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과

글쓴이2019.12.11 11:18조회 수 467추천 수 1댓글 5

    • 글자 크기

* 반말, 욕설시 게시판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

안녕하세요. 전자공학과 학생분들에게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친구가 부산대 전자공학과로 편입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공계열쪽 지식이 기초보다 못한 수준이라서 갈피를 못잡고 있더라구요.

편입을 위해 전공공부를 시작하려 하는데 수학은 기초적인 수학부터 시작해서 미적분까지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기학,회로이론 등등 주전공 공부에 들어가기 앞서 물리1,2 공부를 마친 뒤에 시작할지 아니면 바로 전공서적으로 공부를 할지 고민이라 전자공학과 학생분들 혹은 편입생분들의 도움을 받고자 질문드립니다.

이 외에도 다른 좋은 공부방향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물리는 회로부분만 수학은 미적분 삼각함수 벡터 필요
  • @병걸린 여뀌
    글쓴이글쓴이
    2019.12.11 14:38
    감사합니다ㅎㅎ
  • 일반물리를 마치고 하는게 아니라 병행하면서 하는걸 추천드려요.
    차피 일반물리 초반에는 에너지 보존 운동량 보존 등 에너지 개념은 모든 학문 기본이고

    그 다음 유체역학 고체역학 정역학 동역학은 일물 수준이면 쉽고 전자과 목표면 크게 크리티컬 하지않아서 빠르게 보고 넘기고

    그 다음 전자기파트는 일물에선 간단한데 전자기학은 수식이 많고 높은 이해도른 필요로 합니다. 즉 병행으로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며 병행해서 해야합니다. 기초물리가 부족하다면요.

    회로이론은 일물에선 개념설명이고 굉장히 쉬운데 사실 회로이론은 회로보고 해석하는게 핵심이라 일물모르고 해도 옴의 법칙, LC 특성과 공학수학 조금만 알면 회로보고 전류방향, 부하에 걸리는 전압 등 구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회로는 일물과 별개로 할수있다고 생각됩니다.

    전자기파트 다음은 광학, 열역학, 양자인데 깊게 안들어가서 쉽습니다. 광학은 특히 광학기구, 렌즈의 초첨거리 계산 등인데 전자과에 크리티컬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알아보고 필요하다 싶으면 깊게 공부하는걸 추천드리고

    열역학도 마찬가지입니다. 양자는 크리티컬 할것같네요. 고체물리를 과목명만 다르지 반도체 수업을 하니까 슈뢰딩거방정식, 전자에너지 준위상태 등 다 필요할 거에요.

    요약하면 일물을 마스터하고 전자기학 회로를 손댈게 아니라 병행하면서 일물을 빠르게 훝고 회로이론이랑 전자기학을 깊게 파는걸 추천드립니다. 주전공공부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일물에서 찾아보는 식으로.
    물론, 초반 에너지 개념, 뉴턴법칙은 기본이고 미적분 공부도 기본입니다.
  • 아 물론 전 전자과 학생은 아닙니다...
    그래도 대략적인 커리큘럼은 전체적으로 아는편이라 제 경험을 말씀드린거구요.

    너무 기초가 아에 안되서 전자기학 첫부분부터 1도 이해가 안간다 싶으면 더 쉬운교재 찾아서 공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냉정한 루드베키아
    글쓴이글쓴이
    2019.12.11 22:07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실거라 생각못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5745 .38 잘생긴 시금치 2017.12.30
165744 공군 방공포어떤가요..?38 방구쟁이 비비추 2017.11.26
165743 네버랜드쪽 미친놈38 거대한 흰괭이눈 2017.11.21
165742 [레알피누] .38 배고픈 우산이끼 2017.10.16
165741 도자위는 왜 일을 이렇게 처리하나요?38 찌질한 대나물 2017.09.13
165740 인성 나치들 납셧네여38 쌀쌀한 솔새 2017.08.28
165739 [레알피누] 여동생 남미여행38 외로운 돈나무 2017.08.23
165738 부산대 교직원 전화응대 태도...38 생생한 거제수나무 2017.07.26
165737 부모님하고 오사카 2박3일 여행 팁좀 부탁드려요 ㅜㅜ38 머리좋은 먹넌출 2017.07.17
165736 엄마란 정말 대단한거 같습니다.38 과감한 청미래덩굴 2017.07.12
165735 부산대 출신 공인노무사입니다. 후배님들 아르바이트 관련 문제 도움드리고 싶습니다.38 상냥한 비목나무 2017.07.11
165734 젤나가 맙소사...38 해맑은 극락조화 2017.06.09
165733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38 참혹한 이고들빼기 2017.05.29
165732 남녀불문 모쏠/ 연애고자38 서운한 부레옥잠 2017.05.27
165731 인문대 분들 궁금해서 여쭤봅니다.38 예쁜 수세미오이 2017.05.08
165730 혹시 동생 수료식 혼자 가본분 계신가요38 병걸린 둥근바위솔 2017.04.21
165729 역시 조선38 절묘한 큰개불알풀 2017.03.24
165728 5급 공채 전국이랑 지역이 있던데요38 포근한 자작나무 2017.03.23
165727 와 전화안받는다고 ㅈㄹㅈㄹ하는 학생도 있네요38 해박한 아프리카봉선화 2017.02.17
165726 야한데 감성적인?노래 추천해주세요!38 어리석은 빗살현호색 2016.10.30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