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쓴이2019.02.12 17:29조회 수 543댓글 19

    • 글자 크기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신고하시고 감수하시면 됨
  • 저라면 공지가 없었어도 관련실험, 사례등등 다 공부해서 적었을거 같아요
  • 저런 교수님 너무 싫어요..
  • 저도 비슷한 경험있는데 점수깎였었네요 다음부터는 앞뒤 부연설명 그래프 등등 아는거 다적으라고 하시던데요.. 솔직히 이해안갔음
  • 물론 저도 공지 없었다는 점은 맘에 안들지만 윗분과 같은 의견입니다
  • 처음부터 채점기준을 말한 다음, 말을 바꾼것이라면 모르겠지만 위의 경우에서는 억울하시더라도 어쩔 수 없는것 같습니다.
  • 저 같아도 관련실험 사례 당연히 써서 낼거같은데.. 보통 시험문제가 쉬우면 디테일하게 교수들이 점수를 매기겠죠??
  • 교수님이 처음부터 채점기준을 정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시험 답안지들을 보고 좀 더 구체적인 채점기준을 정하는게 문제가 있습니까??

    만약 교수님이 저러한 채점기준을 정했는데 따로 설명해준적도 없고 책에도 없는 내용이 들어갔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설명도 하고 책에도 있었다면 저는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라는게 당연히 쉬운 문제입니다. 그런데 서술형 문제라는게 답을 적는 것 보다 얼마나 정확하고 많은 내용을 서술하느냐가 중요한 것 아닌지요?? 또한, 저렇게 채점기준을 정하셨다면 분명히 채점기준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서술한 학생들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자세하게 많은 내용을 서술한 학생들은 님이 원하는 채점기준을 적용시 오히려 역차별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채점기준을 말해주는 교수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채점기준은 말 그대로 채점기준이기 때문에 사전에 채점기준을 알고 시험을 친다면 당연히 그에 맞게 답안을 작성할테니 시험 공정성도 떨어질 것 같습니다.

    님이 억울한 것은 충분히 알겠으나 반대로 교수님이 정한 기준도 틀린 부분은 없다고 보입니다.
  • 이건 너무 애매해서 덤벼도 학교 측은 교수편이에요. 님 같으면 길면 4년보고 말 학생편을 들겠어요 정년까지 25년 ~ 30년 교수편을 들겠어요?
  • 자퇴ㄱㄱ하세여
  • 근데 사실 논술형 답변이라면 구체적 사례제시나 최근의 동향등을 언급하며 본인 논지강화는 당연한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 대학시험은 주관식이기 보단 서술형이기 때문에 아닐까요
  • 신입생이거나 문과강의 처음 들은 이과생이신듯ㅋㅋ나도 진짜 문제 쉬워서 답 다적고 30분 일찍 나왔는데 씨제로랑 디쁠받았어요ㅋㅋ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을 적으면 틀린답이되는 문과강의 수준에 크게 데이고 학점 깎이고 지금은 메이저 공기업에서 잘먹고 잘사는중
  • 대학교 서술형시험이면 기본적으로 답을 쓰기전에 그 답이 나오기 위한 과정을 쓰는게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이나 공학같은 경우는 계산과정이 되겠고, 문과라면 이미 언급하셨듯 답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는 실험이 대표적인 예가 되겠네요
  • 일반적으로 채점에대한 이의제기가 문제있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근데 이 경우 저게 "서술하시오"식의 주관식문제라면 저 교수님 채점방식은 지극히 합리적이라고 생각됩니다.
  • 단답도 아니고 서술형일 경우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 이상한거맞아요 글쓴이님 참으소
  • 단순 한문장 정도를 적는 문제라면 님 말이 맞지만.
    서술형은 그래서 서술형입니다. 무조건 더 잘 적는 사람한테 고득점 주는게 당연한거죠.
    그럼 상대평가는 이해되시나요?
  • 와씨 6년전에 윤리강의 출석다하고 시험 열심히썻는데 C+나왔었는데.. 이런식으로 쓰는거였구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2283 대실영은 cbt 빼고 따로 시험없나요?)2 슬픈 바위솔 2020.05.08
162282 동일범죄 동일처벌 ㅠㅠ4 머리나쁜 초피나무 2020.05.08
162281 여름계절수강편람.. 이게 끝인가요4 해괴한 매듭풀 2020.05.08
162280 국어 비문학 정복하셨던분들 질문이요!22 즐거운 구름체꽃 2020.05.08
162279 [레알피누] 정컴 복전하고 싶은데 질문 있습니다.4 운좋은 참개별꽃 2020.05.08
162278 부산 거주 20대, 이태원 클럽서 용인 확진자 접촉 확인5 답답한 국수나무 2020.05.08
162277 장전치과 사랑니 발치 잘하나요?3 짜릿한 밤나무 2020.05.08
162276 플라토 알림 뜰때마다 무섭다2 애매한 물억새 2020.05.08
162275 긱사 환불2 때리고싶은 타래붓꽃 2020.05.08
162274 친구가 없어...16 유능한 물달개비 2020.05.08
162273 미대 학우분들께 질문드립니다2 피곤한 미모사 2020.05.08
162272 [레알피누] 혹시 학교에서 학식 드신분??1 게으른 백선 2020.05.08
162271 유산균 추천 부탁드려요!!!(즙 같은 건강식품도!)5 조용한 궁궁이 2020.05.08
162270 여자 피티 추천 부탁드려요~~~~~11 화려한 거제수나무 2020.05.08
162269 금정구 맨하탄치과 사랑니발치 잘하나요? 짜릿한 밤나무 2020.05.08
162268 헤어진지 3달이 됐는데 아직도 프사를 안내리는 남친53 초연한 층층나무 2020.05.08
162267 모국어가 영어인 사람들은 부럽네용6 진실한 수박 2020.05.08
162266 금융권 경제공부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2 해박한 매발톱꽃 2020.05.08
162265 일선 패스페일 기준4 의젓한 각시붓꽃 2020.05.08
162264 [레알피누] 계절학기 운영계획 올라왔었네요2 어설픈 떡갈나무 2020.05.08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