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경제는 잘 모르지만 부동산..

이상한 작약2021.08.01 22:56조회 수 512추천 수 1댓글 14

    • 글자 크기

지금은 뭔가 사람들이 일을 해서 은행에 저금을 하고 돈을 모으기보단 돈 있는 사람은 부동산을 해서 재산을 불리는것 같아요. 집값이 계속 오르니까요. 돈 없는 사람은 어떻게든 한탕해서 집 사려고 주식이나 코인 같은거 손을 대는것 같구요. 집이라함은 결국에는 그곳에 살 사람이 있어야 의미가 있는거잖아요. 지금 출산률은 네이버 기준 0.918이네요. 의학이 발전함에따라 평균연령이 높아져서 출산률이 떨어진다고 당장에 전체 인구수가 급감하지는 않겠지만 언젠가는 인구수가 많이 줄어들것 같거든요. 수도권 집중 현상또한 갈수록 심해지고 있구요. 당장 지방대 입결만 봐도 떨어지는게 눈에 보이기 시작한것 같아요. 무슨 말을 하고 싶냐고요? 제가 집을 살때는 집값이 많이 내려가있길.. 물 떠놓고 기도합니당..

* 반말, 욕설, 정치글 작성 시 게시판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

    • 글자 크기
제가 경통대 주전공인데 경영 복전이 됐어요 (by 도도한 과꽃) 제가 겪은 '그분' 들의 지리는 이중성 사례 하나 투척 (by 교활한 혹느릅나무)

댓글 달기

  • 기도하는 사이 집값 더 오를껄ㅋㅋ 최대한 빨리 사는게 맞는듯.
  • @겸손한 윤판나물
    아직은 코로나 영향도 있고 사람들이 돈 그자체보다 부동산이나 코인등 물질적인것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하고 있어서 더 오를것 같아요.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수도권의 집은 정말 날이 갈수록 값이 뻥튀기 되겠죠. 이로인한 빈부격차도 심해지는것 같구요. 인구가 줄어도 부동산을 많이 가진 사람이 독점을 하는 시기도 있겠죠. 하지만 언젠가는 부동산을 많이 가진 사람들이 오를만큼 오른 부동산의 가치를 금전으로 환산하고 손절을 하는 시기가 오지 않을까요? 그게 제가 집을 살쯤인 8~10년정도 후는 아닐것 같지만요..ㅎㅎ시2발 수도권의 집은 여전히 비싸겠지만 비수도권의 집들은 언젠가는 떨어지지 않을까요..
  • @글쓴이
    비수도권도 괜찮은 지역은 계속 오르고 있는 추세라서 수도권이든 비수도권이든 거주할 집은 직장 있으면 대출 + 집안 지원 받아서 최대한 빨리 사는게 맞다 봅니다.
  • @겸손한 윤판나물
    저 아직 학생이에요.. ㅠㅠ 취업부터해야.. 개미투자자들 마냥 오를만큼 오른 부동산을 사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후 떨어진 집값을 보게되는건 아닌가 두렵네요. 지금은 계속 오를것 같아요.
  • @글쓴이
    취업부터 하고 걱정해보세요. 직업 구하면 대출 땡겨서ㄱㄱ
  • @겸손한 윤판나물
    따로 경제 공부를 하거나 정책적인 내용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알고 있는건 아니라서 그냥 제 뇌피셜입니다..
  • 코로나가 끝나서 금리를 올리면 주식이나 코인은 조정이 많이오겠지만 부동산같은 실물자산은 떨어진다해도 많이 안떨어집니다. 출산률은 먼 얘기같고 나중에는 부동산 값 안 떨어트리려고 해외자본 받을수도 있죠
  • @멋진 주걱비비추
    해외자본을 많이 받으면 일반적으로 원화의 가치가 높아진다는데 그럼 돈의 가치가 올라가니 부동산의 가치는 떨어지는거 아닌가요?
  • 그거 암? 부자들은 수십채 들고있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집값 떨어지면 더 사겠지 안떨어 뜨릴려고
  • @나쁜 금낭화
    떨어지기전에 팔고 해외로 가던가 다른데 투자하겠죠. 집을 한채씩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 자기가 살던집이 어느 순간에 집값이 떨어지는걸 보게 되겠죠. 당장은 아니고 몇십년 후의 얘기 같아요..
  • @글쓴이
    몇십년 후에 집값 떨어질 걱정을 집도 없는 친구가 왜 하는거야??ㅋㅋ
  • @겸손한 윤판나물
    요즘은 또 대기업에서 짤리면 뭐 해야될지도 고민중입니다.
  • 화폐가치는 떨어지지만 자산가치는 안떨어질듯...
  • 그럴 일은 없음
    다른나라들을 보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34344 제가 구경다니는 몇몇 군소 커뮤니티에 저희 학교 기숙사 이야기가 올라왔군요;;1 보통의 애기메꽃 2017.12.31
134343 제가 교수님 면담을 햇거든요1 과감한 굴피나무 2016.07.05
134342 제가 교생실습 나와서 수업하는데 고민이 있어요 ㅠㅠ7 다친 명자꽃 2018.05.09
134341 제가 과제제출 시간을 착각해서ㅠㅠ10 재미있는 붉은토끼풀 2020.04.27
134340 제가 과가 인문댄데7 날렵한 단풍나무 2019.07.31
134339 제가 공학인증을 하지 않습니다. 부전공이나 복수전공 필수인가요?13 고고한 가죽나무 2014.02.08
134338 제가 공학교육인증학과 다니는데 교양이...3 세련된 비짜루 2016.08.10
134337 제가 고시원을 구할려고 하는데5 싸늘한 자리공 2019.10.01
134336 제가 고1을 가르치고있는데요..학습방법질문..4 더러운 고추 2014.02.18
134335 제가 계절학기 수강신청하고 돈을 납부 안해서 취소 되어있는줄 알았는데3 허약한 개비자나무 2016.08.08
134334 제가 계과인데, 수치해석 다른과에서 들어도 인정해줄까요?10 유쾌한 익모초 2013.07.03
134333 제가 경통대 주전공인데 경영 복전이 됐어요11 도도한 과꽃 2018.01.29
제가 경제는 잘 모르지만 부동산..14 이상한 작약 2021.08.01
134331 제가 겪은 '그분' 들의 지리는 이중성 사례 하나 투척53 교활한 혹느릅나무 2018.04.08
134330 제가 게임을 처음사보는데용8 괴로운 봄구슬봉이 2016.01.06
134329 제가 간단히 법공부를 하고 있는데5 근엄한 분단나무 2020.05.30
134328 제가 가지고 있는 소쿠리 사진2 명랑한 말똥비름 2015.03.27
134327 제가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지식을 말로 잘 표현하고싶습니다.1 뛰어난 쑥 2015.03.23
134326 제가 tv 오디션 프로그램 한번도 본 적 없는데7 더러운 물아카시아 2018.05.11
134325 제가 9급 검찰직시험을 공부하고 싶은데4 기발한 큰까치수영 2020.04.12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