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대 교류로 수강에 관하여 제가 알려드릴게요.

글쓴이2013.11.09 21:35조회 수 4799추천 수 12댓글 11

    • 글자 크기

1. 일단 학과에서 타대에서 이수할 모든 과목을 하나하나 미리 허가 받아야 타대 교류를 할 수 있어요. 거기서 벗어난 과목을 신청하면 안됩니다. 일단 학과에 타대 교류 관련해서 상담하러 가면 부산대보다 낮은 학교에서 타대 교류 수업 듣는다고 하면 인정안해주는 과가 꽤 있고요.  인정해준다해도 타당한 사유를 대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부산에 거주하는데 단순히 집이 가깝다고 하여 부산대보다 수준이 낮은 학교에서 수업듣는다고 하면 허가 안해주는 곳이 많아지죠. 계절학기는 조금 덜한 편이지만...  일단 기본적으로 눈치밥은 약간 먹게 됩니다. 

 

2. 일반선택 과목은 타대에서 이수해도 어느정도 인정해주는 편인데요. 전공 인정은 꽤 힘듭니다. 일단 전공필수는 원칙적으로 인정안해주고요.  전공선택의 경우, 단순히 제목만 유사한게 아니라 강의계획서상 자기 학과 해당과목의 강의계획서와 유사해야합니다.  참고로 저도 올해 2학기 때 타대 이수하려 하였으나 눈이 빠져라 봐도 제목이 유사한 것도 찾기 힘든데... 커리큘럼까지 유사한 과목찾는 것은 더더욱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과목 있다고 해도 교수가 봐서 아니면 아닌겁니다. 상황이 이러니 듣고 싶은 과목 듣는 것은 꿈꾸기 힘듭니다. 당연히 시간표 조절은 사실상 불가능....

 

3. 참고로 학과에서 미리 인정받고 타대 이수 신청한다고 해서 타대에서 부산대생들 챙겨줄거라 생각할 수 있는데... 천만의 말씀.... 물론 그런 곳도 일부 있겠지만 그런 곳인지 아닌지 미리 알 방법이 별로 없다는 사실.... 타대에서 그 학교 학생들과 똑같이 경쟁해서 수강신청해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못하면 XX 됩니다. 심지어는 자기 학교학생들만 희망과목담기 할 수 있게 해놓고 타대교류학생들은 희망과목담기 못하게 막아두는 경우도 많아요. 원래 예정한 과목 못듣게 되면 다시 강의계획표 출력하여 학과에 인정여부를 물어봐야하지요... 이거 안물어보고 신청하면 나중에 수업 다 듣고 학점 나와도 학점 인정 못받습니다. 이거 완전 하루하루 간떨어지는거에요...     

 

4. 참 교양과목을 타대에서 이수하고 싶은 경우는 일단 교양 필수는 원칙적으로 타대 이수 안되고요. 교양선택은 부산대에서 관련 개설학과에서 인정해주면 되긴하는데 기대하지 마세요.

 

5. 성적과 관계해서도 유의하실 점이 있는데요... 해당 학교에서 A+라고 부산대에서 A+되는거 아닙니다. 부산대는 95점~100점까지 A+이라고 하는데요. 학교에 따라 93점~100점 까지가 A+인 곳이 있는데... 그 학교에서 93, 94점으로 A+받았으면 부산대 오면 A+이 아니라 A로 격하됩니다. 그런데 우리 학교를 생각해보면 사실 100점으로 A+받는 사람 거의 없죠... 95점부터 97점 사이 A+가 대부분인데요. 교류간 학교에서 93점부터 A+라면 95점 넘기고 A+받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라고 판단됩니다.

 

6. 그리고 수준 낮은 학교 가면 학점 잘 받겠지~생각하고 오직 그거 하나 바라고 갔다가 뒤통수 맞는 경우도 많은데요. 부산대생들끼리 따로 모아 점수를 매긴다거나 혹은 절대평가를 해버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참고로 제 친구 부산 모 대학가서 절대평가하는 바람에 평소 나오는 학점보다 훨씬 더 안나왔습니다.

 

타대 교류학생 가려면 세부적으로 알아볼게 너무 많고... 재수없으면 수업은 실컷듣고 학점 인정은 원래 예상했던 전공이 아니라 일선으로 인정받는 그런 상황이 벌어지기도 해요. 일단 원하는 과목은 거의 수강신청이 불가한 경우가 많고... 시간표 조절은 꿈도 꾸기 힘든건 거의 그렇고요... 학점인정의 최종적 결정이 획일적인 기준에 의한 것이 아니라 획일적 기준+학과조교와 교수의 심리적 요인에 기인하기 때문에... 신경쓸 것도 너무 많죠.

모든 리스크와 불편함을 각오하고서라도 타대계절 들을 수 밖에 없다는 경우 빼고는 그냥 학교에서 수업듣는게 낫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다른 학교서 수업들으면 학점 잘 나오겠지 생각하시고 지원하시는 경우는 절대 없으시길...

 

 

P.S 가장 중요한 것을 빼먹었는데요... 타대 이수로 들을 수 있는 최대 학기 수와 학점이 정해져있습니다. 잘 모르고 했다가 나중에 다 듣고 나서 인정 못받는 경우도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제가 듣긴 들었었는데 기억이 잘 안나네요. 전체적인 기준이 있고, 그 기준 외에 학과별 개별적 방침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과가 마지막 학기는 타대교류 허가 안해줍니다.  타대에서 부산대로 성적 이관하는데 꽤나 오랜 시간이 걸려서... 제때 졸업을 못하게 되는 케이스가 많거든요. 우기면 해줄거 같기는 한데 본인이 리스크는 감당하셔야되요.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64460 부산대 앞 고시텔 6개월계약만 되는가요?4 야릇한 털중나리 2013.05.05
164459 공인노무사 집체교육 받고 있어요. 질문받습니다^^31 침착한 벼룩나물 2017.01.03
164458 무릎에 종기?여드름?8 청결한 고추 2016.12.05
164457 ☆선착순 200명☆☆치킨☆아이스크림 + 토익책46 유쾌한 창질경이 2016.06.24
164456 원룸 전기온수기 써보신분..도와주세요 ㅠ11 잘생긴 코스모스 2016.08.31
164455 숭실대갤러리에 15학번 입결 싸돌아다니네요18 게으른 겹벚나무 2015.04.25
164454 친구 5수해서 의대 갓던데 성공한거죠?8 난감한 왕버들 2016.09.22
164453 부산대졸 연봉3000중견기업 vs 고졸 9급공무원17 어리석은 비비추 2014.10.04
164452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19 나약한 디기탈리스 2017.05.27
164451 온천장역 삼정그린코아나 현대성우오스타 살아보신 분 계신가요??17 짜릿한 자두나무 2018.03.30
164450 와 대기업 민간기업 줄초상나네 ㅋㅋㅋㅋ25 고고한 방풍 2020.03.14
164449 선관위 7급 준비하는 분들 계세요?1 현명한 봉선화 2014.06.17
164448 부산에서 PEET 시험 준비하기 힘드네요..7 머리나쁜 꼬리조팝나무 2012.05.29
164447 생활속의 유전자(박범준) vs 생물의 세계(김병기) 들어보신분계세요??ㅋㅋㅋㅋ3 다부진 개불알꽃 2012.01.27
164446 매일 애인 만나야 되는게 부담돼요12 ♥ (부자 가는괴불주머니) 2011.08.18
164445 남자 바지길이 질문..3 건방진 병꽃나무 2014.01.22
164444 틱장애가 있었던 홍기호씨..4 피곤한 조록싸리 2017.10.27
164443 공익근무 경력 이력서에 넣어도 될까요?4 찌질한 돌피 2013.08.12
164442 보성각 미분적분학 연습문제 답 아시는분..?ㅠㅠ8 재수없는 뚱딴지 2013.06.24
164441 부산사람들은 맛을 잘 모르나요?54 일등 만첩빈도리 2014.10.3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