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응력이 좋은 이공계생은 영어가 엄청 귀중한 자산

글쓴이2019.05.23 03:09조회 수 536댓글 10

    • 글자 크기

* 반말, 욕설시 게시판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1&aid=0010841142

 

통일 후 안정만 된다면 이런 걱정도 없어지는데 말이죠. . 독일도 통일하고 20년이나 지나서 모병제로 바꾸었으니까요.

징병에서 모병으로 못 가는 이유는 사실 경제적인 이유보다

명백한 주적의 수를 고려하면 우리가 수를 줄일 수 없다는 데에 있지요.

연구원들 이야기론 경제(월급) 부분은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으나 수가 지금의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질거라죠?

 

복무기간 단축, 병역거부, ILO 협약, 예체능-이공계병역특례 ... 군 관련해서 많은 변화가 있었고, 있을 예정입니다.

출산율 감소로 인한 병력자원이 감소하는 중이고, 조금 있으면 급감할 것은 뻔히 보이는 미래입니다.

공익 ILO 문제는 현역병 선택권을 준다는데 세세한 이야기는 더 있지만 4급 현역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판단은 있단 얘기겠죠.

예비군도 현 200만이 넘는 수준에서 70만 명 정도면 충분하다는 주장이 있고 70만 명에게 단독군장 수준 밖에 지급할 수 있는 장비가 없음에도 정예화 이야기만 있지요.

지금 현역병은 50만 수준으로 줄이지만 앞으로 필요하다면 어떻게든 끌어다 쓸 수는 있다 뜻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개인이 군인으로 적합한가를 판단하는 게 아니라 군이 필요한 수준으로 기준을 계속 바꾸는 것은 늘 있어왔으니까요.

 

대체복무가 '특혜'였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니 전문연구요원 현역병으로 다 바꾸는 수순으로 갈 것은 명백해 보입니다.

개인이 군인으로 적합한가를 따지지 않는 국군이면서 대체 무엇이 누구에게 특혜인가 하는 것은 할말하않. 주제에서 벗어나고 싸움만 날 것 같으니.

아무튼 가이드라인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진학을 고민하는 3,4년 정도 사이에 이렇게 중요한 제도가 졸속으로 변경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니 외국 문화에서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이공계생은 여러가지로 시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어차피 박사전문연구요원도 영어가 필요하고, 이정도 수준의 공부를 할 사람은 논문과 학술대회 때문에 꼭 할 영어니까요.

본인은 학술적인 능력은 크게 뛰어나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이 드시나요?

그것보다 기본은 영어입니다. 영어가 부족하면 판에 올라설 수도 없어요.

외국 생활에 두려움이 없는 이공계생이라면, 가정이든 군이든 여기에 붙잡힐 이유가 없는 사람이라면 영어 붙잡으세요.

 

엉엉... 제가 영어를 못해서 하는 이야기입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36363 영어 과외하시는분 어떻게하시나요? ㅜㅜ9 해괴한 애기참반디 2015.08.18
36362 smp나 카플러스 동아리 지원하면 잘 떨어져요??13 특별한 등대풀 2015.09.03
36361 도서관 추석 연휴 휴관이라고 돼있던데10 센스있는 가시오갈피 2015.09.12
36360 폭스바겐 골프를 예전부터 사고싶었는데6 따듯한 금붓꽃 2015.10.06
36359 진리관 밥..14 밝은 별꽃 2015.11.29
36358 면접때문에 결석하면4 황홀한 대추나무 2015.11.30
36357 어학연수13 정중한 백정화 2015.12.12
36356 기계과전과성공하신분들만...16 귀여운 클레마티스 2015.12.12
36355 북문 근처 투룸이나 쓰리룸 사시는 분들? (방 2개인!!)19 초라한 아까시나무 2016.01.05
36354 부산대 물리학과분들 도와주세요ㅠㅠ4 머리나쁜 관중 2016.01.30
36353 부경대3 천재 더위지기 2016.03.17
36352 토목=ㅈ목3 바보 유자나무 2016.03.24
36351 지금도 국숭>=부산대라는데 15년후쯤에는..4 적절한 짚신나물 2016.07.25
36350 원룸 전기세3 피로한 패랭이꽃 2016.07.29
36349 [레알피누] 학점으로 생각이 많아지는 저녁이네요9 자상한 홍초 2016.10.24
36348 고토 교수님 누가 괜찮을까요6 해맑은 벌깨덩굴 2016.11.14
36347 특수교육과 분 만나서 연애하고픈데..6 깔끔한 천남성 2017.04.05
36346 일어일문학과 수업 jlpt n2 자격증 있으면 충분히 따라갈 수 있나요?24 보통의 측백나무 2017.04.20
36345 4.5 받으시는 분들 많나요?5 눈부신 쑥 2017.07.03
36344 8대전문직8 우아한 흰씀바귀 2017.12.0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