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과

글쓴이2019.12.11 11:18조회 수 466추천 수 1댓글 5

    • 글자 크기

* 반말, 욕설시 게시판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

안녕하세요. 전자공학과 학생분들에게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친구가 부산대 전자공학과로 편입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공계열쪽 지식이 기초보다 못한 수준이라서 갈피를 못잡고 있더라구요.

편입을 위해 전공공부를 시작하려 하는데 수학은 기초적인 수학부터 시작해서 미적분까지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기학,회로이론 등등 주전공 공부에 들어가기 앞서 물리1,2 공부를 마친 뒤에 시작할지 아니면 바로 전공서적으로 공부를 할지 고민이라 전자공학과 학생분들 혹은 편입생분들의 도움을 받고자 질문드립니다.

이 외에도 다른 좋은 공부방향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물리는 회로부분만 수학은 미적분 삼각함수 벡터 필요
  • @병걸린 여뀌
    글쓴이글쓴이
    2019.12.11 14:38
    감사합니다ㅎㅎ
  • 일반물리를 마치고 하는게 아니라 병행하면서 하는걸 추천드려요.
    차피 일반물리 초반에는 에너지 보존 운동량 보존 등 에너지 개념은 모든 학문 기본이고

    그 다음 유체역학 고체역학 정역학 동역학은 일물 수준이면 쉽고 전자과 목표면 크게 크리티컬 하지않아서 빠르게 보고 넘기고

    그 다음 전자기파트는 일물에선 간단한데 전자기학은 수식이 많고 높은 이해도른 필요로 합니다. 즉 병행으로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며 병행해서 해야합니다. 기초물리가 부족하다면요.

    회로이론은 일물에선 개념설명이고 굉장히 쉬운데 사실 회로이론은 회로보고 해석하는게 핵심이라 일물모르고 해도 옴의 법칙, LC 특성과 공학수학 조금만 알면 회로보고 전류방향, 부하에 걸리는 전압 등 구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회로는 일물과 별개로 할수있다고 생각됩니다.

    전자기파트 다음은 광학, 열역학, 양자인데 깊게 안들어가서 쉽습니다. 광학은 특히 광학기구, 렌즈의 초첨거리 계산 등인데 전자과에 크리티컬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알아보고 필요하다 싶으면 깊게 공부하는걸 추천드리고

    열역학도 마찬가지입니다. 양자는 크리티컬 할것같네요. 고체물리를 과목명만 다르지 반도체 수업을 하니까 슈뢰딩거방정식, 전자에너지 준위상태 등 다 필요할 거에요.

    요약하면 일물을 마스터하고 전자기학 회로를 손댈게 아니라 병행하면서 일물을 빠르게 훝고 회로이론이랑 전자기학을 깊게 파는걸 추천드립니다. 주전공공부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일물에서 찾아보는 식으로.
    물론, 초반 에너지 개념, 뉴턴법칙은 기본이고 미적분 공부도 기본입니다.
  • 아 물론 전 전자과 학생은 아닙니다...
    그래도 대략적인 커리큘럼은 전체적으로 아는편이라 제 경험을 말씀드린거구요.

    너무 기초가 아에 안되서 전자기학 첫부분부터 1도 이해가 안간다 싶으면 더 쉬운교재 찾아서 공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냉정한 루드베키아
    글쓴이글쓴이
    2019.12.11 22:07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실거라 생각못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5743 사람이.하루 3시간만자고 살수있나요?10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1.09.28
165742 졸업학점보다 초과해서 들으면 어떻게 되나요??5 엄격한 모란 2014.12.31
165741 똥싸고 왜 손 씻어야하죠?44 나약한 숙은노루오줌 2014.12.02
165740 한의대 30대에 가도 비전 있을까요?12 눈부신 병아리난초 2016.02.07
165739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7 황송한 대팻집나무 2013.12.13
165738 남자분들 예대여자 어때요?34 참혹한 산딸나무 2012.11.28
165737 유속이 빠르면 압력이 낮아지는 이유?7 저렴한 사람주나무 2015.03.16
165736 헤어진 남자친구가 제번호를 다시 등록했는데..8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1.08.14
165735 남자분들 여름 결혼식 때 옷 어떻게 입으세요?4 느린 물봉선 2013.06.23
165734 나 놀리는 이남자 뭘까요?14 난감한 개망초 2012.06.03
165733 장학금 질문하세요69 포근한 차이브 2015.01.07
165732 SK 이노베이션vs 한수원 vs 현차48 즐거운 소리쟁이 2014.08.15
165731 9급공무원vs중소기업14 푸짐한 나도바람꽃 2015.05.11
165730 시네떼 잘! 쓰시는분들25 큰 갓 2015.01.26
165729 여친이 여성시대를 하는데 잘 아는 분 있으신가요30 끌려다니는 조개나물 2019.05.22
165728 부산 여드름흉터치료 피부과11 미운 도꼬마리 2018.12.24
165727 공무원과 학점...14 싸늘한 고욤나무 2013.10.21
165726 부산의 양아치 밀집지역이 어디어디인가요?20 태연한 감초 2016.10.10
165725 [레알피누] 부산대부심은 아닌데.. 타대학에서 이상한 경험을 했네요;;96 현명한 쇠별꽃 2018.09.23
165724 번호 따였습니다.9 사랑스러운 램스이어 2017.10.08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