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판별법점ㅜㅜ

글쓴이2014.01.19 23:10조회 수 2482댓글 14

    • 글자 크기
판별식 내놔욯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 2a분에 -b +-루트 b^2-4ac
  • @날씬한 파
    ㄱㅅ
    저 썸인듯
  • @똑똑한 사마귀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야식으로 추천 먹고 가셈
    유리유리 하지마루용 ♥
  • @날씬한 파
    덕분에 내일 고백하러갑니다
  • @날렵한 금새우난

    ㅎㅎㅎ 잘되시길 빕니다
    유리유리 하지마루용 ♥

  • @날씬한 파
    물론 쓰리썸
  • @날씬한 파
    ㅋㅋㅋㅋㅋㅋㅋ아 너무 귀엽네요ㅋㅋㅋㅋㅋㅋ 글쓴이님이나 빠른 파님이나ㅋㅋㅋㅋㅋㅋ 둘다 짱귀
  • @흔한 익모초
    유리유리 하지마루용 ♥
  • 조건 1 : 내가 상대방에게 마음이 있다
    조건 2 : 상대방이 나에게 마음이 있음을 확신한다
    두 조건이 모두 만족할때 썸.
    단, 조건 2의 경우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지표들을 참고 바람.
    1) 내가 만나자고 할 때에 주저없이 응한다(또는 먼저 만나자고 한다)
    2) 서로 연락하며 대화가 즐겁고 자연스럽다
    3) 스킨십에 대한 거부반응이 없다
  • 썸여부를 체크(check)하는 체크섬 함수

    체크섬(checksum)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전자 통신)이나 시간(기억 장치)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통신에서 순환 중복 검사(CRC)을 체크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체크섬은 나열된 데이터를 더하여 체크섬 숫자를 얻고, 정해진 비트수의 모듈라로 정해진 비트수로 재구성 한다. 단순 덧셈 방식과 순환 중복 검사의 계산 방식과는 차이가 있으나, 많은 경우 순환 중복 검사의 결과를 체크섬이라고 말하므로 단순 덧셈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기본적인 메시지 구성 요소(보통 비트)를 추가하여 결과값을 저장함으로써 동작한다. 나중에 누구나 데이터에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무결성 검사에 대한 결과를 비교할 수 있으며, (체크섬이 맞아 떨어지는지 확인해 봄으로써) 메시지가 손상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을 활용한 시스템을 설계할 때, 프로그램은 주로 C언어로 작성한다. C 언어는 컴파일러와 링커에 의해 최종 결합하면 기계어 코드의 묶음이 나온다. 이것이 실행파일(헥사 파일, hexa)인데, 메모리에 써서 CPU가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 실행파일에 체크섬을 적용하여 줄 단위로 오류를 검증한다. 인텔과 과거 모토로라(현재 프리스케일, 반도체 칩 제조사)에서 사용 하였다. 여기서는 정해진 형식에 따라 바이트 단위로 단순 덧셈을 하여, 1바이트 모듈라를 취해 최종 값을 만든다. 이것을 해당라인의 끝에 오류 체크용으로 붙여 파일을 만든다.

    목차 [숨기기]
    1 체크섬의 예
    2 순환 중복 검사 (CRC,cyclic redundancy check)
    3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파일 체크섬
    3.1 인텔 방식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실행파일 체크섬의 예
    3.2 모토로라 방식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실행파일 체크섬의 예
    4 인터넷에서의 16비트 체크섬 방식
    5 같이 보기
    체크섬의 예[편집]

    단순한 체크섬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이 4 바이트의 데이터가 있다고 치자: 0x25, 0x62, 0x3F, 0x52
    1 단계: 모든 바이트를 덧셈하면 0x118이 된다.
    2 단계: 캐리 니블을 버림으로써 0x18을 만든다.
    3 단계: 0x18의 2의 보수를 얻음으로써 0xE8을 얻는다. 이것이 체크섬 바이트이다.
    체크섬 바이트를 테스트하려면 원래 그룹의 바이트에 체크섬 바이트까지 모두 더하면 0x200이 된다.
    다시 캐리 니블을 버림으로써 0x00이 된다. 0x00이라는 뜻은 오류가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오류가 있어도 우연히 0x00이 될 수도 있다.)
    순환 중복 검사 (CRC,cyclic redundancy check)[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순환 중복 검사입니다.
    인터넷 등의 통신시스템에서 오류검증에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TCP/IP, MAC 등의 계층에서 오류검증으로 사용한다. 정해진 다항식이 결정되어 있고, 이것에 따라 송신 쪽에서 계산하여 헤더에 붙여 보내면 수신 쪽에서 다시 계산하고 보내진 체크섬과 비교한다.

    경우에 따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법으로 계산한다. 상황에 따라 개발자가 설계 결정하고 구현한다. 보통 TCP/IP등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 대부분이고, 밑의 계층으로 갈수록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파일 체크섬[편집]

    프로그램 후 생성후 실행파일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으나 아스키 코드에 의한 텍스터 파일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정해진 포맷에 따라 줄단위로 오류검증을 한다. 각줄의 마지막에 체크섬 숫자를 붙인다.

    인텔 방식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실행파일 체크섬의 예[편집]
    :10010000214601360121470136007EFE09D2190140
    :100110002146017EB7C20001FF5F16002148011988
    :10012000194E79234623965778239EDA3F01B2CAA7
    :100130003F0156702B5E712B722B732146013421C7
    :00000001FF
    Start code
    Byte count
    Address
    Record type
    Data
    Checksum

    데이터만 더하면

    :100130003F0156702B5E712B722B732146013421C7
    FF + 10 + 01 + 30 + 3F + 01 + 56 + 70 + 2B + 5E + 71 + 2B + 72 + 2B +73 + 21 + 46 + 01 + 34 + 21 = 538
    한바이트로 모듈라를 취하고, 다시 1의 보수를 취하면 계산이 끝난다. ~38 = C7

    인텔에서 제시한 체크섬은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a

    unsigned char CalcChecksum(unsigned char *data, int leng)
    {
    unsigned char csum;

    csum = 0xFF;
    for (;leng > 0;leng--)
    csum += *data++;
    return ~csum;
    }
    모토로라 방식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실행파일 체크섬의 예[편집]
    S00F000068656C6C6F202020202000003C
    S11F00007C0802A6900100049421FFF07C6C1B787C8C23783C6000003863000026
    S11F001C4BFFFFE5398000007D83637880010014382100107C0803A64E800020E9
    S111003848656C6C6F20776F726C642E0A0042
    S5030003F9
    S9030000FC
    Start code
    Record type
    Byte count
    Address
    Data
    Checksum


    데이터만 더하면

    S111003848656C6C6F20776F726C642E0A0042
    11 + 00 + 38 + 48 + 65 + 6C + 6C + 6F + 20 + 77 + 6F + 72 + 6C + 64 + 2E + 0A +00 = 4BD
    4BD에서 한바이트로 모듈라를 취하고, 0xFF에서 빼면 계산이 끝난다.

    FF - BD = 42

    모토로라에서 제시한 체크섬은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unsigned char CalcChecksum(unsigned char *data, int leng)
    {
    unsigned char csum;

    csum = 0;
    for (;leng > 0;leng--)
    csum += *data++;

    return 0xFF - csum;
    }
    인터넷에서의 16비트 체크섬 방식[편집]

    송신측
    메시지를 16비트 워드로 나눈다.
    처음 검사 합 워드는 0(zero)이다.
    체크섬을 포함한 모든 값을 더한다.
    그 합의 2의 보수를 취해 최종 체크섬으로 한다.
    데이터를 체크섬과 함께 보낸다.
    수신측
    체크섬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16비트씩 나눈다.
    나눈 모든 워드들을 더한다.
    그 합의 2의 보수를 취해 새로운 검사합으로 만든다.
    체크섬이 0이면(신드롬이 0이면) 메시지를 취한다.
  • @예쁜 미모사
    checksum ㅋㅋㅋㅋ
  • @예쁜 미모사
    개ㄸㄹㅇ
  • @일등 네펜데스
    왜 또라이냐? 니는 저글도 모르는 무뇌주제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나쁜 아프리카봉선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욕설/반말시 글쓰기 권한 영구 정지10 저렴한 개불알꽃 2019.01.26
공지 식물원 이용규칙 (2018/09/30 최종 업데이트) - 학생회 관련 게시글, 댓글 가능17 흔한 달뿌리풀 2013.03.04
153423 드림클래스 성범죄경력이요~12 센스있는 벋은씀바귀 2016.07.08
153422 스쿠터 운전할 때와 자동차 운전할때 느끼는 큰 차이점21 이상한 물레나물 2015.07.12
153421 1학점을 뭘로 채워야 되나요?6 어두운 금목서 2015.05.26
153420 남자도 네일관리 해주나요??30 깨끗한 터리풀 2015.05.17
153419 과선후배 커플 장점은 뭘까요?13 귀여운 가래나무 2015.01.18
153418 지하철 잡싱인 보시면 어떻게 하시나요?28 똑똑한 삼백초 2015.01.06
153417 이웃 사람을 때리고 싶어요7 똑똑한 주름잎 2014.12.27
153416 유체역학에서 정압과 정수압의 차이가 뭔가요?4 조용한 고로쇠나무 2014.10.25
153415 부산에 괜찮은 알짜 중견, 중소 알아보는 방법 있을까요?7 돈많은 칼란코에 2014.05.15
153414 서면에 예약하고 찍는다는 포토스튜디오??6 냉철한 석곡 2013.08.28
153413 오늘 소개팅을 했는데요....8 못생긴 푸크시아 2012.06.22
153412 요새 중학생 수학 과외비9 화사한 구슬붕이 2018.08.02
153411 약대 빨리 양산캠으러 이전했으면 좋겠음..39 훈훈한 애기참반디 2018.04.16
153410 웅비관 청소하시는 아주머니께 혼났습니다6 진실한 큰괭이밥 2018.03.30
153409 여자한테 성범죄 조심하라고 하는거25 다부진 상추 2017.06.01
153408 눈 이물질 안과가서 빼보신분 계신가요?14 안일한 대팻집나무 2017.01.10
153407 부산대 환전4 어리석은 물푸레나무 2017.01.10
153406 군복학시 전역증 사진찍어서 해도되나요?4 눈부신 가는잎엄나무 2016.12.26
153405 학교 근처에 염증 주사 놓아주는 피부과 있나요?1 애매한 동백나무 2015.08.30
153404 성적으로 흥분한 경험3 창백한 부추 2015.07.02
첨부 (0)