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쓴이2019.02.12 17:29조회 수 543댓글 19

    • 글자 크기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신고하시고 감수하시면 됨
  • 저라면 공지가 없었어도 관련실험, 사례등등 다 공부해서 적었을거 같아요
  • 저런 교수님 너무 싫어요..
  • 저도 비슷한 경험있는데 점수깎였었네요 다음부터는 앞뒤 부연설명 그래프 등등 아는거 다적으라고 하시던데요.. 솔직히 이해안갔음
  • 물론 저도 공지 없었다는 점은 맘에 안들지만 윗분과 같은 의견입니다
  • 처음부터 채점기준을 말한 다음, 말을 바꾼것이라면 모르겠지만 위의 경우에서는 억울하시더라도 어쩔 수 없는것 같습니다.
  • 저 같아도 관련실험 사례 당연히 써서 낼거같은데.. 보통 시험문제가 쉬우면 디테일하게 교수들이 점수를 매기겠죠??
  • 교수님이 처음부터 채점기준을 정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시험 답안지들을 보고 좀 더 구체적인 채점기준을 정하는게 문제가 있습니까??

    만약 교수님이 저러한 채점기준을 정했는데 따로 설명해준적도 없고 책에도 없는 내용이 들어갔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설명도 하고 책에도 있었다면 저는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라는게 당연히 쉬운 문제입니다. 그런데 서술형 문제라는게 답을 적는 것 보다 얼마나 정확하고 많은 내용을 서술하느냐가 중요한 것 아닌지요?? 또한, 저렇게 채점기준을 정하셨다면 분명히 채점기준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서술한 학생들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자세하게 많은 내용을 서술한 학생들은 님이 원하는 채점기준을 적용시 오히려 역차별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채점기준을 말해주는 교수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채점기준은 말 그대로 채점기준이기 때문에 사전에 채점기준을 알고 시험을 친다면 당연히 그에 맞게 답안을 작성할테니 시험 공정성도 떨어질 것 같습니다.

    님이 억울한 것은 충분히 알겠으나 반대로 교수님이 정한 기준도 틀린 부분은 없다고 보입니다.
  • 이건 너무 애매해서 덤벼도 학교 측은 교수편이에요. 님 같으면 길면 4년보고 말 학생편을 들겠어요 정년까지 25년 ~ 30년 교수편을 들겠어요?
  • 자퇴ㄱㄱ하세여
  • 근데 사실 논술형 답변이라면 구체적 사례제시나 최근의 동향등을 언급하며 본인 논지강화는 당연한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 대학시험은 주관식이기 보단 서술형이기 때문에 아닐까요
  • 신입생이거나 문과강의 처음 들은 이과생이신듯ㅋㅋ나도 진짜 문제 쉬워서 답 다적고 30분 일찍 나왔는데 씨제로랑 디쁠받았어요ㅋㅋ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을 적으면 틀린답이되는 문과강의 수준에 크게 데이고 학점 깎이고 지금은 메이저 공기업에서 잘먹고 잘사는중
  • 대학교 서술형시험이면 기본적으로 답을 쓰기전에 그 답이 나오기 위한 과정을 쓰는게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이나 공학같은 경우는 계산과정이 되겠고, 문과라면 이미 언급하셨듯 답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는 실험이 대표적인 예가 되겠네요
  • 일반적으로 채점에대한 이의제기가 문제있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근데 이 경우 저게 "서술하시오"식의 주관식문제라면 저 교수님 채점방식은 지극히 합리적이라고 생각됩니다.
  • 단답도 아니고 서술형일 경우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 이상한거맞아요 글쓴이님 참으소
  • 단순 한문장 정도를 적는 문제라면 님 말이 맞지만.
    서술형은 그래서 서술형입니다. 무조건 더 잘 적는 사람한테 고득점 주는게 당연한거죠.
    그럼 상대평가는 이해되시나요?
  • 와씨 6년전에 윤리강의 출석다하고 시험 열심히썻는데 C+나왔었는데.. 이런식으로 쓰는거였구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2281 이런게 초식남인가요17 무거운 냉이 2014.05.15
162280 기계진동 이시복 교수 강의7 창백한 석곡 2014.04.12
162279 집에서 월급관리 때문에 다퉜습니다.34 추운 옥잠화 2014.02.19
162278 자유관 여성 전용12 생생한 백목련 2018.05.19
162277 기숙사 측에서 안전 대책발표했네요17 촉박한 갈대 2018.12.17
162276 장전 3구역 재개발지역 내 원룸 보증금 반환 거부 문제7 착실한 산국 2014.09.16
162275 일본 여자 많은 지역 있나요11 피로한 다닥냉이 2014.02.17
162274 페북에 모르는 사람이 친추 걸어요10 초연한 인삼 2013.08.05
162273 정말궁금합니다2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1.10.09
162272 남이보는 내 얼굴 어플6 코피나는 분꽃 2017.03.15
162271 매운 방구냄새...4 가벼운 산단풍 2014.12.09
162270 의장대 군기 심하나요8 특별한 꽃댕강나무 2016.12.16
162269 피임약56 짜릿한 곰취 2014.07.04
162268 동생이 수시를 치고 학교선택에 고민이 많습니다. 사범대 재학생분 답변부탁드려요22 외로운 수박 2013.12.07
162267 사자 직업 서열50 적나라한 앵초 2019.09.16
162266 여자친구 취업선물이요10 까다로운 싸리 2015.02.01
162265 허벅지 고민..35 키큰 개쇠스랑개비 2014.06.20
162264 건설관 옆 부산대 고시원 살아보신분?8 진실한 가지 2013.05.13
162263 여자가 옷 짧고 붙게 입고다니면18 난폭한 새머루 2015.05.01
162262 부산국제영화제 자원봉사4 때리고싶은 달래 2013.06.27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