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책보다 어려운책을 더많이 읽어야 사고력이 향상되나요???!!!

세련된 다정큼나무2013.11.19 17:41조회 수 2248댓글 24

    • 글자 크기

쉬운책보다 어려운책을 더많이 읽어야할까요?

    • 글자 크기
도서관에서 빌린 책에 줄 좀 긋지 맙시다 (by 늠름한 왕버들) 여름에 비중격만곡증 수술하려는데요 (by 냉정한 찔레꽃)

댓글 달기

  • 알아먹지못한다면 읽어봣자 소용이없죠
    쉬운책부터 읽어야 합니다
  • 저는 잘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어려운책을 여러번 읽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운책일수록 처음읽을때 두번째읽을때 세번째읽을때 느낌이 많이 다르더군요 1회독이 어렵고 오래걸려서 그렇지 두번 세번째 되면 시간도 많이 안걸리더라구요~ ㅎㅎ
  • 쉬운 책부터 읽어보고 나서 질문합니다
  • @외로운 회향
    읽어 보고 나서 질문합니다
  • 전 쉬운책많이읽는거추천!
  • 본인의 난이도에 맞는 책을 선택합니다.

    참고로, 각 대학 인문교양 1학년 수업용 책이 20대로서는 가장 난이도에 맞을거라 예상되는 책이며,

    그것이 힘들때는 고교필독서, 중교필독서 식으로 난이도를 내려잡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독서에 할애하는 시간입니다.

    시간이 아무리 걸리더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완독하는것이 좋으며,

    틈틈히 시간 난다고 자투리시간에 열장 내외를 읽는것은 독서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주, 혹은 격주에 한번정도 충분한 시간을 내어 읽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촉촉한 부레옥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글쓴이
    정성스레 댓글 달아주신 분한테
    이게 뭔 싸가지지?
    명치 주 썌리고싶습니다.
  • 자신의 수준은 자신이 잘 알겠죠..
  • 케바케
  • 쉽고 어렵고의 차이는 이해 해야할 개념의 차이에서 온다고
    생각 합니다. 사고력이라 함은 생각하는 힘을 말하는 건데..

    쉬운책일지라도 다양한 방면의 이야기를 접한다면
    그만큼 사고의 폭이 넓어질 것이며
    같은 종류의 책이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어휘와
    상황을 접해 나간다면 그 또한 사고의 한계를 넓혀주지 않을까요

    어려운 책이라함은 독자가 그 방면의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이전의 독서로 향상된 이해력을 바탕한다고
    가정. 자세한 설명이나 주석이 없기 때문에

    어렵다 라고 인식 되는것 같습니다


    결론짓자면 사고의 폭과 다양성. 이해력을 넓히길 원한다면
    많은 종류의 기본서. 입문서등을 읽기를 권하고

    주어진 정보내의 추리. 추론등을 통해 전체를 보는 눈과
    본질을 바라보는 연습을 하고 싶다면 전문서를 권합니다.
  • @유별난 계뇨
    책을 한법 보고 끝내느게아니라 계속 읽고 또읽고 50번정도 읽어야되는건가요?
  • @글쓴이
    굳이 그럴 필요는 없는것 같은데요 전공서적도 아니고..

    책을 다시 보는건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다시 읽을때
    이전엔 못봤거나 놓쳤던 세세한 부분이 다시 보이기 때문이고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의 경험이 누적되고 사고방식이
    바뀌며 같은 책을 읽어도 다른게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 @유별난 계뇨
    책을 완전히 제껄로 만들고싶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ㅠ!!!!!
  • @글쓴이
    책에 나와있는 어려운단어 혹은 주석에 나온 참고문헌을 한번씩 읽어보시는것도 굉장히 도움 되실겁니다.
  • 댓글 달려고 들어왔는데 저 정성스레 달린 댓글에 ㅋㅋㅋ만 쓴것보고 기분나빠지네요 기본적인 예의를 인터넷상에서 바라는거는 욕심인가요
  • @기발한 복숭아나무
    죄송합니다 다시는 안그러겠습니다 용서해주세요
  • 그렇게까지 미안해하니 진심이 아니었던것 같아서 그나마 다행이네요. 제가 독서에 대해 하고싶은 말은 제 경험으로 비추어 보면 처음에는 호감가고 읽고싶은책 궁금해지는책을 그냥 읽습니다
    뭐 어려운책을 읽어야 하니 쉬운 책을 먼저 읽어야하니 이런식으로 독서를 의무적으로 생각하면 흥미를 붙이기가 힘들더군요
    그래서 처음엔 내가 흥미가는 책을 읽습니다. 소설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고요. 그러다보면 책에서 언급된 다른책이라든가 다른분야라든가 궁금한 분야 혹은 더 알고싶은분야가 생깁니다
    그러면 그 분야의 이름있는 책을 읽어보면 되고요.
    그리고 글을 써보면 알겠지만 책이라는게 한 사람의 생각을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책을 읽고 그냥 흘로보내기보다는 책 구석구석에 그 글귀에 대해 내 생각도 써보고 비교도 해보고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작가와의 대화라고 할수 있죠. 누가 그랬는데 사색없이 책을 읽는다는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하더군요. 폰으로 써서 제대로 전달이 됐는지 모르겠지만 모쪼록 책에 흥미를 붙이셔서 많이 읽고 많은 사고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기발한 복숭아나무
    음 그럼 책을 반복해서 보고 외우듯이 보면 될까요?
    정리하고 사색도 하구요?
  • 1시간 정독해서 10page 정도 이해할수 있는 책이 사고력 향상에는 적절한거 같습니다
  • 외우듯이 보는것은 전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어떤 종류의 책이냐에 따라 다르겠죠. 대학 서적같이 지식과 관련된 책이면 외우는게 나쁜 선택은 아닐지 모르나 세상에 좋은 책ㅇ이 정말 많고 읽을 책도 정말 많은데 그런 책들을 하나하나 무작정 많이 읽고 외우는 것은 비효울적이라 생각되구요 독서록이라든가 느낀점등을 일종의 독서감상문처럼 블로그나 공책에 써보는것도 추천합니다. 글쓴이님께서 생각하시는 독서의 목적이 우선 뭔지를 알아야 할것같네요
  • 오로지 사고력 향상이라는 측면만 봤을땐 아마 철학책이나 고전등을 읽어야 하겠지만 처음 읽는다면 무척 재미가 없더군요. 생각보다 많은 생각을 한 책중에 추천할 만한 책은 바로 정의란 무엇인가 인데요. 처음에는 그냥 대중들이 휩쓸려 산 베스트셀러 그정도밖에 생각을 안했는데 우연찮게 읽어보니 생각거리가 많더라구요. 저자가 질문을 던지는데 그에 대해 스스로 답을 내는 과정에서 사고력이라든가 자기 가치관이나 기준같은것을 세울수 있을 것같아서 좋아보였습니다
    . 시간나면 한번 읽어보세요. 사고력이란게 한 책을 무작정 많이 읽는다고 늘어나는게 아니라는건 글쓴이님도 아실것같아요. 한 책을 무작정 많이 읽는다고 그에 알맞은 경험과 사색이 없으면 그저 반복노동과 다를바 없죠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는거 그게 아마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1인 이었습니다
  • @기발한 복숭아나무
    많이 읽고 많이 생각 하겠습니다 그게 정답이네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너무 감동 받았습니다 !! 사랑합니다!!
    책 꼭 읽어 볼께요!
  • 아 그리고 그 책에 바탕이 되는 강의 동영상은 아시나요? 이비에스에서 방영해줬는데 지금은 다시보려면 유료일텐데 좀 그러시면 유투브에서 본것같은데 검색 해서 같이 보는것도 추천드려요. 아마 책이름 치시거나 저자이름 치시면 나올거에요 . 윗분이 말씀하셧듯이 꾸준히 짜투리 시간이라도 읽는 습관을 들이는게 가장 좋아요. 생각보다 하루에 버리는 시간이 많거든요. 통학을 하시면 지하철에서 읽어도 되고 화장실에서 혹은 자기전 삼십분 등 시간이 없어서 못읽는게 아니라는점만 알려드리고 싶어요 ㅎ 그러면 즐독하세요 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8626 도서관에서 빌린 책에 줄 좀 긋지 맙시다24 늠름한 왕버들 2013.11.16
쉬운책보다 어려운책을 더많이 읽어야 사고력이 향상되나요???!!!24 세련된 다정큼나무 2013.11.19
18624 여름에 비중격만곡증 수술하려는데요8 냉정한 찔레꽃 2014.03.23
18623 수강취소 학과에 직접가서 사정해도 오늘 안되겠죠? ㅜㅜ11 거대한 칼란코에 2015.04.03
18622 진심 할말있으면 본인한테하든가6 보통의 무화과나무 2015.04.05
18621 B+도배네요 ㅋㅋㅋㅋ6 질긴 산자고 2016.06.26
18620 B+로 도배됐네요ㅋㅋ3 치밀한 벌노랑이 2016.06.26
18619 정문 혼밥 추천13 깨끗한 애기봄맞이 2017.04.13
18618 만수출판사 제본 가격 원래 이런가요?3 나약한 털진득찰 2017.09.06
18617 최종면접 결과 기다리면서 뭐하셨나요?ㅠㅠ14 섹시한 붉은토끼풀 2017.11.23
18616 부산대 공대가17 흐뭇한 모시풀 2018.08.21
18615 알바못하게하는 부모님13 불쌍한 두릅나무 2018.08.30
18614 여명언니들 빨리 이수역 관련 입장발표 해주세요!!!12 민망한 붉은병꽃나무 2018.11.15
18613 방금 뭐에 찬성..?3 재수없는 변산바람꽃 2018.12.14
18612 .29 세련된 매화말발도리 2019.05.31
18611 내가 여친 안사귀는 이유43 잘생긴 마 2019.09.20
18610 ncs 잘하시는 분들 너무 부러워요..24 활달한 바위떡풀 2019.11.05
18609 풀리지않는 고민... 여성분들 어떻게 해야 될까요?10 키큰 병솔나무 2012.08.10
18608 공기업 준비할까요?6 엄격한 개연꽃 2013.05.18
18607 조교 때리고싶다7 친근한 풍접초 2013.08.31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