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신문

왜 지금 <자본론>인가

부대신문*2013.11.04 10:56조회 수 337댓글 0

    • 글자 크기
     올해는 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5.5~1883.3.14) 사망한지 130년이 된 해다. 마르크스와 그의 대표 저작인 <자본론>은 오랫동안 억울한 오해를 받아왔다. 자본주의를 전복시키고 전체주의를 옹호한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오해 속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를 파괴하려는‘악마’로 <자본론>은 악마의‘금서’처럼 여겨지던 시절도 있었다. 여기 마르크스와 <자본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조금 더 쉽게 읽는 방법에 대해 김완(경제)강사가 정리했다. -편집자 주 군사독재 시절엔 ‘악마의 마


원문출처 :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3086
    • 글자 크기
경쟁에 매몰된 대학사회, 건학정신으로 돌아가자 (by 부대신문*) 캠퍼스를 바라보며 (by 부대신문*)

댓글 달기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부대신문 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나도 이제 가정주부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학내 구성원 눈높이의 평가 필요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90년대를 기억함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역사를 찢어버린 교과서, 학생들만 모르고 있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일터로서의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한국정치의 비전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진리, 자유, 봉사’를 다시 생각한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전교조라는 적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시에는 ‘정답’이 없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잘못된 가치관을 전염시키는 바이러스, 모두가 반대한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시(詩)의 진화, ‘미래파’부터 ‘디카 시’까지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역사 왜곡의 이유, 그것이 알고 싶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시의 죽음’이라는 괴소문에 관하여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불량품을 해부하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끊이지 않는 역사 왜곡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사주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엿보자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어두운 노동현실 속, ‘그래도 희망’은 있다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경쟁에 매몰된 대학사회, 건학정신으로 돌아가자 부대신문* 2013.11.04
부대신문 왜 지금 <자본론>인가 부대신문* 2013.11.04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