:26
    입자가 공간과 비슷해서 그런것이 아니라 질량이라는 존재가 시공간을 왜곡시키기 때문입니다. 즉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에 따르면 중력이라는 것이 뉴턴이 말한 것 처럼 만유인력같은 것이 아니라 중력으로 인한 공간의 휘어짐 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거죠. 즉 자유낙하하는 물체는 지구가 만들어놓은 휘어진공간 때문에 기울기가 생겨서 떨어지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죠. 사람들이 상대론에 대해 오해가 많은데 특수상대론이 E이꼴 mc스퀘어 이끌어낸 관성계사이의 상대론이고 일반상대론은 중력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 가속계에 대한 상대론의 결과입니다.
  • @글쓴이
    오.. 이건 흥미롭네요
    지나가는 공대생임다
  • 살짝 루즈해진 대학공부의 환기를 불어넣기위해 물리부전공했는데 어느덧 고체물리까지 다들어버렸네요ㅋㅋ. 기본베이스만 탄탄히 깔린상태에서 교과과정만 따라가면 암기할것도 무지적고 쉬운게 물리라고 생각됩니다.
  • @못생긴 주름조개풀
    오 주름조개풀님 저 물리 복수전공하고 싶은 아해인데요
    혹시 물리학과는 학점 줄 때 자과 먼저 챙기고 이런 거 있나요?
    답변해주시면 ㄳ합니당~
  • @특이한 시계꽃
    부전공 전부 에이쁠욤 ㅎㅎ 차별같은건 없었습니당
  • @특이한 시계꽃
    글쓴이글쓴이
    2013.6.28 01:11
    ㅋㅋㅋㅋ 우리교수님들 그런 것 신경안쓰십니다 ㅋㅋㅋ걱정말고 부전공하세요
  • 엘러건트 유니버스!
  • @코피나는 마
    글쓴이글쓴이
    2013.6.28 01:11
    ㅋㅋㅋㅋ좋은 책이지요?ㅋㅋㅋ
  • 블랙홀 관련 질문입니다

    무한한 중력으로 수축하다가 임계점을 넘으면 생긴다고 들었는데

    입자들 사이의 간극이 매우좁아진 상태를 넘어가게되면 어떤일이 벌어지나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6323 진심 기계과 못살겠다43 유치한 백목련 2013.12.17
166322 중딩때 저때리던 놈이 같은 동아리들어왔어요.43 쌀쌀한 감국 2013.11.24
166321 어떤 생각드나요.?43 뚱뚱한 석류나무 2013.11.07
166320 대화흐름 끊길때 괜찮은 소재 댓글로 많이 적어주세요43 유치한 큰괭이밥 2013.11.02
166319 우리학교에서는 절대 볼수없는 모습43 촉박한 털머위 2013.10.19
166318 대학생한테 어울리는 차는?43 더러운 돼지풀 2013.10.19
166317 다른 단대도 학생회비안내면 사물함못쓰게 하나요?43 배고픈 벼룩나물 2013.08.22
166316 [레알피누] 국가장학금... 탈락...43 끌려다니는 닭의장풀 2013.08.21
물리 좋아하시는 분들 *.* 질문도 받습니다>43 이상한 연잎꿩의다리 2013.06.27
166314 [1차수정]일어나는 법 ㅜㅡㅜ43 잘생긴 감자 2013.06.14
166313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43 특별한 무화과나무 2013.05.18
166312 여자친구랑 관계문제 으어어어어어43 현명한 창질경이 2013.04.08
166311 [레알피누] 마이피누 연령대 궁금!43 싸늘한 영산홍 2013.03.08
166310 니트43 현명한 가지복수초 2012.11.30
166309 77타고 귀가중43 재미있는 댑싸리 2012.10.29
166308 아직도 2G 쓰는 사람 이상한가요?43 어설픈 물박달나무 2012.10.19
166307 이쁜여자분들은 좋겠어요..43 의젓한 개암나무 2012.09.11
166306 나만 춥나...?43 자상한 호밀 2012.08.23
166305 친구가 저에게 라이벌의식을 가지는것같아요.43 한심한 선밀나물 2012.07.23
166304 [레알피누] ,42 섹시한 복분자딸기 2020.10.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