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시험과 고시는 구분하여 쓰는게 좋지 싶습니다.

글쓴이2013.09.05 14:06조회 수 1791추천 수 1댓글 15

    • 글자 크기

고시는 뭐 여러가지 다양한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뭐 사법고시 고등과 뭐 이런 소리는 지나치게 오래된 소리고요...

아무리 그래도 통상적으로 상당한 수준과 퀄러티를 갖고 사회적으로 상위직종이라고 인정받는 직업군에 들어가는 관문이 되는 시험을 고시라고 하는데...

요새는 교사임용시험, 9급 공무원시험, 7급 공무원 시험, 공기업 시험, 심지어는 대기업 시험까지  벼라별 시험을 죄다 고시라고 표현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건 좀.,. 아닌거 같네요.

 

고시는 엄밀하게 말해서 사시, 행시, 외시, 입시 등 까지고요. 

조금 더 폭넓게 허용해주자면 회계사, 감정평가사, 변리사, 노무사, 변호사 시험 등 몇가지 최고 수준의 사자돌림 자격사시험까지를 말하는게 통상적인 경우입니다.  

그외는 그냥 시험이라고 부르시면 될거 같아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입시 ㅋㅋㅋㅋ
  • @천재 목화
    글쓴이글쓴이
    2013.9.5 14:43
    입법고시요 ㅋㅋㅋ
  • 명사
    1.
    어떤 자격이나 면허를 주기 위하여 시행하는 여러 가지 시험. 주로 공무원의 임용 자격을 결정하는 시험을 이른다.
  • ①학력(學力)을 알아보고 자격(資格)을 주는 시험(試驗)
    ②공무원(公務員) 시험(試驗)
  • 한글사전이랑 한자사전에 고시 검색하니 이렇게 나오네요 사전이 틀린건가요? 글쓴이가 고시가 높을 고를 쓴다고만 생각하신것 같은데 생각할 고,살필 고를 써서 고시라고도 하네요 아는척 하려다 망신당하셨네 ㅎㅎ
  • 이젠 수능도 고시구만 기래
  • @방구쟁이 새박
    입법고등고시로 국회사무관 뽑는 시험입니다
  • 음 갑자기 이런 글이 왜올라왔나여 논쟁이 있었는가보네여
  • 시험이름이 임용고시 이런데어떡하라는건지ㅋㅋㅋ
  • @적나라한 감자
    정식명칭은 임용시험이죠
  • 글쓴이분... 잘 모르시면 알아보고 글 쓰세요..

    공무원등의 임용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과거에 고시라고 했습니다.

    과거 사법시험의 경우에는 모두 판사나 검사로 임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법고시로 불렸고,
    행정고시의 경우에는 5급 공무원 공개채요을 목적으로 했기때문에 행정고시 였습니다.

    이후 사법시험의 경우에는 변호사로 진출하는 경우가 더 많아져서 본래의 의미인 고시라는 명칭
    보다는 사법시험의 명칭으로 바뀐겁니다.

    수준운운하며 고시니 시험을 비교하기 전에 어떻게 해서 그러한 명칭이 사용되게 된 것인지를
    알고 쓰시기 바랍니다.
  • @잘생긴 자리공
    과거에는 고등고시령에 의한 정식명칭이 사법고등고시, 행정고등고시였습니다 그래서 고시라고 불리게 된 거구요 사시를 규율하는 법이 사법시험법으로 바껴 최근에는 사법시험이라고 부른답니다 행시 역시 5급 공무원 공개 경쟁 채용 시험이구요 법원 행시나 입시 같은 경우는 아직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그리 불러야 마땅합니다
  • @천재 부레옥잠
    종래에는 고등고시 사법과이고 연수제도가 생기면서 연수를 받기위한 자격시험격으로 사법시험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고등고시의 경우 고시라 부르는 것이 마땅하나, 사시생들에게 뭐 준비하냐고 물었을 때, 저 고시준비해요 라고 대답할때 쓰는 고시는 고등고시와는 그 의미를 달리하지않나 하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시험에 아무렇게나 붙여쓰는 고시의 의미도 이와 같지 싶습니다.
  • @천재 부레옥잠
    정식명칭이 그러한 이유도 앞서 말씀드렸다 시피 자격시험 이전에 임용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행정고시의 명칭이 최근에야 바뀌게 된 이유도 그러하죠.
  • 고시부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7401 [레알피누] 군 내 5행시 공모전 참가하는데, 투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ㅠㅠ7 정중한 송장풀 2020.04.19
17400 [레알피누] 국제학과 잘 아시는 분 있으면 도와주세요!20 보통의 주름잎 2016.05.26
17399 [레알피누] 국제경영 이기환교수닛ㅇ 책3 치밀한 머루 2019.03.15
17398 [레알피누] 국장에 대해..7 활달한 지느러미엉겅퀴 2014.08.18
17397 [레알피누] 국선변호사에 대해서 잘알고계신분 있으신가요?ㅜ12 해괴한 우엉 2018.07.15
17396 [레알피누] 국문과 들을 만한 일선 있나용?1 배고픈 꽝꽝나무 2014.01.31
17395 [레알피누] 국내교류신청 성적인정서1 착잡한 꽃며느리밥풀 2020.12.21
17394 [레알피누] 국내 교환학생 질문입니다.1 처참한 꿩의밥 2018.03.27
17393 [레알피누] 국가장학금 질문있어요ㅠㅠ5 날씬한 털중나리 2017.06.13
17392 [레알피누] 국가근로말고 교내근로장학생8 착실한 국수나무 2019.01.03
17391 [레알피누] 국가근로 과사 많이들 하세요?1 푸짐한 노랑코스모스 2017.02.20
17390 [레알피누] 국가 장학금 9분위이면4 섹시한 겨우살이 2019.03.25
17389 [레알피누] 교환학생 선발기준에서 학점이랑 어학성적 비율이 어떻게되나요!?2 꼴찌 느티나무 2016.05.21
17388 [레알피누] 교환학생 가보셨던분들4 황송한 램스이어 2017.03.01
17387 [레알피누] 교직이수...1 화난 노랑꽃창포 2018.11.01
17386 [레알피누] 교직이수&W1 어두운 둥근잎나팔꽃 2017.04.05
17385 [레알피누] 교양인데 같은 과목 W를 두번 이상 + 막학기 6학점6 천재 뜰보리수 2018.03.15
17384 [레알피누] 교수님도 마이피누 하시나요?8 화려한 돈나무 2013.05.30
17383 [레알피누] 교수님 메일 보낼때5 착한 넉줄고사리 2019.11.16
17382 [레알피누] 교대랑 통합시 교대가 엄청 손해인가요?29 근엄한 꽃마리 2018.09.29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