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공부가 실무라고 하시는 데 대학교는 학문 배우는 데지

어리석은 오이2013.10.03 21:11조회 수 1842댓글 22

    • 글자 크기
취업 전문학교 아니네요

나중에 가면 인적성검사 과목 생길 듯

고등학교 전문대도 학부 기초지식 다 배우네요
    • 글자 크기
공대 공부량 (by 절묘한 개불알꽃) 공대 공부; (by 눈부신 유자나무)

댓글 달기

  • 학부에서 배운것이 쓸모 없다고 하시길래 학부 내용이 실무에서 기초가 된다고했지 공대공부가 실무라고는 얘기하지 않았습니다.
  • @답답한 박주가리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24
    밑에 실무라고 떡하니 적었네요 일종의 자격이지
  • ???

    공대 공부는 실무가 아니고

    공대 대학원 공부는 실무다?

    석사, 박사는 좀 더 심도 있게 공부하면서도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을 터득하기 위해 가는 곳이지, 어디 대기업 R&D 센터 석박사때 터득한 지식을 실무에 적용해서 취업하려고 가는겁니까?
  • @뛰어난 붓꽃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32
    석박사는 연구도 하면서 동시에 기업이랑 프로젝트하면서 경험 쌓네요 공대 석박사들 중에서도 순수학문 전공한 공대생들은 취업도 못하네요
  • @글쓴이
    말이 괴리가 있네요. 공대에 순수학문이라뇨?

    기업연계 프로젝트를 하지 않는 연구실이라고 하시는게 옳겠군요.
    그리고 기업 연계 연구를 하지 않더라도 취업하는 경우 봤습니다.

    내 주변의 경우가 A니 세상이 A, 좀 달라봐야 A'''겠지 하는 생각 아닌가요?
  • @뛰어난 붓꽃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45
    순수학문 있네요 영남대 전기과 박주현 교수 보시면 알건데요 제어공학 분야 논문에 거의 상위권 수준이지만 정작 기업에서는 쓸모 없어요
  • @글쓴이
    제어공학에 대해 잘 모릅니다만, 제어공학을 순수하게 이론만을 위한 학문이라고 볼 수 있나요?
    단지 지금 당장의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는 것이 아닐 뿐인거죠.
    기업과 연계해서 얻는 결과물만이 의미있다면 그건 기업의 사외 연구개발실이죠.
    아주 싸게 먹히는.
  • @뛰어난 붓꽃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56
    슬프게도 우리나라 대학교들은 기업사외연구소네요 국가 지원이 열악하니 생긴 일이지만
  • 학문이라고 단정지을게아니라 실무기초배우는것같은데요. 제강회사도 철을 알아야 그래도 일하는데 도움이 될것이고 설계하는데도 도면을 읽고 쓸줄알아야 하는것처럼요. 자동화사회지만 회사가서 버튼만 누르면 로봇이 알아서해주겠지가 아닌거같은데요?? 그래서 교수님들도 수업하실때 책만읽는게아니라 경험도 말씀해주는거임.
  • @배고픈 애기참반디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33
    실무 기초는 아무나 배울 수 있고 우리는 학문 공부하는거에요
  • @글쓴이
    일상에서 배우고 듣고 하는게 사회에가서 도움이 된다면 실무를 배운거겠죠 마찬가지로 대학에서 학문을 배웠지만 그게 기업에서 도움이 된다면 실무를 배웠다고해도 되겠죠 이 글쓴이는 대학가기위해 고등학교에서 공부한것도 부정할라고그라네 뭐 이딴글이다있나요
  • @활동적인 뱀고사리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44
    고등학교는 확실히 대학교 가기 위해서 공부하는 건 실무로 갈 애들은 실업계 가잖아요?
  • @배고픈 애기참반디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41
    지금 우리가 배우는 건 처음 부터 실무에 적용 된 줄 아시나봐요? 미국은 무슨 할 일 없어서 국가가 교수들한테 돈 주나요? 실무에 연연하지 말고 학문 적인 성과를 내야죠 우리나라 교수들은 워낙 지원이 적으니 자연스럽게 기업이랑 연계하면서 학문보다 실무를 우선시 하니
  • 이제그만...
  • 공대에서 배우는 학문은 기업에서 실무로써의 가치가 있다는 말로 받아들이면 되는 것 아닐까요? 실무를 배우러 온 것은 아니지만서도 기업에서 그 학문이 자기들한테 필요하다는데 뭐 어쩌겠어요 싸우지들맙시다
  • @황홀한 피소스테기아
    글쓴이글쓴이
    2013.10.3 21:50
    이게 맞네요 하다보니 맞아 떨어진거지 실무 배울려고 대학교 간게 아니네요
  • 답답. . .
  • 머 생각의 차이인거 같네요 전 실무랑 이론이 서로 배타적인 관계라고 생갇해본적이 없거든요 좀더 고급실무를위해 대학와서 더배우는거 아닌가요?? 머 그쪽은 학문을 위한 학문을 우선시 하시믄 것 같지마만 저는 결국엠 사람들을 좀 더 윤택하게 만드는 것이()
  • @난폭한 왜당귀
    글쓴이글쓴이
    2013.10.3 23:03
    삶을 윤택하게 하는 건 모든 학문의 목표죠 고로 모든 학문들은 실무에 적합하다는 소리네요 공학만 그런게 아니라
  • @글쓴이
    무슨말을 하고싶으신건지 모르겠네요
    자기가 쓴글 제목부터 보고오세여
    그리고 댓글은 논리비약이네요
    내용자체는 동의합니다 모든건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삶과 관련되어있습니다 꼭 기업에서 잉하는것만이 실무는 아니니까요
  • 머 생각의 차이인거 같네요 전 실무랑 이론이 서로 배타적인 관계라고 생갇해본적이 없거든요 좀더 고급실무를위해 대학와서 더배우는거 아닌가요?? 머 그쪽은 학문을 위한 학문을 우선시 하시믄 것 같지만 저는 결국엠 사람들을 좀 더 윤택하게 만드는 것(실무)이 목적이라고 생각해서요 그리도 실무를 너무 좁은 범위로 생각하시는 것같네요 기업에서 일하는 것만이 실무는 아닙니다
  • 진심 답답...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42639 공대 과제 이면지로 내도 될까요14 자상한 홍초 2017.11.22
42638 공대 과목 복전하시는분들 억울한 타래붓꽃 2018.04.21
42637 공대 과 축구동아리2 무좀걸린 구름체꽃 2018.03.04
42636 공대 과 수석하면1 괴로운 인동 2018.02.14
42635 공대 과 수석졸업 하면 장학금 같은거 주나요?7 돈많은 베고니아 2015.12.10
42634 공대 공학인증안하는것 취업시 불이익있나요?5 큰 진달래 2017.02.04
42633 공대 공학인증+부전공5 뚱뚱한 목련 2017.07.13
42632 공대 공학용 계산기 언제부터 쓰나요?8 다부진 맨드라미 2019.03.03
42631 공대 공학미적분학4 즐거운 상사화 2016.04.20
42630 공대 공부량20 절묘한 개불알꽃 2019.01.07
공대 공부가 실무라고 하시는 데 대학교는 학문 배우는 데지22 어리석은 오이 2013.10.03
42628 공대 공부;11 눈부신 유자나무 2017.12.19
42627 공대 공부; 눈부신 유자나무 2017.12.19
42626 공대 공부 어렵나요??13 머리좋은 쥐오줌풀 2018.02.15
42625 공대 공부 어려운거 맞음16 바쁜 딸기 2013.10.03
42624 공대 공부 방향5 나쁜 백화등 2021.12.15
42623 공대 공부11 뚱뚱한 꽃기린 2017.12.17
42622 공대 공모전5 애매한 시계꽃 2018.10.07
42621 공대 공기업(ex.에너지)근무 현실.mang20 육중한 수양버들 2019.12.08
42620 공대 공기업 취직시 한국사가 필요한가요?4 자상한 영춘화 2017.02.08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