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소속 연구소, 산합협력단 행정사무원 계약직 많이 불안정한가요?(취업조언 간절합니다)

글쓴이2020.04.27 10:32조회 수 666댓글 17

    • 글자 크기

부산대학교 소속 연구소, 산합협력단 행정사무원 계약직이

정규직 전환 불가라 적힌 것도 많고 1년단위 재계약 적힌 것도 많네요.

 

무기계약직 전환 적힌 건 거의 드물던데...

1년단위 재계약 하면서 2년 초과근무하면 정규직 될 수 있나요?

 

몇 군데 전화해보니 사업기간 정해져있거나 5인미만이면 정규직 전환해줄 의무가 없어서

정규직 전환은 기대할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

 

 

국립대학교 소속 기관 행정사무원 계약직으로 시작해도 예를 들어 5년 사업종료 후 계약종료되고 나왔을 때

30대 초중반 여자가 이직하기가 쉬울까요?

 

29살.... 부산대 인문대학 졸업 여자가,

취업할 곳을 선택할 수 있다면

국립대학교 소속 연구소나 산합협력단 행정'계약직'(정규직 전환이 쉬울지 아닐지 

잘 모르겠어요) VS 법무법인 (변호사사무실 ex.법무법인 송인) 송무 등을 담당해주는 행정사무원 정규직...

 

뭐가 더 나을까요?

 

 

학교에서는 1년단위 재계약, 사업기간 종료된 후 계약종료,  아예 2020.X.X.~2021.X.X(2년미만)

등 공고를 올리지만... 교수님, 연구원들과 잘 소통하고 일잘하면 정규직 전환시켜주는 경우도 흔하게 있나요?

 

 

아예 작은 사무실이나 회사라도 정규직 자리로 계속 찾아봐야하는지, 학교소속 계약직(근무환경이 나을 것 같아

찾아보는데 고용안전성이 너무 없으면 포기해야할 것 같아요)도 두들겨봐야하는지 조언부탁드려요.

 

 

++ 그리고 학교 소속 행정사무원 계약직으로 시작해서 계약종료되고 나왔을 때, 법무법인 송무 정규직 자리로

쉽게 이직가능한가요? 그런 곳에서 전혀 쓸모없는 경력이 될까요 (참고로 계약종료되고 나오면 미혼여자 30대 초중반이

되겠네요...)

 

++ 1년 X개월(2년미만)만 채우면 계약기간 끝나는 자리는 애초에 시작안하는게 나을지도 조언부탁드려요. 

이런 경력이 정규직 이직에 크게 도움안된다면 아주 작은 곳이라도 그곳부터 시작해야하는지 막막합니다.

방향성을 조언주시면 감사합니다.

 

그리고 학교소속 계약직 행정사무원보다 나은 금정구, 동래구 내의 정규사무직 뽑는 작은 업체나 회사추천주시면 감사합니다.

 

약국전산원도 알아보고 있는데 정규직 전환이 불투명한 학교소속 계약직 행정사무원보다 작은약국의 정규직 형태의 전산원 등 

직원으로 취업하는게 나을까요? 

 

 

p.s. 그리고 학교소속 연구소나 산학협력단 행정사무원 계약직은 사무실에 보통 몇 명이 같이 쓰나요? 개인적인 공간이나, 개인플레이(?)도 가능한 자리인가요. 단체생활이 많은 구조의 채용자리인가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보통 칸막이 있을거임 근데 취업할데 전혀 없으면 행정계약직 일 하면서 학교 행정실 조교각 노려보세요 근데 행정계약직 자체는 학교에서 하면 회사취업하는데는 도움 안될거임 왜냐면 흔히 말하는 사회생활의 예절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
  • @게으른 고추
    글쓴이글쓴이
    2020.4.27 12:04
    대신, 부산대학교나 기타대학 계약직 자리 구하기는 쉬울까요? 대학교 행정직원으로 계속 뱅뱅돌며 살ㅈ수 있을까요?

    연구소 행정계약직으로 있으면 부산대학교조교자리 구하는 방법이 쉽게 보이게 되나요? 조교채용공고는 도저히 안보이더라구요

    법무법인 송무일에 취업하는데는 전혀 도움이 안되는 경력인가요?
  • @글쓴이
    법인에는 도움 안됩니다 상고애들 뽑지 님 뽑을 이유가 없죠 그리고 제가말한건 연구소에서 일하다가 공고 올라오는거 보고 잘 캐치하라는 의도였습니다 각 과 홈페이지 보면 자주 조교채용 공고 올라옵니다 한번 확인해보시지요
  • @게으른 고추
    글쓴이글쓴이
    2020.4.27 12:37
    과홈페이지에 조교공고가 올라왔군요...
    저는 부산대 채용페이지에서만 봤거든요;;
    과 조교는 보통 정규직되는 경우많나요?ㅠㅠ
    연구소 행정사무원보다 과조교가 고용안정성, 업무량, 개인플레이 환경 등 더 나을까요
  • @글쓴이
    제가알기로 정규직은 아닌데 공무원에 준하기 때문에 개차반만 아니면 됨 업무량이나 갠플은 캐바캐라 뭐라말하기가 힘드네요
  • @게으른 고추
    글쓴이글쓴이
    2020.4.27 15:13
    고용안정성은 없어도 계약종료 후
    안정적이고 여자들 다니기 괜찮은 곳에 쉽게 이직될까요?
  • 보통 헤드 헌터들 기준으로 봤을때 경력 최소 3-5년 정도는 해야 경력있구나 하고 생각해요..
    그리고 솔직히 이직 가능하다고 해도 여자 기준 나이를 봤을때 기회가 한 번 정도? 아님 없을수도 있어요..
    당장 급하신 맘이 있을수도 있지만 좀더 안정적인 직장을 알아 보시고 지원 하시는게 맞는 듯합니다.. ㅠ
  • @겸손한 끈끈이주걱
    글쓴이글쓴이
    2020.4.27 15:12
    동네약국전산직 정규직으로 들어가는게 더 안정적일까요?ㅠ 5년뒤에 학교행정계약직으로 나오면 약국전산 정규직에 쉽게 들어갈 수 있을까요?

    애초에 약국전산 정규직부터 찾는게 나을까요?ㅠ

    여자 30초중반에 학교행정계약직 종료되고 나오면 갈 곳이 그렇게 없나요?ㅠㅠ 어떡하지요...

    좀 더 안정적인 직장,,, 뭐가 있을까요... 금정구 동래구 내에서 근무가능한 곳 찾고있어요

    법무법인 변호사 사무실 송무정규직은 어떤가요?
  • @글쓴이
    안정적이고 금정구 동래구 이렇게 특정 지역 내에서 근무 하고 싶으면 아시겠지만.. 지방 공무원이 제일 좋지요..
    송무 업무 이면 이리 저리 돌아 다닐일이 많을듯 한데요.. 사무 업무만 시킬거 같진 않네요..
    공무원이 아니라면 기업에 들어가시는게 여러므로 이득이 될듯 싶어요..
    계약직은.. 좀.. 아닌거 같아요.. ㅠ
    약국 전산도 좀 아닌거 같아요..ㅠ
  • @겸손한 끈끈이주걱
    글쓴이글쓴이
    2020.4.27 18:26
    금정구, 동래구 내 안정적인 기업 추천주실 수 있나요? 부산대 학과조교 공고는 각 과별 홈페이지를 일일이 확인해야하나요?ㅠ
    부산대 학과조교 쉽게 볼 수 있는 사이트 링크있나요? 아니면 과홈피를 일일이 수시로 확인해야하나요?

    약국전산직원보다는 학교계약직이 나을까요?
  • @글쓴이
    약국 전산은 알바수준 아닌가요..? 알바 전산업무 해봐서ㅠㅠ
  • @글쓴이
    솔직히 말해서 집이 좀 산다면 어느 것을 해도 상관없을거 같아요..
  • 학과조교는 십년인가 일하면 준공무원 대우를 받는다고 들었어요
    월급이 많지는 않지만 일 자체가 어렵지도 않고
    교수님들이 힘들게만 안하면 할 만한 것 같아요
    물론 과마다 다르겠지만요
    전 괜찮은 것 같아요!
  • @촉박한 둥근바위솔
    글쓴이글쓴이
    2020.4.27 18:18
    학과조교가 산학협력단 계약직 행정직보다 더 안정적이고 정규직 될 가능성이 높나요? 학과조교는 정규직 전환으로 못박고 계약시작한게 아니더라도 몇년근무 괜찮게하면 대개 정규직으로 전환되나요?
  • @글쓴이
    일단 조교는 계약직이에요
    잘리지 않고 십년 일하면 교직원으로 대우 받는다고 들었어요
    산학협력단은 정규직이 되기가 힘든 걸로 알고 있고 계약직만 계속 뽑는 것 같아요
    도움 못 드려서 죄송해요ㅠㅠ
    요즘 학점은행제 같은 거 많이 하시던데 사회복지나 보육교사 자격증 따시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요?
  • @촉박한 둥근바위솔
    혹시 잘리지 않고 조교 십년 해서 교직원 대우 받는 사람 본적 있나요..? 아님 그냥 그렇다더라 하는 건가요..?
    궁금해서 문의해 봅니다..
  • @겸손한 끈끈이주걱
    네 한 분 봤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2028 버거킹이 문제가 아닙니다...23 눈부신 개쇠스랑개비 2018.11.25
162027 토익시험장 유락여중 VS 경남공고6 살벌한 담배 2016.10.11
162026 부산에서 스쿠터 여행하기 좋은가요?24 진실한 떡갈나무 2015.05.08
162025 방뺄때 보증금,,,10 냉정한 병꽃나무 2015.01.10
162024 애인있는 여자랑 사귀고 싶어요6 한심한 배롱나무 2012.03.26
162023 'Girls can do anything=야 기분좋다' 라고 봐도 되는 건가요?28 병걸린 콜레우스 2018.02.24
162022 공무원과 공기업 중 어떤게 나을까요?32 코피나는 뻐꾹채 2017.06.10
162021 부산 모 대학 사회학과 교수이신 저희 어머니 말씀29 깨끗한 물억새 2016.05.23
162020 아버지가 야동보시는걸 봤습니다13 못생긴 선밀나물 2016.01.26
162019 비싼 펜 쓰시는 분들15 깨끗한 풍선덩굴 2014.05.02
162018 수강신청 팁!13 코피나는 청미래덩굴 2013.08.12
162017 4학년 1학기때 몇학점 듣나요??16 어설픈 꼭두서니 2013.04.26
162016 서면 만화방추천좀해주세요 피로한 닭의장풀 2013.03.28
162015 얼굴살 빼는법 엄나용18 부지런한 노루참나물 2013.10.21
162014 복복숭은 실존인물입니까?33 괴로운 투구꽃 2017.12.12
162013 갑자기 피지분비폭발ㅠㅠ 호주비타민 skin b53 나쁜 풍란 2016.05.12
162012 남자분들 여자 패션중에 레깅스 왜 싫어해요?25 조용한 벼룩나물 2014.11.22
162011 대기업취업하면 복장12 질긴 우산이끼 2014.06.18
162010 부산대 왜이렇게 무시당하는거죠..17 병걸린 은방울꽃 2017.11.15
162009 티트리오일(뾰루지), 더바디샵 질문23 힘쎈 솜나물 2015.08.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